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저자 : 조수진
출판사 : 소통
출판년 : 2010
정가 : 14000, ISBN : 9788993454215
책소개
Ⅰ.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이론적 탐구를 위한 기본 개념
1장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역사적 이해·15
1. 교수 이론의 변화와 한국어 교수법 15
2. 한국어 교수법 변화에 대한 역사적 인식 19
3. 한국어 교수법 연구의 방향 21
4. 한국어 교수법 연구의 적용 23
2장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의 방향·24
1.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4
2. 한국어 말하기 교수에 대한 선행 연구의 검토 27
2.1. 말하기 교수 원리에 관한 연구 28
2.2. 말하기 교수 방안 관련 연구 29
2.3. 담화 분석 관련 연구 32
2.4. 메타언어적 사고에 관한 연구 34
3장 한국어 말하기 교육을 위한 이론적 고찰·36
1. 한국어 교육에서 말하기에 대한 전제 36
2. 기존 연구에서 제시하는 문제점에 대한 고찰 47
3. 한국어 말하기 변인에 따른 문제점과 한계 53
3.1. 어휘나 문법 학습의 말하기와의 연결성의 문제 53
3.2. 작위적 과제(task)에 따른 실제성의 문제 56
3.3. 말하기에 대한 반성적 평가 및 피드백의 필요성 60
3.4. 언어적 표현 이외의 정보 활용을 위한
교수 학습의 필요성 66
4장 말하기 교육 연구를 위한 관련 이론의 비판적 검토·69
1. 한국어 교육에서 대화 분석적 연구 71
2. 말하기 교육에서 경험 학습의 적용 77
Ⅱ.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이론적 체계화를 위한 교수 원리
1장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이론적 체계화를 위한 전제·85
1. 한국어 말하기 교수의 목표와 범위 85
2. 한국어 말하기 교수 원리의 선정 및 기술의 방향 94
2장 한국어 말하기 교육 과정 설계를 위한 원리·101
1. 학습자 중심의 원리 102
1.1. 한국어 말하기 교수에서 학습자의 위상 102
1.2. 관련성에 따른 내용 생성 가능성 104
1.3. 자발적 몰입과 능동적 수행 107
2. 경험 중심의 원리 108
2.1. 과제와 전략의 한계를 극복한 경험 108
2.2. 반성적 경험을 통한 내재화 110
2.3. 난이도와 복잡성의 조절을 통한 경험의 제공 116
3장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내용 선정을 위한 원리·118
1. 담화 중심의 원리 119
1.1. 지식과 기능의 결합으로서의 담화 120
1.2. 담화 정보의 제공과 활용 123
2. 실제성의 원리 126
2.1. 자료와 활동의 실제성 126
2.2. 말하기의 특성과 구조를 반영한 자료 131
2.3. 능동적 수행의 가능성과 경험의 제공 137
4장 한국어 말하기 교수 방법 구안을 위한 원리·139
1. 메타언어적 사고 활성화의 원리 140
1.1. 메타언어적 사고를 통한 지식과 전략의 결합 142
1.2. 의식적 자기 조정을 통한 내재화 146
1.3. 메타언어적 사고를 통한 수행의 수월성 147
1.4. 총체적 접근으로서의 메타언어적 사고 149
2. 사회·문화적 지식의 활용의 원리 152
2.1. 언어 자체에 반영된 사회·문화적 지식 152
2.2. 의사소통으로서의 사회·문화적 지식 158
2.3. 내적 태도에 관여하는 사회·문화적 지식 164
Ⅲ. 한국어 말하기 교수 원리의 적용
1장 말하기 교수 원리의 개별적 적용·171
1. 말하기 교수 원리를 적용한 교수학습 내용의 구성 171
1.1. 학습자 중심의 원리를 적용한 내용의 구성 172
1.2. 실제성의 원리를 적용한 내용의 구성 175
1.3. 사회·문화적 지식 활용의 원리를 적용한
내용의 구성 179
2. 말하기 교수 원리를 적용한 교수 방법의 구안 182
2.1. 경험 중심의 원리를 적용한 교수 방안 182
2.2. 담화 중심의 원리를 적용한 교수 방안 184
2.3. 메타언어적 사고 활성화의 원리를 적용한 교수
방안 187
2장 한국어 말하기 교수 원리의 통합적 적용·191
1. 말하기 교수 원리를 적용한 교수 모형 192
1.1. 말하기 교수 원리를 적용한 반성적 경험 192
1.2. 반성적 경험을 통한 말하기 교수의 단계 195
1.3. 반성적 경험을 통한 말하기 교수의 실제 199
2. 말하기 교수 모형의 교육적 의의 207
2.1. 융통성 있는 교육 과정의 운영 208
2.2. 타 영역과 통합적인 말하기 교수 가능성 208
2.3. 개별화된 말하기 교수 가능성 209
3장 말하기 교수 원리를 적용한 말하기 코스웨어의 개발· 211
1. 말하기 코스웨어 개발의 필요성 및 의의 211
2. 한국어 말하기 코스웨어의 개발의 방향 214
2.1. 메타언어적 능력의 활성화를 통한 내용의 조직
및 정교화 214
2.2. 과제(task)와 담화의 실제성 확대 215
2.3. 담화 구성의 정확성과 적절성을 통한 말하기
수월성 증진 216
3. 말하기 코스웨어 설계를 위한 응용 기술 217
3.1. 인공지능형 대화 프로그램 217
3.2. 아바타 및 미니 홈피 219
3.3.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220
4. 한국어 말하기 코스웨어의 구성 체계 220
4.1. 수행 모듈(performance module) 221
4.2. 분석 모듈(analysing module) 223
4.3. 동기화 및 평가 모듈 (motivating & assessment
module) 225
5.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226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