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환원근대 (한국 근대화와 근대성의 사회학적 보편사를 위하여)
환원근대 (한국 근대화와 근대성의 사회학적 보편사를 위하여)
저자 : 김덕영
출판사 : 길
출판년 : 2014
정가 : 28000, ISBN : 9788964450871

책소개


『환원근대』는 이론에 근거하지 않은 한국 근대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담은 책이다. 이 책은 저자가 본격적으로 우리 사회에 대한 문제에 천착하기 시작하는 첫 번째 작업으로 ‘한국의 근대화 담론’에 대하여 다룬다. 저자 김덕영은 우리 사회의 근대화 과정에 대해 새로운 개념어, 즉 ‘환원근대’로 분석?조망하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과학계 전반이 ‘이론적 빈곤’에 따른 거시적 담론 제공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한 점을 염두에 둔다면, 저자는 이론사회학과 고전사회학 그리고 현대사회학 이론을 치밀하게 분석하고 풍부하게 인용하면서 그 바탕 위에 한국 사회 분석에 접근하고 있다.

목차


서문 7

제1장 논의를 시작하면서
1. 문제의 제기 19
2. 사회학적 보편사를 위하여: 접근 방법을 찾아서 25
3. 이 책의 범위와 한계 31

제2장 환원근대란 무엇인가
1. 근대화는 서구화인가 37
2. 사회학 이론에서 근대화 이론을 찾다 43
1) 콩트, 스펜서, 마르크스 44
2) 뒤르켐, 짐멜, 베버 49
3) 하버마스와 루만 56
4) 분화와 개인화: 사회학적 근대화 이론의 핵심 59
보론 철학과 근대성: 칸트와 니체 62
3. 환원근대의 네 차원 65
4. 나는 서구중심주의자인가 68
5. 기존 근대화 이론의 비판적 검토 72
1) 내재적 발전론 72
2) 식민지 근대화론 75
3) 압축적 근대화론 79

제3장 환원근대의 발전 과정과 추진 세력
1. 환원근대의 기원과 전개 87
2. 대(大)삼성 한국, 소(小)한국 삼성: 국가-재벌 동맹자본주의 108
3. 박정희 정권은 강력한 국가가 아니라 허약한 국가다 121
4. 새마을운동은 자발적 근대화 운동인가 143
5. 환원근대의 인력시장, 학교 158
6. 환원근대의 해결사, 가족 170
7. 환원근대의 전도사, 기독교 191

제4장 환원근대의 구조현상학
1. ‘7?4?7’과 ‘4만 달러 시대’: 환원근대의 언어 211
2. 정치와 경제에 의한 전 사회의 부속화와 식민지화 226
3. 개인주의 시대에 집단주의 윤리가 242
4. 규율사회를 넘어 억압사회로: 환원근대의 교육 261
5. 환원근대의 작동원리, 공장사회 273
1) 새마을운동 274
2) 아파트 278
3) 아이돌 그룹과 K팝 285
6. 경제적 근대주의와 문화적 전통주의: 환원근대와 전통문화 293
1) 전통이 근대의 토대가 된다 295
2) 전통은 근대를 위해 파괴된다 300
3) 전통이 화석화되고 박제화된다 304
7. 만들어진 이미지 ‘서구’: 환원근대의 선진국 담론 308

제5장 환원근대를 넘어서
1. 근대의 갈등과 비극: 환원근대의 대차대조표 333
2. 근대의 토대는 근대다 336
3. 경제적 근대에서 사회적 근대로 343
4. 사회의 개인들에서 개인들의 사회로 344

에필로그 351

참고문헌 355
찾아보기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