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
대한민국이란 무엇인가
저자 : 양승태
출판사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0
정가 : 27000, ISBN : 9788973008711
책소개
누구나 다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경험적이고 부분적인 현상에 대한 탐구 차원을 넘어서서 그 실체를 탐구하려는 시도이다. 또한 이 책은 사회 세력들 사이의 격렬한 대립과 갈등의 원천으로서 최근 한국 정치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 국가 정체성 문제에 대한 해명의 시도이기도 하다. 저자는 국가 생활의 근본이자 그 실천적 함의가 심대한 국가정체성 문제에 대해서 한국의 학계는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세계학계의 연구 또한 그 실체를 밝히기에는 불충분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그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저자는 국가 정체성과 관련된 철학사 및 이론적 검토를 수행함과 아울러 국가정체성과 관련된 실천적 문제들을 정치철학적으로 검토한다.
목차
들어가는 말: ‘대한민국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
제1부이론적 성찰
제1장 국가 정체성 및 국가 정체성 위기라는 주제
1. 국가 정체성이라는 말
2. 국가 정체성 위기 현상에 대한 현대 미국 정치학의 연구
3. 국가 정체성 문제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넘어서
제2장 이스턴의 정치 체계 개념 및 국가 개념 무용론 비판
1. 이스턴의 국가 개념 비판의 근간
2. 이스턴의 정치 체계 개념 비판
3. 이스턴의 정치 개념 비판과 국가 개념의 복원
제3장 국가 및 state라는 말과 개념, 그리고 국가 정체성 문제
1. 국가라는 말 등장의 역사 및 정신사
2. 국가 개념과 state 개념의 사이에서
3. 국가 개념에서 국가 정체성 개념으로
제4장 정체성과 자아 정체성: 고대 서양 철학사에서 문제의 기원과 전개
1. 같음과 다름, 동일성과 정체성
2. 성장 및 변화와 자아 정체성: 고대 서양 철학과 목적론적 자아 정체성 개념
3. 스토아 철학의 정체성 개념에서 근대 철학의 정체성 개념으로
제5장 자아 정체성에서 국가 정체성으로: 근대 서양철학 및 현대 심리학에서 자아 정체성 문제
1. 근대 서양 철학사에서 의식의 문제와 자아 정체성
2. 근대 서양 철학사에서 목적론적 자아 정체성 개념의 부활
3. 현대 심리학에서 자아 정체성 연구와 목적론적 자아 개념, 그리고 국가 생활의 문제
제6장 국가 정체성 위기의 역사로서의 대한민국 근·현대사
1. 개인적 정체성, 집단적 정체성, 국가 정체성, 그리고 회의, 갈등, 좌절, 헌신의 동태론
2. 대한민국 정체성 연구를 향해
제2부실천적 성찰
제7장 국가 정체성과 서구적 세계관의 문제
1. 헬레니즘의 세계관
2. 헤브라이즘의 세계관
3. 서양적 세계관과 한국적 세계관의 문제
제8장 시간의식, 역사의식, 국가 정체성: 단기연호의 문제
1. 개인의 존재성과 시간의식, 자아의식, 그리고 주체성
2. 역법과 연호 탄생의 과학사와 정치사
3. 역사의식의 정치와 정치철학
4. 한국인의 역사의식과 단기연호의 문제
제9장 단기연호와 통일국가의 정체성 문제
1. 남한의 경우: 단기연호 제정과 폐지의 정치사와 역사의식
2. 북한의 경우: 주체연호의 역사의식
3. 서기연호, 주체연호, 그리고 단기연호와 통일국가의 정체성 문제
제10장 톨레랑스, 시민적 자유, 민족주의, 그리고 국가 정체성
1. 톨레랑스 이념과 톨레랑스 운동, 그리고 차이성과 정체성
2. 톨레랑스와 개인 및 집단의 정체성 문제
3. 집단적 정체성, 민족 정체성, 그리고 국가 정체성
4. 톨레랑스, 한국의 민족주의, 그리고 국가 정체성
제11장 헌법과 국가 정체성
1. 헌법이란 말과 개념, 그리고 헌정 이념
2. 정도전의 『조선경국전』과 근대 헌정 이념의 맹아 문제
3. 『경국대전』에서 『대한국 국제』까지: 근대 헌정 이념의 소멸과 부활
4. 한국 헌정 이념사와 대한민국 헌정사, 그리고 국가 정체성
제12장 국가 정체성과 정치적 지도력, 그리고 대통령
1. 대통령이라는 말의 역사 및 정신사
2. 헌법 66조에 대한 정치철학적 검토
3. 대통령의 자질
4. 대통령직을 위한 경쟁에 대한 몇 가지 단상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