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코로나19, 동향과 전망
코로나19, 동향과 전망
저자 : 김석현|김양희|김유빈|박성원|안병진
출판사 : 지식공작소
출판년 : 2020
정가 : 12800, ISBN : 9791128884467

책소개


코로나19로 잃은 것은 무엇이고 얻은 것은 무엇인가?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가? 팬데믹이 우리 사회에 남긴 것과 다가올 변화들에 대해 긴급 진단하고 과제를 제시한다. 주식시장을 비롯한 금융시장의 안정성과 부동산시장의 변화, 기업자금사정과 산업구조조정 상황 등 한국경제 위기 국면을 진단하고 곧 다가올 2차 충격의 파장에 대해 알아본다. 팬데믹 상황에서 각국의 대응, 한국형 방역모델의 성공 이유와 그 의미를 짚어보고 앞으로의 사회변화에 대해 논의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국사회의 변화를 심도 있게 다룬 국내 최초의 책이다.

목차


머리말 팬데믹, 한국사회 변화의 분기점

1부 코로나19와 한국형 대응 모델

제1 토론/ 한국의 방역, 어떻게 미국을 앞서게 되었나  
코로나, 또 하나의 역사적 분기점  
각국의 대응과 한국형 방역 모델  
한국, 선제적 진단으로 큰 효과  
유럽에서의 확산과 동아시아의 선방 이유  
금융위기 때 긴축했던 독일도 초유의 부양책  
V자 반등이냐 U자 반등이냐  
수축사회의 징후들  
기술과 행정 결합한 혼합형  
개방과 통제의 새로운 방역 모델, 관료제가 큰 힘  
정치권의 무능과 시민사회의 위대함  
다른 가치와 다른 태도 가진 리더십 필요  

01 퇴조하는 서구와 상승하는 한국의 자유주의; 국내 질서의 혼돈과 넥스트 리더십  
조국과 정은경 현상이 공존하는 기이한 나라  
미국과 한국의 서로 다른 이중 민주주의  
총선 이후 넥스트 리더십을 통한 선도적 미래 모델 가능성?
 
02 코로나 이후 한국의 위상 전망: 아시아발 노르딕국가의 가능성  
코로나의 국내외 확산  
한국의 코로나 대응의 특징  
코로나 이후 한국의 위상  
· 서구 자유주의와 아시아 관료적 통치의 결합 모델  
· 글로벌 생산망의 주축으로서의 한국  
· 아시아 문화적 규범의 리더로서의 역할  
노르딕 국가 모델의 가능성

03 코로나 위기와 뉴노멀; 고통스러운 전환 시기  
역사적 분기점?  
뉴노멀이라는 체제전환  
기술과 글로벌체제의 전환  
전환기의 2020년  
한국형 뉴딜의 길은 있는가  

2부 코로나19와 한국경제

제2 토론/ 한국경제 본격 위기 언제 오나  
표면적으로는 외부 위기, 심각한 문제 가려져  
제조업 위기 오래된 얘기, 자동차 산업도 구조조정  
주거 부문과 달리 상업용 부동산 큰 충격  
노동환경의 새로운 변화들  
우리나라도 100조 원은 써야 방어 가능  
미국 연준, 리먼사태 10배 충격 느껴  
자영업 몰락, 가계부채 위기로 이어질지가 관건  
정부 역할, 국가 개입 커질 듯  
2차 충격에 대책 있나  

04 2차 위기가 더 두렵다  
기업 부도위험 지표 높아져  
탈공업화 추세에도 한국 제조업은 세계 2위  
삼성전자, 현대차에서 변화 시작될 것  
근무형태, 임금체계 변화 등 노사관계에 영향  

05 부동산시장은 안전한가  
우리나라 부동산시장의 특성  
코로나 위기와 부동산시장 동향  
코로나 위기가 부동산시장에 미칠 중장기적 영향  
새로운 주택체제 전망과 과제  

06 코로나19 위기 전망과 정책 대응  
2008년 금융위기와는 다르다  
생명 살리는 것이 생산과 생활 살리는 것  
타깃형과 보편적 지원 결합해야  
2차 파동에 대비해 50조 원 준비 필요  
소외계층에 더 많은 재정 투입해야  
데이터 기반 정책 필요  

3부 코로나19와 미래사회

제3 토론/ 팬데믹 이후, 일과 삶의 거대한 변화들  
출석 체크하고 잠자도 되는 ‘온라인 개학’
과학적 의사결정 위한 정보 중요성 대두  
국제 협력 통한 문제해결 필요  
디지털 경제시대, 정보격차 해소도 관건  
온라인 교육, 교사 역량과 콘텐츠 질 높여야  
단순 제조업이 생명산업으로 부각  
감염병 연구개발, 양치기 소년 되지 말아야  
과학에 근거한 각국의 합의 체계 중요  

07 코로나 이후 사회변화  
시기를 막론하고 벌어진 사회적 변화  
· 시기 막론하고 변화 확인돼 혁신적 대응이 필요한 분야
· 새로운 변화 관찰돼 다각적 논의 필요한 분야  
그밖에 논의해야 할 사회변화 이슈들  

08 이전과는 다른 일상을 준비하기 위한 의기투합  
세계적 감염병이 남긴 상처  
네트워크를 통해 살펴본 시기별 이슈의 특징  
· 사회적 회복이 논의되기 시작한 사스  
· 첫 펜데믹 불러온 신종플루, 사회적 극복 노력의 중요성
· 정부-시민 간 소통 통한 협력이 필요했던 메르스  
· 반복되는 이슈, 새로운 이슈 모두 마주하는 코로나19
· 근본적인 해결 방법 찾기 위한 전문가 사회의 책임  

09 코로나19가 초래할 국제경제질서의 미래와 국제협력의 추진 방향 - 한국의 시각  
코로나19가 드러낸 국제경제질서의 전환 징후  
코로나19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코로나19 이후 국제협력의 추진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