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고대국가학(바로찾는)(양장본 HardCover) (고조선의 국가와 행정)
한국고대국가학(바로찾는)(양장본 HardCover) (고조선의 국가와 행정)
저자 : 김석준
출판사 : 대영문화사
출판년 : 2020
정가 : 57000, ISBN : 9788976447548

책소개


저자는 국가와 행정에 대해 연구하면서 국가, 국가위기, 국가능력, 거버넌스능력 등에 대해 연구를 집중해왔다. 이러한 학문적인 배경에서 한국고대국가학을 연구하게 된 것이고, 국가학 이론을 바탕으로 고대국가를 연구·해석·비판하고자 하는 것이다.

목차


│제1부│ 고조선 국가연구 이론
여는장
1.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3
2. 연구의 기본 가설과 연구 내용 6
3. 선행연구와 국가학 이론 적용의 가능성과 한계 15
4. 인공지능시대의 학문과 접근방법 18
제1장│한국고대국가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1. 한국 고대역사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22
(1) 한국 고대역사 연구에 대한 평가/22
(2) 1945년 이후 한국고대국가 연구 성과 및 동향/24
(3) 단군사화의 전승과 근대적인 연구/27
(4) 일제식민사관과 단군조선·기자조선 부인 및 위만조선 인정/30
(5) 식민·중화사학의 극복 시도/33
2. 한국 고대사회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35
(1) 신용하의 『고조선 국가형성의 사회사』 등/35
(2) 평 가/35
3. 한국 역사정치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36
(1) 신채호의 『조선상고사』/36 (2) 안확의 『조선문명사』 등/38
(3) 진덕규의 『한국정치의 역사적 기원』/39
4. 한국 고대경제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40
(1) 백남운·전석담·리지린의 유물론·‘아시아적 생산양식’론/40
(2) 김용섭의 『농업으로 보는 한국통사』 등/40
5. 한국 고대문화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43
(1) 최남선의 불함문화론/43 (2) 손진태의 민속학·인류학적 연구/46
(3) 김경동의 한민족문화원형이론/47 (4) 신용하의 ‘한’부족의 한강문화론/49
6. 한국 고고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49
7. 한국고대사연구에 대한 고대사학계의 종합적인 평가 52
8. 고조선 역사에 대한 한국 고대사학계의 소극적 해석과 적극적 해석 57
제2장│고대국가에 대한 국가이론적 접근
1. 종합 학문으로서의 국가이론과 국가학 59
2. 국가: 역사의 주체로서의 국가의 7가지 차원의 개념 59
(1) ‘나라’로서의 국가/60
(2)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국가/61
(3) ‘지배연합·지배계급·지배블럭’으로서의 국가/61
(4) ‘사회관계의 응집’으로서의 국가/62
(5)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62
(6) ‘정부·정권·통치집단’으로서의 국가/63
(7) ‘국왕·국가관리자·국가엘리트’로서의 국가/63
3. 국가위기 66
(1) 상위맥락 차원의 국가위기/66 (2) 중간맥락 차원의 국가위기/68
(3) 구성부문에서의 국가위기/69
4. 국가변동: 문명순환론과 국가발전론 71
(1) 스펭글러의 문명순환론과 기승전결론/71
(2) 알몬드와 박동서의 국가발전단계이론: 국가형성, 국민형성, 경제발전, 참여 및 배분/72
(3) 스펭글러의 문명순환론과 알몬드·박동서의 국가발전단계론의 통합/73
5. 국가위기와 국가변동의 관계: 내인론과 외인론 73
(1) 토인비의 내인론적 문명순환론: 도전과 응전의 기승전결/73
(2) 토인비의 외인론적 문명순환론: 외적 프롤레타리아트와 고난의 시기/74
(3) 크레벨드의 국가발전의 단계별 유형과 전개/77
(4) 진덕규와 만의 IEMP 이론에 따른 국가의 유형과 역사적 전개/78
(5) 국가의 7가지 개념 간의 상호관계: 내인론과 외인론/80
6. 국가성격의 변화 86
(1) 국가의 역할/86 (2) 국가의 힘/86
(3) 국가자율성/87 (4) 국가의 비연속성과 연속성/88
(5) 국가의 ‘비동시성의 동시성’과 ‘동시성의 비동시성’/89
(6) 국가의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91
(7) 거버넌스/92
7. 국가능력 93
8. 한국고대국가에 대한 융합학문적 접근과 통합적 연구방법 95
(1) 정상과학과 융합적 접근의 필요성/95
(2) 상위맥락·중간맥락·구성부문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98
(3) 국가의 7가지 개념 수준별 접근방법/100
9. 연구의 분석틀 104
(1) [분석틀 Ⅰ]: 국가의 7가지 개념 수준별 분석/104
(2) [분석틀 Ⅱ]: 세계체제·사회계급·7개의 변수 간 국가발전·기승전결 단계별 상호관계 분석틀/105
(3) [분석틀 Ⅲ]: 국가·국가위기·국가변동·국가성격변화·국가행정·국가정책의 분석틀/106
제3장│고조선의 건국
1. 고조선 ‘나라’의 건국 108
(1) 고조선 건국의 의의/108 (2) 인류의 탄생과 한민족의 등장/109
(3) 고조선(아사달)문명권의 형성/113
(4) 동이족·조선족에 대한 중국고문서의 시각/115
(5) 고조선의 등장/117
2. 『삼국유사』로 본 나라의 건국 119
(1) 『삼국유사』의 고조선 건국 기록/119
(2) 고조선 건국 기록의 열일곱 가지의 함의/121
3. ‘석유환국’이냐 ‘석유환인’이냐? 128
(1) 『삼국유사』의 변조설/128 (2) 환국에 대한 『삼성기』의 기록/133
(3) 환국의 역사성과 신화성/136 (4) 단군왕검과 단군조선의 역사성/143
(5) 『환단고기』에 대한 일본의 관점/148
4. 건국의 성격과 시기 149
(1) 고대 역사서에서의 기록/149 (2) 별자리로 본 나라의 건국/151
(3) 단군사화의 3단계/155 (4) 고조선의 시기 구분/157
5. 청동기문화와 고조선의 건국 158
(1) 고조선의 역사성 부정 논리/158 (2) 고조선의 청동기 역사성/158
(3) 청동기문화의 연대 측정/160
(4) 청동기 유물의 지리적 분포와 고조선의 세력범위/161
(5) 청동기문화의 오리엔트 기원설과 유럽기원설/162
6. 고인돌문화와 고조선의 건국 165
(1) 고인돌문화의 기록/165 (2) 고인돌문화의 지리적 분포/166
(3) 고인돌문화의 측정 연대/168
7. 기록과 유물을 통해 본 고조선의 건국 172
제4장│고조선의 성격 논쟁
1. 고조선 국가의 성격 논쟁 173
(1) 단군과 단군조선은 역사인가 신화인가/173
(2) 단군과 단군조선의 부정과 신화화/176
(3) 단군과 단군조선의 인정과 역사화/178
(4) 단군과 단군조선을 인정한 이병도·최태영의 『한국상고사 입문』/181
(5) 최태영의 세년가의 발견과 일본 현지답사를 통한 고조선 역사의 확인/189
(6) 18세기 프랑스 신부 레지가 전하는 고조선 국가 역사의 실체성/191
2. 고조선에 대한 한국 역사서의 성격 논쟁 195
(1) 문헌고증학·문서비평과 위서논쟁/195
(2) 『규원사화』에 대한 위서논쟁 검토/195
(3) 『환단고기(桓檀古記)』에 대한 위서논쟁 검토/207
(4) 『단기고사』에 대한 위서논쟁 검토/227
(5) 『규원사화』·『환단고기』·『단기고사』의 위서론에 대한 종합적 검토/230
3. 고조선에 대한 중국 역사서의 기록 241
(1) 중국 역사서에 대한 리지린·윤내현·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의 정리/241
(2) 중국 『사고전서』에서 심백강이 찾아낸 고조선 사료들/243
4. 한국고대사에 대한 외국의 역사왜곡·역사전쟁과 한국의 대응 244
(1) 역사내전·역사전쟁과 역사왜곡/244
(2) 중국의 동북공정·탐원공정·요하공정 등을 통한 역사전쟁/246
(3) 일본의 역사왜곡/249
(4) 한국의 대응/251
제5장│세계문명, 세계체제, 중국, 북방, 일본 및 고조선의 관계
1. 세계문명, 세계체제 및 고조선의 관계 257
2. 고조선 건국 전후의 세계문명과 도시국가들 258
(1) 고조선 개국 시대와 세계 차원의 4대 문명의 전개/258
(2) 메소포타미아 지역/260 (3) 이집트문명/263
(4) 인더스문명 모헨조다로/265 (5) 에게문명/266
(6) 황화문명/267 (7) 요하문명과 홍산문화/268
3. 세계적인 고대국가들의 건국과 고조선의 관계 271
(1) 요하문명 유적발굴과 『환단고기』 기록의 상관성/271
(2) 신용하의 설명/276
4. 고조선 시대 세계체제의 성격 278
(1) 고조선 시대 대륙 세계체제의 성격/278
(2) 고조선 시대 해양 세계체제와 해륙교통망/280
(3) 고조선 시대 육상 세계체제와 육상교통망/282
5. 고조선과 중국의 관계 285
(1) 고조선과 중국의 정치외교관계 및 전쟁의 전개/286
(2) 고조선과 중국의 경제적인 관계/291
(3) 고조선과 중국의 문화교류/294
(4) 고조선과 중국의 주민이동/299
6. 고조선과 북방지역의 관계 302
(1) 고조선과 북방지역의 관계/302 (2) 고조선과 중국 및 북방의 관계/307
7. 고조선과 일본열도의 관계 307
(1) 신석기시대 한반도문화가 일본 조몬문화에 미친 영향/309
(2) 청동기시대 한반도문화가 일본 야요이문화에 미친 영향/311
(3) 사회관계의 발달 수준을 통해 본 고조선과 일본의 관계/314
(4)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신화와 문화교류/314
(5) 소국의 형성과 야마타이국: 중국사서에서 보이는 고대 일본열도/317
8. 동아시아 최초 제국으로서의 고조선의 전개 318
(1) 동아시아 최초 고대국가와 고조선문명권 형성/318
(2) 동아시아 최초의 신석기시대 농업혁명과 고유한 식문화 형성/320
(3) 청동기문화 형성(약 5,100~3,800년 전)과 중국에 앞선 철기문화/321
(4) 고조선의 다양한 세계 최초 선진문명/321

│제2부│ 고조선 국가의 해부: 일곱 얼굴 고조선
제6장│고조선의 ‘나라’로서의 국가

1. ‘나라’로서의 국가 325
2. 국가·국호 325
(1) 국가·국호로서의 ‘조선’/325
(2) 고조선, 단군조선, 기자조선, 위만조선, 창해군의 호칭·위치 문제/332
3. 민족형성 337
(1) 한민족이동설/337 (2) 한민족정착설/342
(3) 한민족이동설과 한민족정착설의 조화/347
(4) 한민족·조선민족의 형성과 성격/348
4. 영토와 수도 349
(1) 영토와 국경/349 (2) 고조선의 영토: 확장과 축소/353
(3) 첫 수도 평양성·아사달/358 (4) 도읍지·수도·부수도의 이전/365
5. 주권형성 373
(1) 절대권력으로서의 주권/374
(2) 연합 부족들의 추대 및 지배연합 구성 부족과의 관계/374
(3) 주권의 상징 천부인/375
(4) 제의·군장으로서의 주권자 단군의 역할/375
(5) 주권자 단군의 역사성과 승계/375
(6) 주권자 단군의 실존관련 문헌 기록/376
(7) 주변 국가들과 고조선의 거수국 위치/376
(8) 주변 국가들과의 전쟁 등을 중심으로 본 주권/376
(9) 주권과 외교활동/379
(10) 기자조선·위만조선·한사군과 주권문제/380
6. 동아시아 최초 제국으로서의 고조선의 전개와 국가능력 390
(1) ‘나라’로서의 동아시아 최초 제국인 고조선/390
(2) 단군조선·기자조선·위만조선·창해군·고죽국의 관계/391
(3) 단군조선·기자조선·위만조선과 제1~4 단군정권/391
제7장│고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국가
1.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국가 393
2. 고조선(아사달)문명권과 고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 형성 394
(1) 단군사화의 성격: 한(환)국시대·신시시대·단군조선시대의 계속성과 융합성/394
(2) 고조선의 건국이념과 문화적 선차성·우월성/400
(3) 중국 서부족에 의한 문화의 역전과 침체/402
(4) 동아시아 역사 속의 고조선문명·아사달문명/404
3. 단군사화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409
(1) 천손·생명의식/409
(2) 세 가지 위험과 지배이데올로기/411
(3) 세 개의 천부인과 지배이데올로기/412
(4) 세 가지 위험과 세 개 천부인의 관계/413
4. 홍익인간 사상과 고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 414
5. 삼신사상과 고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 416
6. 불함문화론과 고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 419
7. 요하문명의 발전과정과 고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 420
8. 한강문화론과 고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 422
9. 무속과 샤먼교를 믿는 하늘 숭배 종교 423
10. 고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와 고조선의 문화력 426
(1) 고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의 성격/426
(2) 고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의 전개와 고조선의 문화력/428
제8장│고조선의 ‘지배연합·지배계급’으로서의 국가
1. 지배연합·지배계급으로서의 국가 429
(1) 지배연합으로서의 국가/429
(2) 지배연합형성으로서의 한민족의 형성/429
2. 이병도의 예맥족 1부족설의 내용과 그 평가 432
(1) 예맥족, 예족, 맥족의 성격과 그들의 관계/432
(2) 왕부의 『잠부론』과 한민족/434
(3) 이병도의 1부족설의 평가/437
3. 예족과 맥족의 2부족설 438
(1) 김상기의 예족과 맥족의 2부족설과 그 평가/438
(2) 김용섭의 예족과 맥족의 2부족설과 그 평가/441
(3) 리지린의 예족과 맥족의 2부족설과 그 평가/445
4. 신용하의 한족·예족·맥족의 3부족설과 그 평가 447
(1) 한족·예족·맥족의 3부족 연합·결합설/447
(2) 한국의 고문서 『삼국유사』 등에서 보이는 한·맥·예 3부족 결합/448
(3) 문화를 통해 본 한·맥·예 3부족 결합과 천도와의 관계/449
(4) 중국의 고문헌에 기록된 한·맥·예 3부족 결합/455
(5) 중국의 고고유물에서 보이는 한·맥·예 3부족 결합/457
(6) 신용하의 한·맥·예 3부족 결합설에 대한 평가/458
5. 고조선 지배연합의 성격과 고조선 국가의 위상 460
(1) 고조선 지배연합의 성격/460
(2) 부족·지배연합·속국·후국·거수국 등의 연합/463
(3) 고조선의 제1~4정권변동과 국가위상의 변화/463
제9장│고조선의 ‘사회관계 응집’으로서의 국가
1. 사회관계 응집으로서의 국가 465
(1) 사회관계 응집으로서의 국가: 고조선 국가형성의 생산과 기술의 기초/465
(2) 사회관계의 응집에 관한 현대 사회과학이론/465
2. 고대국가의 형성을 유도한 청동기 무기와 청동기문화활동 468
(1) 청동기 유물을 통한 분석/468
(2) 고문서를 통한 고조선의 군사력 구축과 전쟁활동/476
3. 고대국가형성의 기반이 된 농경시대 농업·목축업·어업·잠업 활동 477
(1) 유물을 통해 본 농경시대 농업·목축업·어업 활동/477
(2) 고문서를 통해 본 농경시대 농업·어업 활동/481
(3) 고대국가 농경시대의 잠업 관련 유물과 잠업 활동/482
4. 한국 고대사회 발전과 국가형성단계에 대한 여러 가설 483
5. 마르크스주의의 원시공동체사회와 고대 노예제사회론 486
(1) 원시공동체사회와 부족사회/487
(2) 고대 노예제사회와 연맹국가/488
6. 경제력·생산력을 중심으로 한 사회관계의 응집 형성 490
(1) 사회관계로서의 농업과 잠업 등 생산과 기술의 발달/490
(2) 고조선의 수공업과 상업/494
(3) 사회관계의 응집으로서의 화폐 경제의 발달/503
7. 경제와 사회관계의 변화 509
(1) 한민족의 시원 문명권과 고대 민족들의 세 가지 경제활동 유형/509
(2) 고대 한민족의 농경문화 발전과 고조선 국가형성/511
(3) 김용섭의 사회관계 응집에 대한 평가/516
8. 의식주생활과 사회관계 518
(1) 고조선 사람들의 복식과 의생활/518
(2) 고조선 사람들의 음식과 식생활/522
(3) 고조선 사람들의 주택과 도시 및 주거생활/528
(4) 고조선의 궁궐과 창고·감옥 등/532
9. 사회관계의 응집과 고대국가의 형성 536
(1) 한국 고대사회관계/536
(2) 고조선의 사회관계와 국가의 형성/537
(3) 사회관계의 변화와 단군조선의 정권변동/538
제10장│고조선의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1.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540
2. 고조선의 중앙통치조직과 관료기구 542
(1) 환웅시대의 통치조직/542
(2) 고조선의 초기 중앙·지방·군사 융합통치조직/542
(3) 고조선 중앙정부 관료조직/544
3. 고조선의 지방통치체제 546
(1) 3한 3경5부제에서 3조선 5경5부제로의 확대/546
(2) 고조선의 영토 확장과 지방통치체제 확장/546
(3) 국가와 지방 후국·속국·거수국·제후국 등의 통치구조/546
4. 고조선의 군사조직 및 제도 547
(1) 초기 군사조직/547 (2) 중기 이후 군사조직/548
(3) 고조선의 군사제도/548 (4) 고조선의 군사무기체제/548
(5) 고조선의 방어체제와 석성·성곽/549
5. 고조선의 불문헌법과 그 내용 549
6. 고조선의 법률과 그 내용 554
(1) 고조선의 형법 8조금법/554 (2) 정전제와 세법/556
(3) 고조선의 민법·가족법·경제법 등/558
7. 고조선의 홍범구주 560
(1) 부루의 서행과 수두의 전파 및 귀환/560
(2) 홍범구주의 내용/561
(3) 홍범구주의 내용과 고조선 국가운영의 질서/563
8. 한국의 오훈과 다섯 가르침 및 교육법 568
(1) 한국의 오훈/568 (2) 신시의 오사/569
(3) 화랑오계/570
9. 역대 단군의 정부조직과 헌법 및 법률관련 활동 570
10. 고조선 문화와 법 제도의 중국 전파 572
11.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변화와 고조선 국가변동 573
제11장│고조선의 ‘통치집단과 정권·정부’로서의 국가
1. 통치집단과 정부로서의 국가 575
2. 고조선의 통치집단 구성 576
(1) 국왕과 단군족·한족/576
(2) 3한·부왕·비왕제도와 3경(5경) 통치세력/579
(3) 후왕·왕비족·제후 및 5가합의제·화백제도·9대국·12소국귀족 통치세력/579
(4) 한·예·맥족과 8가의 관계/581
3. 고조선 통치세력의 교체와 변동 581
4. 제의군장제, 문신, 무신 및 국왕옹립체제와 고조선 정권의 성격 584
5. 중앙통치집단과 5가(8가) 지배계급 585
6. 중앙과 지방의 통치집단 및 3,000단부 지배집단의 역할 588
7. 혼인동맹과 지배연합을 통한 통치집단과 지배세력의 형성 588
8. 고조선의 통치세력 확장과 후국 제도 및 제1·2형 후국 591
(1) 후국 제도와 제1·2형 후국/591
(2) 통치세력 확대와 고조선족의 이주·확산/592
9. 역대 단군의 통치세력 확대, 영토 확장 및 후국 개척·관리 상황 593
(1) 제1정권: 한족정권/593
(2) 제2정권: 맥족정권(한맥족정권)/596
(3) 제3정권: 예족·기자정권(예맥족정권)/597
(4) 제4정권: 예족·위만정권(예맥족정권)/597
10. 고조선의 사회구조와 신분 구성 및 통치세력의 성격 600
11. 기자정권 통치세력의 성격 601
(1) 기자동래설에 대한 논의/601 (2) 기자정권 지배세력의 성격/607
(3) 기자정권 통치세력에 대한 국제정치적 인식/610
12. 위만정권 통치세력의 성격 612
(1) 위만정권의 성격/612 (2) 위만정권 통치세력의 성격/613
13. 고조선 통치세력·정부·정권으로서의 정권변동 615
(1) 고조선 통치세력의 변동/615
(2) 고조선 통치세력의 변동과 정권변동/615
제12장│고조선의 ‘황제·국왕’으로서의 국가
1. 고조선 국왕의 성격 617
(1) 고조선의 국왕 단군/617 (2) 군주제와 황제·제왕 단군/618
2. 고조선의 국왕과 제의-군장제 621
(1) 단군의 호칭과 제의-군장제의 의의/621
(2) 제의-군장체제의 성립과 성격/622
3. 단군왕검의 추대와 고조선 국왕의 세습제도와 교체방식 623
4. 국왕의 통치능력·생존능력과 재위기간의 상관성 628
5. 국왕의 통치기간과 통치능력 631
(1) 국왕의 생존능력과 통치능력/631 (2) 단군조선 국왕 47대의 특성/632
(3) 단군조선 국왕 47대의 제왕 즉위와 세습/633
6. 고조선 국가발전 과정의 기·승·전·결에 대한 시대 구분 639
(1) 고조선의 시대 구분/639
(2) 고조선의 국가발전 과정: 국가의 기·승·전·결 단계/641
(3) 고조선의 기·승·전·결 시기 구분과 기자정권·위만정권·열국/643
(4) 단군의 1·2·3·4정권 구분과 기·승·전·결의 경험적인 시기 구분/645
7. 역대 단군의 역할과 고조선의 흥망성쇠: 정권분석의 중기 사이클 647
(1) 기의 단계 고조선의 기반구축: 국가형성의 단계/647
(2) 승의 단계 고조선의 발전: 국민형성의 단계/647
(3) 전의 단계 고조선의 번성과 전환: 경제발전의 단계/648
(4) 결의 단계 고조선의 쇠퇴: 반란과 국력쇠퇴의 단계/649
8. 고조선 기의 단계와 국가형성 과정에서의 역대 단군들의 역할 649
(1) 기의 단계 단군왕검의 고조선 건국과 국가형성의 기반 구축/649
(2) 부루의 국제활동·영토확장과 가륵·오사구의 국가이념 공고화/652
(3) 건국 초기의 위기와 극복/655
9. 고조선 승의 단계·국민형성 과정에서의 역대 단군들의 역할 658
(1) 부족국가연합과 국민형성/658
(2) 덕치를 통한 국민형성/658
(3) 합의제와 천경신고를 통한 국민형성/659
(4) 지방통치체제 정비 및 소도·천지화랑제를 통한 국민통합/660
(5) 애한가와 삼신제사 등을 통한 국민통합/662
(6) 주천력과 『팔괘상중론』 등 천문지리를 통한 국민통합/663
10. 고조선 국가발전의 전의 단계와 경제발전 665
(1) 전의 단계와 경제발전/665
(2) 영토확장·전쟁을 통한 국민형성과 경제발전/666
(3) 소도증설·제의활동 강화를 통한 국민형성과 경제발전/667
(4) ‘직신강론’과 관료윤리확립을 통한 국민형성과 경제발전/668
(5) 천재지변으로 인한 초기 경제발전의 실패/669
(6) 농업 발달, 일본·연 평정 및 경제발전/670
(7) 경제발전의 실패와 국가의 쇠퇴/671
11. 고조선 결의 단계·국력쇠퇴 과정에서의 역대 단군들의 역할 673
(1) 왕권의 약화와 반란 및 제후권력의 강화/673
(2) 국가능력 쇠퇴 및 국가의 재정 파탄/674
(3) 고조선의 쇠퇴와 북부여정권의 등장/675
(4) 『규원사화』, 『단군세기』 및 『단기고사』의 기록 비교/680
12. 단군과 5가(8가) 및 제1~4 단군정권의 변동 680

│제3부│ 고조선 국가의 변동과 주요 행정·정책
제13장│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1. 국가의 흥망성쇠와 기승전결의 장기·중기·단기 사이클 685
(1) 장기 사이클/685 (2) 중기 사이클/687
(3) 단기 사이클/687
2. 국가위기 688
(1) 국가위기의 성격/688
(2) 국왕 수준의 국가위기/689
(3) 통치집단과 정부 및 정권의 위기/690
(4)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위기/691
(5) 사회관계의 응집으로서의 국가위기/693
(6) 지배연합으로서의 국가위기/693
(7) 상부구조인 지배이데올로기 위기로서의 국가위기/695
(8) 나라로서의 국가위기/696
3. 국가위기 발생과 국가변동의 원인론 697
(1) 외인론/697 (2) 내인론/700
(3) 내인론과 외인론의 통합형/702
4. 고조선 기·승·전 단계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의 성격 704
(1) 기의 단계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 단군 1·제1 한족정권시대/704
(2) 승의 단계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 단군 2·제2 맥족정권시대/705
(3) 전의 단계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 단군 3·제3 예족·기자정권시대/709
5. 고조선 결의 단계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의 성격 714
(1) 고조선 결의 단계의 기본 성격/714
(2) 이어진 반란과 해모수의 북부여의 등장: 단군 3.5·제3.5 정권시대/717
(3) 위만정권의 등장과 몰락: 단군 4·제4 예족·위만정권시대/720
6. 장기 사이클로의 단군조선 결의 시기: 고조선·고조선문명의 붕괴와 후삼한·열국시대로의 부활 724
(1) 고조선문명의 붕괴 과정과 함의/724
(2) 후삼한과 열국시대의 국가변동의 성격/726
(3) 후삼한과 한사군의 성격/729
(4) 부여·옥저·동예/730
(5) 구고구려와 고구려/734
(6) 진국과 후삼한/735
(7) 고조선문명의 계승과 고구려·신라·백제·가야/739
7. 고조선 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의 상호활동의 전개 741
(1) 세계체제의 변동과 한민족 열국들의 세계진출/741
(2) 고조선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의 기승전결의 전개(통합론)/743
(3) 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의 상호활동과국가변동의 내인론·외인론·통합론의 함의/744
제14장│고조선의 국가성격과 국가능력의 변동
1. 고조선의 국가성격 746
(1) 고대국가의 성격/746 (2) 고조선의 국가역할/747
(3) 고조선 국가의 힘/750
2. 고조선의 국가자율성 751
(1) 국가성격과 국가자율성/751 (2) 기와 승 단계의 국가자율성/752
(3) 전과 결 단계의 국가자율성/753
3. 고조선의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 754
(1) 고조선의 기와 승 단계에서의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754
(2) 고조선의 전과 결 단계에서의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755
(3) 후삼한과 열국들의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757
4. 고조선의 연속성과 비연속성 759
(1) 연속성과 비연속성/759
(2) 경로창조성·경로의존성과 연속성·비연속성의 관계/760
5. 고조선의 ‘비동시성의 동시성’과 ‘동시성의 비동시성’ 761
(1) 고조선 내부의 ‘비동시성의 동시성’/761
(2) 고조선과 중국의 동시성과 비동시성/762
(3) 고조선과 일본의 동시성과 비동시성/765
6. 고조선의 거버넌스 765
7. 고조선의 국가능력 766
(1) 국가형성능력/766 (2) 국민형성능력/767
(3) 경제발전능력/768 (4) 세계체제관리능력/769
(5) 정치발전능력/771 (6) 사회발전·복지능력/772
(7) 고조선 국가능력의 기승전결 시기별 종합적인 비교/773
8. 고조선 주요 변수들의 기승전결의 전개(통합론) 775
(1) 고조선의 정권별 주요 변수들의 전개 요약/775
(2) 고조선 국가에 대한 이 책의 연구 명제와 가설의 검토/775
제15장│고조선의 국가 행정체제와 주요 행정
1. 국가 행정체제와 주요 행정 782
2. 고조선의 국가 행정체제 783
(1) 제의-군장 권력구조/783 (2) 고조선의 국가 행정체제/783
3. 국왕과 최고 정책결정 기구 784
(1) 국왕의 권한과 기능변화/784
(2) 국왕과 부왕(비왕)·후왕·제후/785
(3) 5가합의제·8가합의제·제가합의제·화백제도/786
4. 고조선의 중앙통치조직 787
(1) 환웅시대의 통치조직/787
(2) 고조선의 초기 중앙통치·지방·군사 융합조직:삼한·삼경·오가·오부·오군제도/789
5. 고조선 중앙정부 관료조직: 환웅5가·단군5가·단군8가와 주요 행정 793
(1) 단군5가와 단군8가제/793 (2) 단군8가의 기능과 주요 담당자/795
(3) 단군8가제의 중앙정부 업무 기능 배분/801
6. 고조선의 지방통치체제 803
(1) 초기 3경5부제에서 5경5부제로의 확대/803
(2) 고조선의 지방통치체제 확장/805
7. 고조선의 군사조직 및 군사제도 807
(1) 초기 군사조직/807 (2) 중기 이후 군사조직/808
(3) 고조선의 군사제도/810 (4) 고조선의 군사무기체제/812
(5) 고조선의 방어체제와 석성·성곽/812
8. 고조선 중앙·지방정부·군의 관료계급 813
9. 주요 국가 행정체제·행정의 성격과 국가능력 815
제16장│고조선의 주요 정책
1. 단군8가와 주요 정책 818
2. 정책총괄: 호가·용가의 국정 총괄 819
(1) 총괄정책/819
(2) 역대 단군의 총괄정책 및 통치활동/822
3. 종교·문화정책: 학가의 주선악 담당·단군의 제사장 역할 보좌 824
(1) 종교정책/824 (2) 종교·문화정책·문화활동/825
(3) 역대 단군의 종교·문화정책·문화활동/827
4. 교육·외교정책: 마가의 주명 담당·단군의 제사장-군장 역할 보좌 828
(1) 지배이데올로기 이념교육정책/828
(2) 교육정책/830
(3) 교육·예술문화정책/830
(4) 역대 단군의 교육·예술문화정책/832
(5) 외교정책/832
5. 국방정책: 웅가의 주병 담당·단군의 군장 역할 보좌 834
(1) 국방정책/834 (2) 역대 단군의 국방정책/838
6. 경제정책: 우가의 주곡 담당·단군의 군장 역할 보좌 840
(1) 경제정책·농업정책/840
(2) 역대 단군의 경제정책·농업정책/845
(3) 과학기술정책·천문기상활동/845
7. 보건의료정책: 로가의 주병 담당·단군의 군장 역할 보좌 846
(1) 보건의료정책/846 (2) 역대 단군의 보건의료정책/848
8. 법무정책·형사정책: 응가의 주형 담당·단군의 군장 역할 보좌 849
(1) 법무정책/849 (2) 역대 단군의 법무정책/852
9. 지방행정·지방자치정책: 구가의 지방업무·단군의 군장 역할 보좌 856
(1) 지방행정·지방자치정책/856
(2) 역대 단군의 지방행정·지방자치정책/859
10. 국가능력과 주요 정책의 변동 859
닫는장│
1. 고조선의 건국과 한국고대국가의 원형 863
2. 고조선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 그리고 끈질긴 생존능력 867
3. 고조선의 단계별 국가능력 871
4. 고조선의 행정체제와 주요 정책 872
5. 국가위기, 정권변화, 국가능력변화, 정책변화 및 국가위상변화 874
6. 『한국고대국가학: 고조선의 국가와 행정』을 맺으며 877

참고문헌/881
찾아보기/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