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국어 성조론 (형태소 성조형 중심의)
저자 : 이문규
출판사 : 한국문화사
출판년 : 2017
정가 : , ISBN : 9788968174896
책소개
성조론은 매우 내실 있는 연구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가 충분히 공유되거나 평가받지 못한 분야이다. 이러한 상황은 접근 자체가 어렵다는 성조 자체의 특성 외에 표기법이나 기본 단위 설정 등을 포함한 기술 방법론의 차이에 기인하는 바가 커 보인다. 이에 이 책에서는 중세국어와 현대 방언의 성조를 다음절어 중심의 첨가어라는 국어의 본질적 특성에 바탕을 둔 방법론으로 일관되게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형태소 성조형을 단위로 하는 두 단계 성조론적 과정론을 바탕으로 중세국어와 방언의 성조 체계를 기술하고, 성조 체계 사이의 대응 관계와 그 속에 든 동질성을 성조형 부류 표상으로 드러내 보였으며, 성조의 변천 과정과 변화 양상, 성조 연구의 역사를 재조명했다. 이 책이 국어 성조의 본질적인 모습을 드러내고 국어 성조론의 연구 성과를 정리함으로써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가 국어학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데 작은 도움이라도 되길 기대한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제1부 ? 국어 성조의 성격과 기술 방법론
제1장 성조의 개념과 국어 성조의 유형론
1.1. 성조와 음고
1.2. 국어 성조의 유형론
1.3. 국어의 구조적 특징과 성조
제2장 형태소 성조형 중심의 성조 기술론
2.1. 성조론적 변별 단위와 형태소 성조형
2.1.1. 성조소와 성조형
2.1.2. 형태소 성조형
2.2. 기저 성조형
2.3. 어절 성조형과 두 단계 성조론적 과정
2.4. 표상 기호의 두 층위
제3장 기저 성조형 설정의 방법
3.1. 기저 성조형에 대한 관점들
3.2. ‘말(語)’의 기저 성조형
3.3. ‘말(馬)’과 ‘말(斗)’의 기저 성조형
3.3.1. ‘말(馬)’의 기저 성조형
3.3.2. ‘말(斗)’의 기저 성조형
3.4. ‘바람’, ‘무지개’, ‘고구마’의 기저 성조형
3.5. 조사, 어미, 접사의 기저 성조형
제2부 ? 중세국어와 현대 방언의 성조
제4장 중세국어의 성조
4.1. 음고 체계
4.2. 성조형과 그 실현 과정
4.2.1. 저조형, 고조형, 상승조형
4.2.2. 성조형 실현 규칙과 문법 형태소의 성조
4.2.3. 저승조형(/LnRX0/)의 가능성
4.2.4. 복수 성조형 어간
4.3. 성조형 결합의 과정과 성조형 변동
4.3.1. 중세국어의 두 단계 성조론적 과정
4.3.2. 성조형 변동
4.4. 중세국어 성조의 성격
제5장 경상방언의 성조
5.1. 음고 체계
5.2. 성조형과 그 실현 과정
5.2.1. 고조형
5.2.2. 저조형
5.2.3. 상승조형과 최저조형
5.2.4. 경상방언의 성조형 실현 규칙
5.2.5. 복수 성조형 어간
5.3. 성조형 결합의 과정과 성조형 변동
5.3.1. 성조형 중화
5.3.2. 성조형 대치
5.3.3. 음운 변동과 음고의 탈락 및 축약
5.4. 서남부 경상방언의 음고 조정
5.4.1. ‘안+후속 성분’과 ‘의문사+후속 성분’
5.4.2. ‘Hn’-형 뒤 [L1HL]-형 되기
제6장 함경방언의 성조
6.1. 음고 체계
6.2. 성조형과 그 실현 과정
6.2.1. 저조형
6.2.2. 고조형
6.2.3. 일부 지역어의 상승조형
6.2.4. 복수 성조형 어간
6.3. 성조형 결합의 과정과 성조형 변동
6.3.1. 성조형 중화
6.3.2. 성조형 대치
6.3.3. 음운 변동과 음고의 변화
제7장 강원 영동방언의 성조
7.1. 음고 체계
7.2. 성조형과 그 실현 과정
7.2.1. 삼척방언의 성조형과 성조형 실현 규칙
7.2.2. 강릉방언의 성조형과 성조형 실현 규칙
7.3. 성조형 결합의 과정과 성조형 변동
7.3.1. 성조형 중화
7.3.2 성조형 대치
7.3.3. 음운 변동과 음고의 탈락 및 축약
제3부 ? 대응 관계와 형태 부류 기반의 국어 성조 체계
제8장 성조 대응 관계의 의미와 실상
8.1. 대응 관계의 의미와 성조형 부류 표상
8.2. 성조형 대응 관계의 실상
8.2.1. 체언의 대응 관계
8.2.2. 용언 어간의 대응 관계
8.3. 대응하지 않는 부류의 의의
제9장 형태 부류 기반의 국어 성조 체계
9.1. 형태소 성조형 부류
9.2. 성조론적 과정
9.2.1. 성조형 중화
9.2.2. 성조형 대치
제4부 ? 국어 성조의 역사와 성조 연구의 역사
제10장 국어 성조의 변천과 변화
10.1. 중세국어 성조의 비음운화 과정
10.1.1. 어말 평성화와 성조형 실현 규칙의 임의화
10.1.2. 성조형 실현 규칙 임의화의 의미
10.1.3. 16세기 말엽의 성조 체계와 이후의 변천
10.2. 방언 성조의 변화 및 분화 양상
10.2.1. 중세국어로부터의 변천을 설명하는 관점들
10.2.2. 성조형 대응 관계를 바탕으로 본 방언 성조의 변천 과정
10.2.3. 방언 성조의 변화 양상과 방향
제11장 국어 성조 연구의 성과와 논점
11.1. 성조 연구의 주요 성과
11.2. 주요 논점과 주제
11.3. 주제별 논점 및 연구 성과
11.3.1. 형태소 성조형과 기저 성조형
11.3.2. 경상방언의 하강조
11.3.3. ‘율동 규칙’의 실체
11.3.4. 분절음과 성조의 관계
11.3.5. 15세기 이전의 성조
11.3.6. 한자음의 성조
11.3.7. 외래어의 성조
11.3.8. 성조와 방언 구획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