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
향가의 역사와 문화사
저자 : 서철원
출판사 : 지식과교양
출판년 : 2011
정가 : 25000, ISBN : 9788996507130
책소개
28수의 현존 향가 자료를 바탕으로 '서정시'로서 향가가 갖는 특질과 문화사적 의미를 살핀다. 저자는 사상사, 미술사 등의 문화사 텍스트를 통해 부족한 자료들을 보완하고, 시기별 작품 분석을 통해 신라와 고려 초기 향가의 역사를 체계화한다. 이 책에서는 개별 작품에 대한 분석과 함께 장르적 특성, 시대적 상황 등을 꼼꼼히 살피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향가를 문화사 텍스트로 이해하고 작품의 선후관계에 따라 견주어 읽음으로써 향가 화자의 형성, 성장 과정 등을 재구성한다.
목차
책머리에
Ⅰ. 향가의 역사를 보는 단서
1. 문제 제기
2. 연구 범위와 방법
3. 주요 개념에 대한 전제
3.1. 텍스트와 그 주변
3.2. 서정주체와 수신자의 관계
II. 7세기의 효용성 지향과 문화사의 기반
1. 서정주체와 수신자의 효용성 지향
1.1. 「혜성가」·「서동요」 수신자의 인식 전환
1.2. 「풍요」·「원왕생가」 수신자의 종교적 감성
2. 인물 제재의 형상과 서정성의 구축
2.1. 「모죽지랑가」의 인물 형상과 서정성
2.2. 서정시의 역사에서 「모죽지랑가」의 위치
3. 불교계의 문학론을 통한 서정성의 탐구
4. 서정주체의 형성에 이르기까지
Ⅲ. 8세기의 현실인식·세계관과 문화사의 전개
1. 서정주체와 서정성·효용성의 어울림
1.1. 수로부인 설화의 미의식과 「헌화가」
1.2. 「원가」를 통해 본 서정성과 효용성의 공존
2. 경덕왕대 현실인식과 세계관의 제 양상
2.1. 「안민가」·「도솔가」의 효용성과 현실인식
2.2. 「찬기파랑가」·「제망매가」의 서정성과 세계관
2.3. 「도천수관음가」의 일상성과 종교성의 변모
3. 불국사·석굴암의 특질과 향가의 수사방식
3.1. 충담사·월명사의 수사방식과 작가의식
3.2. 불국사·석굴암의 구조와 문화적 상징성
4. 향가의 전성기
Ⅳ. 9·10세기의 사상적 지향과 문화사의 이행
1. 서정주체와 조화론에의 모색
1.1. 「우적가」·「처용가」의 조화론
1.2. 「보현시원가」에서 서정성과 효용성의 혼융
2. 「보현시원가」 한역과 향가의 남은 자취
3. 향가와 후대의 문학사
Ⅴ. 향가의 어제와 내일을 위해
1. 향가의 역사와 서정주체
2. 앞으로의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