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CENTOS 리눅스 구축관리 실무
CENTOS 리눅스 구축관리 실무
저자 : 김태용
출판사 : 수퍼유저코리아
출판년 : 2013
정가 : 34000, ISBN : 9788992927109

책소개


오늘날 대부분의 포탈서비스 운영에 리눅스가 사용되고 있다. 서버 운영에 있어서 비용절감과 검증된 성능 때문일 것이다. 대표적으로 다음포탈의 경우 1만대 가량의 서버 중 대부분 CentOS를 사용하고 있으며, 네이버도 비슷한 수준일 것이다. 한국LUG 서버의 운영체제도 CentOS를 사용하고 있다. 저자는 현재까지 리눅스의 사용용도로는 서버운영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조만간 임베디드 시스템개발을 위한 임베디드 OS, 데스크탑 사용을 위한 데스크탑 OS로 확고한 자리를 잡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CentOS 리눅스 구축관리 실무』는 CentOS 리눅스의 소개 및 활용방법을 다룬 책으로, 리눅스에 대한 전반적인 시스템 구조, 명령어와 서버 운영법 등을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

목차


제1부. CentOS 리눅스 소개와 설치
1장. 리눅스란 무엇인가?
1.1 리눅스 소개
1.2 CentOS 리눅스의 특징
1.3 리눅스 배포판의 역사와 배포판의 종류

2장. CentOS 리눅스 설치
2.1 설치전 준비사항
2.2 그래픽 모드 설치
2.3 설정 에이전트
2.4 텍스트 모드 설치
2.5 네트워크로 리눅스 설치하기
2.6 FTP를 이용하여 설치하기
2.7 NFS를 이용하여 설치하기

3장. CentOS 리눅스 부트로더 GRUB
3.1 GRUB란?
3.2 GRUB 둘러보기
3.3 GRUB 장치명
3.4 GRUB 설정 파일
3.5 GRUB 명령어

제2부. CentOS 리눅스 부팅과 기초관리
4장. CentOS 리눅스 시작과 종료
4.1 리눅스 부팅 과정
4.2 리눅스 로그인
4.3 시스템 종료와 재부팅

5장. CentOS 리눅스 사용자 관리
5.1 사용자 추가
5.2 사용자 비밀번호 설정
5.3 사용자 삭제
5.4 그룹 추가 삭제
5.5 유저 정보 조회
5.6 사용자 정보 수정
5.7 사용자 전환

6장. CentOS 리눅스 디렉토리 관리

7장. CentOS 리눅스 파일관리

8장. CentOS 리눅스 파일 압축 관리
8.1 tar

9장. CentOS 리눅스 패키지 관리
9.1 RPM이란?
9.2 RPM파일의 기본구성
9.3 RPM패키지 설치
9.4 yum 다루기

10장. CentOS 리눅스 시간 관리
10.1 clock
10.2 date
10.3 rdate

11장. CentOS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11.1 / (root) 디렉토리
11.2 하위 디렉토리

12장. CentOS 리눅스 파일시스템
12.1 파일시스템의 종류
12.2 파일시스템관련 설정파일과 명령어
12.3 파일 시스템 관리 명령어

제3부. CentOS 리눅스 시스템관리
13장. CentOS 리눅스 시스템 자동화
13.1 crontab 7

14장. CentOS 리눅스 로그관리
14.1 주요 로그 파일
14.2 로그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15장. rsync를 이용한 원격백업
15.1 서버측 설정
15.2 클라이언트 설정

16장. CentOS 리눅스 유저 사용량 제한
16.1 Quota 설치
16.2 Quota 설정
16.3 Quota 시작

17장. CentOS 리눅스 메모리관리
17.1 free

18장. CentOS 리눅스 프로세스관리
18.1 ps
18.2 pstree
18.3 kill
18.4 top

19장. CentOS 리눅스 서비스 관리
19.1 ntsysv
19.2 chkconfig
19.3 service

20장. CentOS 리눅스 시스템 설정 유틸리티
20.1 setup

21장. CentOS 리눅스 네트워크 관리
21.1 ping
21.2 ifconfig
21.3 네트워크 장치 설정 툴
21.4 nslookup
21.5 netstat
21.6 hostname

22장. CentOS 리눅스 커널
22.1 리눅스 커널 소개
22.2 커널 컴파일

제4부. CentOS 리눅스 서버운영
23장. CentOS 리눅스 DNS 관리
23.1 도메인이란
23.2 DNS 구조
23.3 DNS 서비스
23.4 CentOS 리눅스에서의 네임서버 설치, 운영
23.5 CentOS 네임서버 운영을 위한 설정파일
23.6 네임버서를 이용한 부하분산 방법(Round Robin)

24장. CentOS 리눅스 FTP 서버 운영
24.1 proftpd 서버 설치와 설정, 운영
24.2 proftpd 서버의 포트 기반 가상 ftp 서버 운영
24.3 vsftpd 서버 설치와 설정 및 운영

25장. DHCP 서버와 IP 마스크레이드
25.1 DHCP란
25.2 DHCP 서버 설치
25.3 DHCP 서버 설정
25.4 클라이언트 접속 설정
25.5 IP마스크레이드(인터넷 공유)

26장. CentOS 리눅스 웹서버 구축관리
26.1 웹서버란?
26.2 APM이란?
26.3 설치 전 준비사항
26.4 MySQL설치
26.5 Apache 설치
26.6 PHP 설치
26.7 환경설정
26.8 좀 더 나은 웹서버 운영을 위한 Tip
26.9 APM 테스트

27장. CentOS 리눅스 메일서버 구축관리
27.1 메일 서버란?
27.2 Sendmail 서버
27.3 Qmail 서버
27.4 스팸 메일과 바이러스 메일 필터링(qmail + vpopmail 기준)

28장. CentOS 리눅스 프락시 서버(squid) 구축관리
28.1 프락시(proxy)란
28.2 squid 설치
28.3 squid 설정
28.4 squid 데몬 실행과 테스트

29장. CentOS 리눅스 NFS 서버 구축관리
29.1 NFS 설치
29.2 환경설정
29.3 NFS 사용하기
29.4 방화벽 설정

30장. CentOS 리눅스 SAMBA 서버 구축관리
30.1 삼바 설치
30.2 환경 설정
30.3 삼바서버 실행
30.4 디렉토리 공유
30.5 환경설정 파일(smb.conf)
30.6 특정 유저에게만 공유
30.7 윈도우 공유폴더 접속
30.8 삼바관련 명령어
30.9 SAMBA 웹설정툴(SWAT)

31장. CentOS 리눅스 프린터서버 구축관리
31.1 윈도우 프린터 공유
31.2 리눅스 프린터 공유
31.3 리눅스 로컬 프린터 추가

32장. CentOS 리눅스 서버 보안
32.1 리눅스 서버 보안에 대하여
32.2 리눅스 시스템 기본보안원칙

33장. FreeNX 원격 데스크탑 서버
33.1 FreeNX 서버 설치
33.2 FreeNX 윈도우 접속 클라이언트 설치

34장. RRDtool과 cacti, iptraf 네트워크와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
34.1 RRDtool에 대하여
34.2 RRDtool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34.3 cacti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34.4 iptraf 네트워크 모니터링 도구

제5부. CentOS 리눅스 프로그래밍
35장. CentOS 리눅스에서 MySQL관리 입문
35.1 MySQL 접속하기
35.2 root의 비밀번호 설정하기
35.3 MySQL 접속끊기
35.4 show
35.5 데이터베이스 생성
35.6 DB 삭제
35.7 테이블 생성
35.8 데이터 입력
35.9 데이터 검색
35.10 데이터 수정
35.11 데이터 삭제
35.12 테이블 수정하기(필드추가)
35.13 필드 삭제
35.14 필드 이름 변경
35.15 WHERE
35.16 LIKE
35.17 LIMIT
35.18 사용자 추가하기
35.19 사용자 삭제하기
35.20 MySQL 관련 명령어

36장. CentOS 리눅스에서 PHP 프로그래밍하기
36.1 PHP란?
36.2 시작하기
36.3 변수형
36.4. 배열
36.5 연산자
36.6 제어문
36.7 반복문
36.8 include
36.9 함수
36.10 게시판 만들기

37장. CentOS에서의 자바 개발 환경과 톰켓 JSP 서버
37.1 자바의 특징
37.2 자바 설치와 이클립스 설치
37.3 이클립스를 이용한 자바 채팅 프로그래밍 기초
37.4 톰켓 JSP 서버 설치와 JSP 테스트

38장. Python 프로그래밍
38.1 파이썬 둘러보기
38.2 파이썬 설치하기
38.3 파이썬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38.4 종료하기
38.5 소스파일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38.6. 변수
38.7. 흐름제어
38.8. 함수
38.9. 모듈
38.10. 파이썬 활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