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을의 민주주의 (새로운 혁명을 위하여)
저자 : 진태원
출판사 : 그린비
출판년 : 2017
정가 : , ISBN : 9788976822796
책소개
계약관계의 일방을 가리키는 단어였던 ‘을’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 대중이 스스로를 자조적으로 부르는 이름이자 약자를 가리키는 대명사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제도적·절차적 민주주의가 공고화되는 가운데에도 점점 더 파괴되어 가는 한국이라는 공동체의 현실은 우리에게 ‘민주주의’에 대한 숙고를 다시금 요청하고 있다. “권력이 국민(혹은 people)에게 있다”라는 ‘주체’의 문제가 결국 민주주의의 핵심 정의라면, 위기 상황에 당면한 민주주의를 근본적으로 재구성하는 데 ‘을’이라는 새로운 주체에 대한 고찰이 단초를 제공할 수 있지 않을까. 이 책은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을’이라는 문제적 주체를 통해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를, 나아가 민주주의 일반을 면밀히 사유해 보려는 시도다.
목차
서문
1부 _ 민중의 이름으로
1장 김남주 이후
아직도 김남주야? | 김남주라는 시금석 | 이후에 대하여 | 뒤틀린 세월 | 민중의 이름으로, 혁명 | 민중의 이중성, 또는 이후의 김남주
2장 포퓰리즘, 민주주의, 민중
문제로서의 포퓰리즘 | 포퓰리즘, 민주주의의 타자인가 민주주의의 조건인가? | 포퓰리즘: 민주주의를 위한 어떤 조건? | 포퓰리즘을 어떻게 옮길 것인가?
3장 세월호라는 이름이 뜻하는 것: 폭력, 국가, 주체화
증상과 해석 | 불운과 불의 | 객관적인 것, 주체적인 것, 반인간적인 것: 치안 기계로서의 국가 | 검은 구멍 | 과소주체성: 구멍의 상상적 봉합 | 세월호가 호명하는 것
2부 _ 어떤 민주주의? 민주화, 주체화, 폭력
4장 민주주의의 민주화의 두 방향: 최장집과 에티엔 발리바르
들어가며 | 두 사람 사이의 공통점 | 두 사람 사이의 차이점 | 결론을 대신하여
5장 무정부주의적 시민성?: 한나 아렌트, 자크 랑시에르, 에티엔 발리바르
들어가며 | 아렌트와 인권의 역설 | 희생자들의 권리로서 인권: 랑시에르의 비판 | 정치에 대한 보편적 권리: 발리바르의 아렌트 해석 | 무정부주의적 시민성
보론 | 개인 -보편적이면서 독특한
6장 대중의 정치란 무엇인가?: 네그리와 하트의 다중의 정치학 비판
대중의 시대에서 다중의 시대로? | 네그리·하트의 다중의 정치 | 다중의 정치는 스피노자주의적인 정치인가? | 맺음말
7장 정치적 주체화란 무엇인가?: 푸코, 랑시에르, 발리바르
들어가며 | 미셸 푸코: 저항, 신자유주의, 주체화 | 자크 랑시에르: 민주주의, 치안, 주체화 | 에티엔 발리바르: 봉기적 시민성, 주체화, 시민다움
8장 극단적 폭력과 시민다움: 에티엔 발리바르의 반폭력의 정치에 대하여
발리바르 폭력론의 문제 설정 | 극단적 폭력 개념 | 시민다움의 전략 | 몇 가지 쟁점
3부 _ 을의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9장 몫 없는 이들의 몫: 을의 민주주의를 위하여
몫 없는 이들로서의 을 | 인터레그넘의 시대 | 어떤 정치적 주체?
10장 행복의 정치학, 불행의 현상학
들어가며: 행복 담론, 불행한 사회 | 불행한 나라의 행복한 젊은이들? 포스트모던 행복감의 성격 | 소실점으로서의 행복 | 불행의 현상학을 위하여: 몇 가지 가설
11장 을의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정치철학적 단상
‘을의 민주주의’에 관해 말하기 | 을을 위한, 을에 의한, 을의 민주주의 | ‘정치적 주체’로서의 을: 몇 가지 개념적 비교 | 아포리아로서의 을의 민주주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