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조선족 소설 연구
조선족 소설 연구
저자 : 최병우
출판사 : 푸른사상
출판년 : 2019
정가 : 42000, ISBN : 9791130814018

책소개


조선족 소설의 대표 작가 15인과 그들의 작품론

최병우 교수의 『조선족 소설 연구』가 [푸른사상 학술총서 53]으로 출간되었다. 중국의 소수민족으로서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켜온 조선족의 소설을 대표하는 작가 15명과 그들의 작품론을 정리했다.

목차


책머리에

체험의 서사화 ― 김학철론
1. 서론
2. 체험의 서사화와 그 소설사적 의의
3. 체험의 서사화에 따른 소설적 한계
4. 결론

역사적 사실의 허구적 변용 ― 리근전론
1. 서론
2. 박천수 일가의 도강과 봉금령
3. 벼농사의 성공과 만주 지역의 벼농사
4. 5월 30일 밤의 폭동과 용정 지역의 5월폭동
5. 해방의 도래와 작중인물의 비현실성
6. 결론

개혁개방과 농촌 개혁 ― 리원길론
1. 서론
2. 하방 체험의 소설화와 문혁 비판
3. 농촌 개혁에 관한 시각의 전환
4. 농촌 개혁 과정의 치밀한 형상화
5. 시대적 주제의 소설화가 갖는 한계

농촌 개혁과 그 주체 ― 류원무론
1. 서론
2. 인민을 위해 헌신하는 기층간부의 형상
3. 문혁의 혼란과 이상 실현을 위한 열정
4. 엄혹한 현실에서 인간답게 살기 위한 분투
5. 농촌 개혁 과정에서 전문호 탄생의 의의
6. 결론

권위에 대한 비판과 부정 ― 정세봉론
1. 서론
2. 권위 부정
3. 출신성분론 비판
4. 개혁개방 전후의 현실과 이기심
5. 결론:정세봉의 작가적 한계

문화대혁명의 상흔과 극복 ― 우광훈론
1. 서론
2. 문혁 트라우마와 소설화의 한계
3. 문혁 상흔과 극복의 길
4. 결론

시대 변화와 인심의 변화 ― 윤림호론
1. 서론
2. 억압된 정치 상황 속의 감추어진 영웅
3. 시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인간
4. 환상을 통한 야생과 인간의 대비
5. 한국 체험의 소설화, 그 한계와 의의
6. 결론

비극적 역사의 희화화 ― 박선석론
1. 서론
2. 농민의 삶으로 재현한 중국 현대사의 비극
3. 인물의 성격과 서사 구조의 단순성
4. 결론 246

조선족 이주사의 소설화 ― 최홍일론
1. 서론
2. 범인(凡人)의 일생을 통한 용정 개척의 역사
3. 용정 역사의 재구와 역사 서술의 과다 개입
4. 『눈물 젖은 두만강』 연작의 서사 특성
5. 『눈물 젖은 두만강』 연작의 역사 재구가 갖는 의의

조선족 정체성의 변화 양상 ― 허련순론
1. 서론
2. 모국 체험과 국민정체성 강화
3. 정체성 혼란과 파멸 그리고 구원
4. 정체성 파탄의 대안으로서 사랑
5. 결론

사랑과 원초적 생명 의식 ― 리혜선론
1. 서론
2. 본원적 고통으로서의 사랑
3. 거스를 수 없는 운명의 힘
4. 급변하는 사회와 조선족의 일상
5. 결론

공동체 와해와 정체성의 위기 ― 박옥남론
1. 서론
2. 기구하고 불우한 인물의 일화
3. 한국과의 교류로 와해되는 조선족 사회
4. 중국 사회의 소수자로서 조선족의 정체성
5. 한국 사회의 주변부를 떠도는 조선족의 삶
6. 결론

마을 이야기로 펼친 조선족사 ― 최국철론
1. 최국철 소설의 저변과 연구의 방향
2. 마을 이야기로 펼친 조선족의 역사
3. 소설 구성 방식의 차이와 그 의미
4. 소설 언어의 공식성과 지역성
5. 결론 407

예술혼과 현실 그리고 역사 ― 김혁론
1. 서론
2. 예술에 대한 자긍심과 자본의 그늘
3. 소년의 눈을 통해 본 문혁의 폭력성
4. 반복되는 도시 이주의 비극적 현실
5. 위안부의 기억과 비극적 역사의 극복
6. 결론

초국가적 이주에 관한 시각 ― 김금희론
1. 서론
2. 조선족 특수성으로서의 이주 인식
3. 이주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그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