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
글 읽기와 삶 읽기 1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저자 : 조한혜정
출판사 : 또하나의문화
출판년 : 2004
정가 : 9000, ISBN : 9788985635028
책소개
여전히 서구에서 수입해온 첨단의 이론으로 치장함으로 권력을 얻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맥을 통해 자리를 굳혀가는 풍토가 지속되고 있는 학문계와 문단과 사회학계와 첨단과학 기술분야를 점검하며 저자는 이들의 바탕에 흐르는 식민 지성을 분석해 낸다. 저자는 우리 사회의식민지성을 두가지 다른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있는데, 하나는 비교 문화적 분석을 통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서이다. 지식, 권력, 경험의 개념을 중심으로 우리 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식민지 성>을 탈피,지식인의 주체적 의식을 제시했다.
목차
흥미롭게도 학생들은 추상화 수준이 높으면 그 나름대로 쉽게 소화하는 방식을 갖고 있다. 구태여 자신의 삶과 연결시켜 볼 필요없이 고식을 외우듯 머리 속에서 처리해 버리는 것이다. 사실상 이것은 입시 위주의 교육 체제에서 숨쉬듯 해오던 것이라 이 치열한 입시 전쟁에서 살아 남은 학생들은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어려운 텍스트를 끄덕없이 요약해 낸다. 물론 이것은 전혀 바람직한 학문 하는 방법이 아니나 학생들 자신이 무엇인가 어려운 것을 배웠다는 뿌듯한 느낌을 갖기에는 충분하다.
그러나 일상적 삶을 비추어주는 개념을 다루게 될 경우 사정은 달라진다. 문화와 관련된 가의는 헌실을 보는 감각을 공유하는 바탕이 없이는 의미있게 이루어질 수 없다. 그것은 숫자나 추상적 수준에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나자신의 문제로 풀려져야 하므로 여간 어렵지 않다. 이는 곧 우리의 인식 체계, 우리 자신들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 자체가 우리 것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또 한번 인식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