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
농촌사회제도연구
저자 : 윤수종
출판사 : 전남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0
정가 : 20000, ISBN : 9788975987878
책소개
농촌사회제도를 심도있게 살펴보는 연구서이다. 농촌사회제도라고 하면 토지제도, 지주제도를 중심으로 생각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 외에 노동을 둘러싼 관계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제도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농촌사회제도에 대한 연구는 농촌에서 사라져 가는 다양한 제도들에 대한 기록작업으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목차
1장 서론
2장 두레
1. 발생배경 및 분포
2. 두레의 성원과 결합범위
1) 두레의 성원
2) 두레의 결합범위
3. 두레의 조직
4. 작업내용 및 노동방식
1) 작업내용(두렛일)
2) 노동방식
5. 두레의 의식과 행사
6. 두레의 분배체계
7. 두레의 변모
8. 8·15 이후 두레의 소멸
3장 품앗이 _
1. 일제시기 품앗이의 성격
1) 품앗이의 분포
2) 품앗이의 결합범위
3) 품앗이의 조직
4) 품앗이의 작업내용 및 작업방식
5) 품앗이의 분배체계
6) 품앗이의 변모
2. 8·15 이후 품앗이의 성격과 그 변화
1) 품앗이의 분포
2) 품앗이의 결합범위
3) 품앗이의 조직
4) 품앗이의 작업내용 노동방식
5) 품앗이의 분배체계
6) 품앗이의 변모
4장 고지
1. 일제 시기의 고지
1) 고지의 발생
2) 고지의 분포
3) 고지대의 구성원과 결합범위
4) 고지대의 조직
5) 작업내용 및 노동방식
6) 임금 및 분배방법
7) 고지대의 변모
2. 8·15 이후 고지의 변모
1) 고지의 분포
2) 고지의 구성원과 결합범위
3) 고지의 조직
4) 고지의 작업내용 및 노동방식
5) 고지의 분배체계
6) 고지의 변화
5장 소겨리와 소배내기
1. 소겨리
2. 소배내기
1) 소배내기의 연혁과 분포
2) 위탁자 수와 배냇소의 규모
3) 배내기의 방법 및 계약 관행
4) 소배내기의 분배체계 및 수지상황
5) 소배내기의 변모
6장 공동경작
7장 공동작업반
1. 일제하의 공동작업반
2. 1970년대 등장한 공동작업반
1) 공동작업반의 발생과 분포
2) 공동작업반의 결합범위
3) 공동작업반의 조직 및 관리
4) 공동작업반의 작업대상 및 노동방식
5) 공동작업반의 분배체계
6) 공동작업반의 변모
8장 회사지주 _
1. 조선흥업주식회사의 연혁
2. 토지침탈 상황
3. 경제구조
4. 농업경영 - 농민지배 과정
1) 생산과정에 있어서의 농민지배
2) 분배과정에 있어서의 농민지배
3) 유통과정에 있어서의 지배
4) 농장관리 조직
5. 농민의 대응
1) 소극적 대응
2) 적극적 대응
9장 머슴
1. 머슴의 분포
2. 머슴의 특성
1) 머슴노동의 특징
2) 머슴고용주의 성격
3) 머슴과 고용주의 관계
4) 머슴의 임금(새경)
5) 머슴의 계층이동
3. 머슴에 관한 의례(놀이)
4. 머슴의 변모
10장 맺음말
1. 농촌사회제도의 양상
2. 농촌사회제도의 변화와 전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