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대학이 절대 밝힐 수 없는 입학사정관제의 비밀 50
대학이 절대 밝힐 수 없는 입학사정관제의 비밀 50
저자 : 하영목
출판사 : 아이비하우스
출판년 : 2009
정가 : 12000, ISBN : 9788996237228

책소개


점수보다 잠재능력으로 승부하기를 원하는
수많은 인재들을 위한 입학사정관 전형 준비의 모든 것!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방법은 성적에 승부를 거는 것이다. 그 성적이 내신성적이든 수능성적이든 점수로 뭔가를 보여주는 방법이다. 이 길은 가장 익숙한 길이므로 피 튀기는 경쟁이 있을 수밖에 없으며, 자연히 기회도 적을 수밖에 없다.

두 번째 방법은 성적이 아닌 것으로 승부를 거는 것이다. 그것이 영재성이든 리더십이든 창의성이든, 아니면 예술적 재능이든 좋다. 자신만의 경쟁력으로 자신과 겨루는 이 길에서는 사실 경쟁자가 없다. 두 번째 방법이 손자병법에서 말하는“싸우지 않고 이기는 최고의 전략”으로 입학사정관 제도로 대학에 들어가는 방법이다.

이 책은 POSTECH(포항공대)의 초기 학생모집 책임자로 1986년에 우수학생모집 홍보활동을 POSTECH에 도입하여 국내대학 학생모집 홍보활동의 효시를 이룬 경험이 있는 저자 하영목 박사가 KAIST 등 여러 대학과 대학원의 학생모집과 면접평가를 컨설팅한 경험을 바탕으로 대학에서 밝히기 힘든 입학사정관제의 비밀 50가지를 밝히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 교육정상화를 위한 입학사정관 제도


1장 입학사정관 제도로 달라지는 입시판도

01. 입학사정관제도가 뭐예요?
02. 입학사정관들은 무엇을 어떻게 평가합니까?
03. 입학사정관 제도가 없어도 문제가 없었는데, 왜 이런 제도가 필요한가요?
04. 입학사정관 제도가 어떤 학생들에게 유리하고, 어떤 학생들에게 불리한기요?
05. 대학들이 왜 입학사정기준을 공개하지 못하는지요?


2장 입학사정관이 학생들을 평가하는 큰 원칙

06. 대학별로 평가기준이 같은가요, 아니면 다른가요?
07. 지원학과별로 평가기준이 달라지는가요?
08. 학생을 평가하는 공통의 원칙이란 것이 있는지요?
09. 잠재능력을 주로 평가한다는데, 잠재능력도 평가할 수 있는지요?
10. 창의성 또는 창조성도 중요한 평가요소라는데, 어떻게 평가하는지요?
11. 열성이나 열정 또는 적극성도 중요하다는데, 어떻게 평가하는지요?


3장 입학사정관들이 이용하는 다양한 평가근거

12. 서류상에서 나타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는 어느 정도 평가되는지요?
13. 객관화되기 어려운 정성적 데이터는 어떻게 평가되는지요?
14. 글로 적은 내용에 대한 사실조회나 방문확인도 하는지요?
15. 면접은 왜 필요하고, 면접에서는 주로 무엇을 평가하는지요?
16. 인성과 적성도 평가한다면 어떻게 평가하는지요?


4장 출신학교의 평가

17. 출신학교별로 차등을 둔다면 서열화하는 것 아닌가요?
18. 특목고 출신은 상대적으로 유리한가요?
19. 일반고 출신은 상대적으로 불리한가요?
20. 평준화 지역과 비평준화 지역 중 어디가 불리하고 어디가 유리한가요?


5장 가정환경과 배경의 평가

21. 가정환경도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요?
22. 부모님의 직업도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요?
23. 가족이나 친인척 중에 그 대학에 근무하는 사람이 있다면?
24. 가족이 동문이거나 형제자매가 이미 학교에 다닌다면 어떻게 평가되는가요?
25. 가정형편상 장학금을 받아야 공부할 수 있다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요?


6장 학교성적의 평가

26. 내신성적과 학생부의 평가의견은 얼마나 중요한가요?
27. 내신등급이 중요한가요, 아니면 과목별 성적이 더 중요한가요?
28. 성적이 더 중요한가요, 아니면 비교과활동이 더 중요한가요?
29. 과목별 성적과 지원학과의 일관성 유지가 필요한가요?


7장 비교과활동의 평가

30. 비교과활동 중에서 주로 어떤 것들이 평가되는지요?
31. 각종 경시대회 입상성적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요?
32. 각종 대회에서 상을 받은 기록은 어느 정도 평가되는지요?
33. 학생회 활동이나 종교적인 활동도 영향을 미치는지요?


8장 지원동기와 추천서의 평가

34. 지원서류에 나타난 지원동기는 얼마나 중요하고 어떻게 평가되는지요?
35. 추천서는 모두 좋게 쓸 텐데, 어떻게 평가하는지요?
36. 지원서류를 통해서 평가되는 것들은 또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37. 자기추천서를 좀 과장해서 적어도 애교로 봐주는지요?
38. 자기소개서나 자기추천서 쓰는 법을 알려주세요


9장 면접을 통한 평가

39. 면접은 왜 하는지요?
40. 면접은 어떻게 하고, 무엇을 물어보는지요?
41. 면접에서는 어떤 것을 평가하고, 어떻게 답해야 하는지요?
42. 발표는 떨려서 못하는데, 발표면접은 어떻게 해야 되는지요?
43. 토론은 배운 적도 연습한 적도 없는데, 토론면접은 어떻게 해야 되는지요?
44. 토론능력을 어떻게 개발해야 하는지요?
45. 말을 더듬는 편인데 면접에서 불리하지 않는지요?
46. 성적이 좋다면 면접은 요식행위에 불과한 것 아닌가요?


10장 어떻게 대비하고 준비해야 하는가?

47. 이미 고학년이라면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요?
48. 아직 저학년이라면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요?
49. 비교과영역의 과외나 취미활동, 종교적인 봉사활동도 도움이 될까요?
50. 조기유학을 한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유리한가요, 아니면 불리한가요?


에필로그 :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준비하자


부록

1. 전공적합도 판단을 하기 위한 실용지능 자기탐색
2.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포트폴리오 잘 쓰는 법
3. 준비해 두면 좋을 입학사정관 심층면접 예상질문 100개

책소개


점수보다 잠재능력으로 승부하기를 원하는
수많은 인재들을 위한 입학사정관 전형 준비의 모든 것!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방법은 성적에 승부를 거는 것이다. 그 성적이 내신성적이든 수능성적이든 점수로 뭔가를 보여주는 방법이다. 이 길은 가장 익숙한 길이므로 피 튀기는 경쟁이 있을 수밖에 없으며, 자연히 기회도 적을 수밖에 없다.

두 번째 방법은 성적이 아닌 것으로 승부를 거는 것이다. 그것이 영재성이든 리더십이든 창의성이든, 아니면 예술적 재능이든 좋다. 자신만의 경쟁력으로 자신과 겨루는 이 길에서는 사실 경쟁자가 없다. 두 번째 방법이 손자병법에서 말하는“싸우지 않고 이기는 최고의 전략”으로 입학사정관 제도로 대학에 들어가는 방법이다.

이 책은 POSTECH(포항공대)의 초기 학생모집 책임자로 1986년에 우수학생모집 홍보활동을 POSTECH에 도입하여 국내대학 학생모집 홍보활동의 효시를 이룬 경험이 있는 저자 하영목 박사가 KAIST 등 여러 대학과 대학원의 학생모집과 면접평가를 컨설팅한 경험을 바탕으로 대학에서 밝히기 힘든 입학사정관제의 비밀 50가지를 밝히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 교육정상화를 위한 입학사정관 제도


1장 입학사정관 제도로 달라지는 입시판도

01. 입학사정관제도가 뭐예요?
02. 입학사정관들은 무엇을 어떻게 평가합니까?
03. 입학사정관 제도가 없어도 문제가 없었는데, 왜 이런 제도가 필요한가요?
04. 입학사정관 제도가 어떤 학생들에게 유리하고, 어떤 학생들에게 불리한기요?
05. 대학들이 왜 입학사정기준을 공개하지 못하는지요?


2장 입학사정관이 학생들을 평가하는 큰 원칙

06. 대학별로 평가기준이 같은가요, 아니면 다른가요?
07. 지원학과별로 평가기준이 달라지는가요?
08. 학생을 평가하는 공통의 원칙이란 것이 있는지요?
09. 잠재능력을 주로 평가한다는데, 잠재능력도 평가할 수 있는지요?
10. 창의성 또는 창조성도 중요한 평가요소라는데, 어떻게 평가하는지요?
11. 열성이나 열정 또는 적극성도 중요하다는데, 어떻게 평가하는지요?


3장 입학사정관들이 이용하는 다양한 평가근거

12. 서류상에서 나타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는 어느 정도 평가되는지요?
13. 객관화되기 어려운 정성적 데이터는 어떻게 평가되는지요?
14. 글로 적은 내용에 대한 사실조회나 방문확인도 하는지요?
15. 면접은 왜 필요하고, 면접에서는 주로 무엇을 평가하는지요?
16. 인성과 적성도 평가한다면 어떻게 평가하는지요?


4장 출신학교의 평가

17. 출신학교별로 차등을 둔다면 서열화하는 것 아닌가요?
18. 특목고 출신은 상대적으로 유리한가요?
19. 일반고 출신은 상대적으로 불리한가요?
20. 평준화 지역과 비평준화 지역 중 어디가 불리하고 어디가 유리한가요?


5장 가정환경과 배경의 평가

21. 가정환경도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요?
22. 부모님의 직업도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요?
23. 가족이나 친인척 중에 그 대학에 근무하는 사람이 있다면?
24. 가족이 동문이거나 형제자매가 이미 학교에 다닌다면 어떻게 평가되는가요?
25. 가정형편상 장학금을 받아야 공부할 수 있다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요?


6장 학교성적의 평가

26. 내신성적과 학생부의 평가의견은 얼마나 중요한가요?
27. 내신등급이 중요한가요, 아니면 과목별 성적이 더 중요한가요?
28. 성적이 더 중요한가요, 아니면 비교과활동이 더 중요한가요?
29. 과목별 성적과 지원학과의 일관성 유지가 필요한가요?


7장 비교과활동의 평가

30. 비교과활동 중에서 주로 어떤 것들이 평가되는지요?
31. 각종 경시대회 입상성적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요?
32. 각종 대회에서 상을 받은 기록은 어느 정도 평가되는지요?
33. 학생회 활동이나 종교적인 활동도 영향을 미치는지요?


8장 지원동기와 추천서의 평가

34. 지원서류에 나타난 지원동기는 얼마나 중요하고 어떻게 평가되는지요?
35. 추천서는 모두 좋게 쓸 텐데, 어떻게 평가하는지요?
36. 지원서류를 통해서 평가되는 것들은 또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37. 자기추천서를 좀 과장해서 적어도 애교로 봐주는지요?
38. 자기소개서나 자기추천서 쓰는 법을 알려주세요


9장 면접을 통한 평가

39. 면접은 왜 하는지요?
40. 면접은 어떻게 하고, 무엇을 물어보는지요?
41. 면접에서는 어떤 것을 평가하고, 어떻게 답해야 하는지요?
42. 발표는 떨려서 못하는데, 발표면접은 어떻게 해야 되는지요?
43. 토론은 배운 적도 연습한 적도 없는데, 토론면접은 어떻게 해야 되는지요?
44. 토론능력을 어떻게 개발해야 하는지요?
45. 말을 더듬는 편인데 면접에서 불리하지 않는지요?
46. 성적이 좋다면 면접은 요식행위에 불과한 것 아닌가요?


10장 어떻게 대비하고 준비해야 하는가?

47. 이미 고학년이라면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요?
48. 아직 저학년이라면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요?
49. 비교과영역의 과외나 취미활동, 종교적인 봉사활동도 도움이 될까요?
50. 조기유학을 한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유리한가요, 아니면 불리한가요?


에필로그 :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준비하자


부록

1. 전공적합도 판단을 하기 위한 실용지능 자기탐색
2.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포트폴리오 잘 쓰는 법
3. 준비해 두면 좋을 입학사정관 심층면접 예상질문 10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