서브메뉴

본문

국토도시계획을 알아야 부동산 투자가 보인다
국토도시계획을 알아야 부동산 투자가 보인다
저자 : 구만수
출판사 : 매경출판
출판년 : 2015
정가 : 30000, ISBN : 9791155423325

책소개


Prologue … 4

Part 01 국토도시계획과 부동산 투자 A to Z(개념잡기편)

01 도시계획이란? … 14
02 도시계획과 부동산 투자의 상관관계 … 17
03 도시계획의 역사 … 20
04 도시계획과 부동산개발 … 25
05 수용인구의 추정 … 28
06 토지이용계획 … 33
07 교통계획 … 38
08 기반시설계획 … 57
09 공원 및 녹지계획 … 62
10 경관계획 … 68

Part 02 국토도시계획과 부동산 투자(실전투자편)

01 국토도시계획과 부동산공법 … 74
02 대한민국 헌법 … 78
03 국토기본법 … 81
04 국토종합계획 ①
부동산 투자자가 국토종합계획을 바라보는 시각 그 첫 번째 이야기 … 87
05 국토종합계획 ②
부동산 투자자가 국토종합계획을 바라보는 시각 그 두 번째 이야기 … 90
06 국토종합계획 ③
계획의 비전과 목표 … 94
07 국토종합계획 ④
인구 … 97
08 국토종합계획 ⑤
국토공간 형성 방향 … 102
09 국토종합계획 ⑥
국토발전전략 … 106
10 국토종합계획 ⑦
교통망 구축계획 … 113
11 국토종합계획 ⑧
권역별 발전방향 … 119
12 도종합계획개념 … 128
13 경기도종합계획 ①
경기도종합계획(2012~2020) … 131
14 경기도종합계획 ②
계획인구의 설정 … 135
15 경기도종합계획 ③
공간구조 형성(발전축) … 139
16 경기도종합계획 ④
교통계획과 인프라 구축 … 146
17 경기도종합계획 ⑤
지역별 발전전략계획 … 153
18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 … 189
19 광역도시계획의 개념 … 203
20 창원권광역도시계획 ①
2020년 창원권 광역도시계획 … 208
21 창원권광역도시계획 ②
인구지표의 설정 … 211
22 창원권광역도시계획 ③
공간구조의 구상 … 214
23 창원권광역도시계획 ④
개발축의 설정 … 218
24 창원권광역도시계획 ⑤
교통축의 설정 … 220
25 창원권광역도시계획 ⑥
광역토지이용계획 … 222
26 창원권광역도시계획 ⑦
광역교통계획 … 227
27 창원권광역도시계획 ⑧
개발제한구역의 조정 방안 … 232
28 도시기본계획의 개념 … 238
29 서울도시기본계획 ①
2030서울도시기본계획(2030서울플랜) … 242
30 서울도시기본계획 ②
공간구조 개편방향 … 245
31 서울도시기본계획 ③
공간구조 설정 … 249
32 서울도시기본계획 ④
광역교통축 … 253
33 서울도시기본계획 ⑤
생활권계획 … 256
34 서울도시기본계획 ⑥
권역(대생활권)별 구상 … 259
35 세종도시기본계획 ①
2030세종도시기본계획 … 270
36 세종도시기본계획 ②
계획인구의 설정 … 273
37 세종도시기본계획 ③
도시공간구조 … 277
38 세종도시기본계획 ④
생활권의 설정 및 인구배분계획 … 280
39 세종도시기본계획 ⑤
생활권별 개발방향 … 284
40 세종도시기본계획 ⑥
교통축 … 291
41 세종도시기본계획 ⑦
단계별 개발계획 … 296
42 부산도시기본계획 ①
계획의 개요 … 300
43 부산도시기본계획 ②
계획인구 설정 … 302
44 부산도시기본계획 ③
공간구조 … 305
45 부산도시기본계획 ④
생활권 설정 및 인구배분계획 … 313
46 부산도시기본계획 ⑤
생활권별 발전구상 … 317
47 부산도시기본계획 ⑥
도로망 계획 … 330
48 부산도시기본계획 ⑦
철도망 계획 … 338
49 부산도시기본계획 ⑧
단계별 개발계획 … 341
50 도시관리계획의 개념 … 345
51 도시관리계획 ①
용도지역·용도지구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 349
52 도시관리계획 ②
개발제한구역, 도시자연공원구역, 시가화조정구역(市街化調整區域),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 357
53 도시관리계획 ③
기반시설의 설치·정비 또는 개량에 관한 계획 … 364
54 도시관리계획 ④
도시개발사업이나 정비사업에 관한 계획 … 377
55 도시관리계획 ⑤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과 지구단위계획 … 405
56 도시관리계획 ⑥
입지규제최소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과
입지규제최소구역계획 … 415


APPENDIX 부록

chapter 01 용도지역제(Zoning System)의 출현 배경과 특징 … 426
chapter 02 용도구역에 관한 고찰 … 463


Epilogue … 493
참고문헌 … 497

목차


국내 유일 부동산학 박사와 도시계획기술사 자격증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 도시계획을 활용한 부동산 투자방법에 대하여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으며 틀에 박힌 교과서적 이론 강의보다는 실제 투자경험을 기반으로 한 강의로 유명하다. 2013년부터 도시계획을 활용한 ‘장기미집행도시계획시설 부동산 투자방법’이라는 강의는 국내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인정받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시계획이 딱딱한 공법체계의 시스템적 산물이기 때문에 접근하기를 어려워한다. 기존에 출간된 부동산 도서들도 도시계획과 부동산 투자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풀어내질 못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라고 할지라도 도시계획과 부동산을 종합적으로 통찰할 수 있는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도시계획이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시계획과 부동산은 전혀 다른 분야처럼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상호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도시계획을 알고 부동산 투자에 임한다면 적을 알고 싸우는 효과적인 투자전략(知彼知己 百戰不殆)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효율적인 부동산 투자전략을 실전투자에 접목하기 위하여 오늘도 연구를 거듭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매진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