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철학 고전 강의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철학 고전 강의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저자 : 강유원
출판사 : 라티오
출판년 : 2016
정가 : 27000, ISBN : 9788996056195

책소개


인문古典강의, 역사古典강의를 잇는,
강유원의 ‘古典 연속강의’ 세 번째 책


2009년부터 매년 40주 동안 공공도서관에서 고전을 가르치고 있는 철학자 강유원이 4년만에 내놓는 저작이다. 〈인문 古典 강의〉(2010년 출간), 〈역사 古典 강의〉(2012년 출간)에 이은, 古典 강의 세 번째 책 〈철학 古典 강의〉. 2017년에 〈문학 古典 강의〉를 출간함으로써 이 시리즈는 완간될 예정이다. 그동안 다양한 연령대와 직업을 가진 수백 명의 사람들이 현장 강의를 들었으며, 모든 강의를 수강한 수강생들의 수도 상당하다. 대학 안에서는 진정한 학문 정신이 사라졌고 대학 밖에서는 가짜 인문학이 판을 친다고 한탄하는 시대이지만 이 강의를 들은 수강생들이 가지게 된, 앎에 대한 진지한 태도와 교양인으로서의 지속적인 열정은 도서관이 일반인들을 위한 학문의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저자는 다양한 수준과 배경을 가진 일반인들을 고려하되, 이들을 수준 높게 이끌어갈 만한 일관성 있는 커리큘럼으로써 이 강의들과 저작들을 기획했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강의를 몇 년 동안이나 진행할 수 있었던 데에는,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공부하는 수강생들과 도서관 사서들의 도움이 컸다. 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과정으로 공부해 나갈 수 있도록 이 책은 강의 내용을 보다 더 완성도 있게 정리하고자 했다.

이 시리즈의 입문서 격인 첫 번째 책 〈인문 古典 강의〉가 대표적인 서구 고전들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과 고귀한 삶의 의미를 탐색했다면, 인문학 분야 중 가장 먼저 익혀야 할 역사에 관한 두 번째 책 〈역사 古典 강의〉는 역사적 계기들을 중심으로 서양사를 서술하면서, 역사를 움직이는 힘과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의 원천적인 모습을 밝히고자 했다.

이번에 출간된 〈철학 古典 강의〉는 고전적인 의미의 철학이 사라지고 있는 시대에, 전통적으로 추구해온 고도의 추상적 사유들의 의미는 무엇이며 그것이 주요 철학자들의 저작들에서 어떻게 전개되어왔는지를 탐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유들은 역사의 흐름과 무관해 보이지만, 깊이 있게 탐구해보면 형이상학적 사유의 원리의 전환이 시대의 큰 변화에 작용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근본적이면서도 보편적인 학문인 ‘철학’에 관한 강의이므로 이전 책들에 비해 내용 파악이 간단하지 않다. 이러한 어려움을 감안하고도 철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철학이야말로 우리의 이성을 단련시키는 엄격한 학문이자 우리의 삶과 세계를 되돌아보게 하는 유일한 반성적 학문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철학의 가장 중심 분야인 존재론과 형이상학의 토대를 익힘으로써, 우리의 앎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


I 희랍 철학의 시작: 세계에 전체에 대한 통찰

희랍 우주론의 원형| 헤시오도스, 《신들의 계보》
제1강_우주론, 철학적 사유의 시작
제2강_희랍 사유에서 우주의 구조와 생성 과정

세계의 원리에 관한 자연학적 파악|《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제3강_존재의 근본 개념(파르메니데스)
제4강_일자와 두 세계 이론(파르메니데스에 관한 ‘전통적’ 해석)
제5강_대상 세계에 관한 탐구(파르메니데스에 관한 ‘현상-법칙’ 해석)
제6강_학문 탐구의 방법(파르메니데스에 관한 ‘학의 시원’ 해석)
제7강_세계를 지배하는 원리, 로고스(헤라클레이토스)
제8강_변화하는 여러 현상들과 궁극적인 ‘하나’(헤라클레이토스)

II 플라톤: ‘좋음’ 위에 인간과 공동체를 세우려는 노고

인간의 영혼과 형상이라는 목적|《파이돈》
제9강_잘 산다는 것
제10강_형상실재론과 형상시원론
제11강_합의된 규약에 의지하는 ‘차선의 방법’
제12강_같음과 같음 자체에 관한 논변

공동체, 넓은 의미의 인간학|《국가》
제13강_참으로 좋은 것에 관한 앎(태양의 비유)
제14강_참으로 좋은 것에 관한 앎과 그것의 실천(동굴의 비유)
제15강_아는 것과 하는 것, 이론과 실천의 통일

III 아리스토텔레스: 희랍 형이상학의 체계적 완결

앎의 체계와 궁극적 실재|《형이상학》
제16강_《형이상학》의 구성
제17강_앎의 종류와 단계들
제18강_형상의 분리와 내재
제19강_학의 성립에 관한 물음, 보편적 존재론과 신학의 관계
제20강_실체론, ‘이것’(tode ti)과 ‘무엇’(ti esti)
제21강_운동론, 가능태와 현실태

IV 데카르트: 주체인 인간의 세계 구축

데카르트 형이상학의 근본 구도|《철학의 원리》
제22강_자기의식, 데카르트 철학의 근대성
제23강_진리의 원천과 진리 인식의 원천

자기의식의 형이상학|《성찰》
제24강_《성찰》의 구성과 목적
제25강_감각적 앎의 부정, 철저한 의심(제1성찰)
제26강_자립적 자기의식의 현존, 정신의 우선성(제2성찰)
제27강_인간의 유한성에 의거하는 신의 무한성 증명(제3성찰)
제28강_참과 거짓을 식별하는 정신, 정신과 신체의 합성체로서의 인간(제4성찰, 제6성찰)

V 칸트: 인간의 한계 자각과 ‘장래의 형이상학’

초월론적 이념들에 대한 일반적 주해|《형이상학 서설》
제29강_‘장래의 형이상학’의 성립 가능성
제30강_이성의 사변적 사용
제31강_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데카르트?칸트?헤겔 형이상학의 핵심 문제

자연과 자유의 통일적 체계|《판단력비판》
제32강_판단력의 연원
제33강_미감적 판단력, 목적론적 판단력
제34강_판단력을 통한 오성과 이성의 결합

VI 헤겔: 신적 입장으로 올라선 인간

절대적인 것의 자기전개|《철학백과》
제35강_헤겔 철학 체계의 구성
제36강_헤겔 형이상학의 기본 개념들
제37강_사변적 사유와 정신철학에 대한 일반적 논의

학적 인식으로 올라서는 사다리|《정신현상학》
제38강_《정신현상학》의 구성, 의식-자기의식-이성
제39강_진리의 역사성, 진리주체론
제40강_헤겔 철학의 목적, 역사와 이념의 통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