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
해군의 탄생과 근대일본 (메이지유신을 향한 부국강병의 길)
저자 : 박영준
출판사 : 그물
출판년 : 2014
정가 : , ISBN : 9788996917182
책소개
19세기 국제 질서에서 해군이라는 요소는 최첨단의 근대성을 상징하는 존재였다. 해군을 구성하는 함선, 해군 사관과 병사, 조선(造船)과 수리시설, 해군 조직 등은 발달한 과학 기술과 근대 국가 제도 없이는 가질 수 없는 것들이었다. 그래서 해군은, 19세기 미국의 해군 전략가였던 알프레드 마한(Alfred Mahan)이 언급했듯이, 제해권(制海權) 장악을 통해 대외적으로 자국의 목적을 타국에 강요하고, 경우에 따라 지역과 국제 질서의 패권을 장악하는 데 유력한 수단으로 작용했다.
『해군의 탄생과 근대일본』은 해군체제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일본에 전파되었고, 어떻게 건설되었으며, 나아가 일본 국가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살펴보는 책이다. 제1장에서는 서구 해군체제 수용의 사상적 배경으로서 에도시대 말기부터 논의되어온 대선 건조론적 해방론(海防論)과 소선 건조에 의한 해방론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제2장에서는 1854-59년을 중심으로 페리 내항 직후의 대외 정책과 군사 정책을 관장하고 있는 아베 마사히로(阿部正弘) 막각의 아메리카 국서평의와 대선 건조 해금을 포함한 해군 건설 정책, 그리고 사가와 사츠마 등 주요 번들과 개명 번주들의 해군 건설 정책을 추적했다. 그리고 제3장에서 1860-67년을 중심으로 서구식 해군체제 수용, 즉 해군혁명의 과정이 가속화되는 국제적 국내적 조건을 탐구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범 례
서장: 근대 일본의 ‘해군혁명’과 동아시아 국제정치
1. 국제정치에서 ‘해군 건설’이 지니는 의미
2. 관련 개념과 이론적 가설
3. 기존 연구의 검토
4. 연구의 구성 및 사료
제1장 이양선과 해국(海國)의 해방론(海防論)
제1절 ‘해국(海國)’의 재발견과 해방론
1. 배경: ‘공의(公儀)의 선군(船軍)’과 동아시아 해양 질서의 변화
2. 하야시 시헤이의 해방론: 해국(海國)의 소선책(小船策)
3. 고가 세이리의 해방론: 러시아 위협론과 대선책(大船策)
제2절 팍스 브리태니커의 해양 질서와 해방론
1. 배경: 팍스 브리태니커와 동아시아 해양 질서
2. 전국적(戰國的) 세계 인식의 해방론: 아이자와 야스시
3. 양학적(洋學的) 세계 인식과 관리의 해방론: 에가와 다로자에몬
제3절 아편전쟁 이후의 해방론
1. 배경: 아편전쟁과 동아시아 해양 질서
2. 영국 위협론과 전국 총동원의 해방론: 사쿠마 쇼잔의 해방상서(海防上書)(1842)
3. “사종(邪宗)”의 세계 팽창과 막번연합의 해방론: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해방 의견서를 중심으로
4. ‘해국’으로서의 자기 인식과 해방론(海防論)
제2장 막말기 ‘해군혁명’의 전개(1853-1859): 서구 해군체제의 전파와 수용
제1절 페리함대 내항 직후 막부와 각 번의 해군 건설 정책
1. 막번연합 해군 건설 정책의 주형: 1853년 미국국서평의와 해군 건설론
2. 아베 마사히로 막각의 해군 정책
3. 여러 번들의 초기 해군 정책: 사츠마와 사가를 중심으로
제2절 서구 해군체제의 전파
1. 네덜란드 해군 전습 결정 과정: 파비우스의 해군 창립 의견서와 그 수용
2. 네덜란드 해군 전습의 전개
제3절 근대 서구 해군체제의 수용과 국내 확산
1. 근대적 해군 사관 배출과 해군 교육 체제의 확산
2. 기술 장인층의 양성 및 조선 수리 시설의 확대
3. 함선 획득 양상의 변화
4. 해군제도의 수용
5. 안세이 연간(1854-59) 해군의 운용: 막부의 경우
6. 네덜란드 해군 접습의 의의
제3장 막말기 ‘해군혁명’의 전개(1860-1867)
제1절 1860-63년간(万延-文久) 막부의 해군 증강
1. 배경
2. 분큐(文久) 연간(1861-63) 막부의 해군 개혁
3. 1860년대 초반 막부의 해군 운용 전략 논쟁: 해군대권 대 국내 일치
제2절 막번연합 해군에서 ‘할거(割據) 해군’으로
1. 1860년대 초반(만엔-분큐 연간) 여러 번의 해군 건설: 막번연합 해군의 틀
2. 할거정국의 전개: 양이(攘夷)전쟁과 조슈정토(長州征討)?
3. 할거해군(割據海軍)으로의 길: 1864-1865년간 번들의 해군 건설
제3절? 조슈재정(長州再征)과 할거 해군 확장
1. 조슈재정과 사츠마-조슈연합(薩長連合)
2. 조슈 제2차 정벌 이후 막부의 해군 확장
3. 서남웅번의 해군 확장과 무력도막(武力倒幕)
4. 막번체제 해군의 의미
제4장 막말기의 ‘해군혁명’과 막번체제의 변용
제1절 막말기의 ‘해군혁명’과 함선 증강
1. 가츠 가이슈의 ?선보(船譜)? 재검토: 막말기 ‘해군혁명’ 이해를 위한 단서
2. 막말기 ‘해군혁명’의 경제적 성격: 함선 증강의 소요 비용 검토
3. 막말기 ‘해군혁명’의 군사적 성격: 함선의 배수량, 동력기관, 무장 검토
제2절 ‘해군혁명’의 전개와 막번체제의 변화
1. ‘해군혁명’과 막번의 해군제도 창설
2. ‘해군혁명’과 막번의 재정 팽창
3. 해군 건설과 막말기의 식산흥업(殖産興業)
제3절 ‘해군혁명’과 대외 관계의 변화
1. 영토?영해의 확정과 해군
2. 대외 정책을 향한 해군 운용
종장 일본 군사혁명이 동아시아에 끼친 영향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