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20세기 시인의 한시 번역과 수용 (2020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저자 : 정소연
출판사 : 한국문화사
출판년 : 2019
정가 : , ISBN : 9788968178146
책소개
2020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이 책은 20세기 시인들이 더 이상 한문이 아니라 국문(國文)을 주된 언어매체로 하는 시대에 전통 한시를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살펴본 것으로 조선시대의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관계 변천사를 추적한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작업이다. 한문학이 주가 되었던 조선시대와 달리 20세기는 한시를 직접 짓는 향유자들은 현격히 줄어들고 신시, 자유시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국어시가의 새로운 모색이 활발한 시대이다. 따라서 두 가지 언어매체로 향유하던 조선시대 시가 향유의 양상이 근대에 이르면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보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2. 1910년대 최남선의 한시 번역 양상과 그 의미
3. 1920년대 이광수의 한시 번역 양상
4. 1920년대 김소월의 한시 번역 양상
4.1. 서론
4.2. 동어 반복을 통한 구술적 특성 강화
4.3. 대화체와 화자의 정서 강화
4.4. 지시사, 음성성 등의 구술적 특성 활용
5. 1920년대 김억의 한시 번역 양상
* 소결: 1910~20년대 시인의 한시 번역
6. 1930년대 정인보의 한시 번역
6.1. 여성이 주인공인 고대(古代) 한시의 번역
6.2. ‘고(古)/가(歌)’에 대한 관심과 전통을 통한 근대시 모색
6.3. 번역시의 특징: 4음보 위주의 행갈이와 구술문학적 특성
7. 1930년대 김소월의 한시 번역 양상
7.1. 개관: 당시(唐詩)를 대상으로 한 이별 노래의 번역
7.2. 2음보격 지향의 다양한 유형과 시(詩)/가(歌)의 동시적 추구
7.3. 대화체와 화자의 정서 강화
7.4. 수용자의 반응을 담은 번역
7.5. 결론: 김소월의 한시 번역에 나타난 노래 지향성과그 문학사적 의미
8. 1930년대 김억의 한시 번역
8.1. 서론
8.2. 역시집(譯詩集) 『忘憂草』에 대해서
8.2.1. 『忘憂草』의 구성과 배열
8.2.2. 원시(原詩)의 작가, 시대 및 그 의미
8.3. 한시 번역의 구체적인 양상
8.3.1. 서정시의 추구
8.3.2. 우리말 노래의 율격 추구
* 소결: 1930년대 시인들의 한시 번역
9. 1940년대 양주동, 이병기, 박종화, 김억의 한시 번역시집 『支那名詩選』
9.1. 서론
9.2. 『支那名詩選』의 번역의 의도와 대상
9.3. 『支那名詩選』의 한시 번역 특징
10. 1940년대 김억의 한시 번역
11. 1940년대 정태진의 한시 번역
* 소결: 1940년대 시인들의 한시 번역
12. 1950년대 신석정의 한시 번역
12.1. 서론
12.2. 신석정 한시 번역의 특징
12.3. 이전 시인들과의 비교
13. 1960년대 조지훈의 한시 번역
13.1. 서론
13.2. 번역시의 특징
13.3. 신석정과 조지훈의 한시 번역 비교
14. 1960~80년대 김달진·고은의 한시 번역
14.1. 1960~80년대 김달진의 한시 번역
14.2. 1970년대 고은의 중국 전통 한시 번역
15. 박용철·서정주의 20세기 한시 번역
15.1. 1920~30년대 박용철의 자작 한시 번역
15.2. 1970~80년대 서정주의 한용운 한시 번역
16. 한용운의 한시, 시조, 자유시의 상관관계
16.1. 서론
16.2. 작가와 밀착된 화자의 한시·시조와 보편적 화자의 자유시
16.3. 화자 중심적인 시조·한시와 청자 중심적인 자유시
16.4. 결론
17. 결론
17.1. 20세기 시인의 전반적인 한시 번역 경향
17.2. 20세기 시인의 한시 수용 양상 지형도
17.3. 20세기 시인의 전통 한시 번역의 의의
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