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학습장애 (이론과 실제)
학습장애 (이론과 실제)
저자 : 김애화|김의정|김자경|최승숙
출판사 : 학지사
출판년 : 2012
정가 : 19000, ISBN : 9788963308593

책소개


1994년 특수교육진흥법이 전면 개정되면서 학습장애가 하나의 독립된 장애 영역으로 포함되어 학습장애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2011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학습장애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6.7%에 달한다. 늘어가는 학습장애 교육의 필요성에 대비하여 저자들은 학습장애와 관련하여 최근에 발표된 국내외의 연구 결과를 담았다. 특히, 우리나라의 학습장애의 정의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역사, 실정에 적합한 학습장애 진단 모형, 그리고 우리나라 교육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학습장애 교수 및 학습 전략 등에 중점을 두어 저술하였다.

목차


저자 서문

Part 1 학습장애의 기본적인 이해
CHAPTER 01 학습장애 정의

1. 학습장애 정의
1) 외국의 학습장애 정의
2) 국내의 학습장애 정의
2. 학습장애 정의의 주요 구성 요소
1) 내적인 원인
2) 학습장애의 이질성 및 문제 영역
3) 학습장애의 배제 조항
4) 일생을 통해 일어날 수 있는 장애
5) 진단 준거
3. 국내 학습장애 정의의 쟁점 및 발전 방향
4. 학습장애의 하위 유형 및 특성
1) Kirk와 Chalfant가 제안한 학습장애 하위 유형
2) 미국「장애인교육법」및 현행 문헌에서 제안하는 학습장애 하위 유형
3)「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제안하는 학습장애 하위 유형
4) 한국특수교육학회에서 제안하는 학습장애 하위 유형
5) 기타 학습장애 하위 유형
CHAPTER 02 학습장애 원인
1. 신경생물학적 요인
1) 뇌구조
2) 뇌기능
3) 유전적 요인
2. 인지처리적 요인
1) 읽 기
2) 수 학
3) 쓰 기
3. 환경적 요인
CHAPTER 03 학습장애 역사
1. 서양 학습장애 역사
1) 유럽에서의 학습장애 기반 구축기
2) 미국에서의 학습장애 기반 구축기
3) 학습장애 발흥기
4) 학습장애 정착기
5) 학습장애 다양화기
2. 국내 학습장애 역사
1) 학습장애 소개기
2) 학습장애 발흥기
3) 학습장애 정립기
CHAPTER 04 학습장애 선별 및 진단
1. 미국 학습장애 선별 및 진단 절차
2. 국내 학습장애 선별 및 진단 절차
3. 학습장애 진단 모델
1) 불일치 모델
2) 중재반응 모델
3) 저성취 모델
4) 학업성취와 인지처리를 통한 진단 모델
4. 국내 학습장애 진단 모델의 동향
5. 선별 및 진단 검사
1) 선별 검사
2) 진단 검사

Part 2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교과 지원
CHAPTER 05 읽기 이해 및 지도

1.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읽기 교수에 관한 개관
2. 읽기 교수의 영역
1) 읽기 선수 기술
2) 단어인지
3) 읽기유창성
4) 어 휘
5) 읽기이해
CHAPTER 06 쓰기 이해 및 지도
1.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쓰기 교수에 관한 개관
2. 쓰기 교수의 영역
1) 글씨 쓰기
2) 철 자
3) 작 문
CHAPTER 07 수학 이해 및 지도
1.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 교수에 관한 개관
1) 기억 능력
2) 언어 능력
3) 시공간 능력
4) 주의집중 능력
5) 처리 속도
2. 수학 교수의 영역
1) 수 감각
2) 사칙연산
3) 문장제 문제 해결
CHAPTER 08 내용 교과 이해 및 지도
1.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내용 교과 교수에 관한 개관
2. 과학 교과 지도
1)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과학 교과 지도에 관한 개관
2)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과학 교수
3. 사회 교과 지도
1)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사회 교과 지도에 관한 개관
2)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사회 교수

Part 3 학습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지원
CHAPTER 09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사회성 및 행동 지원

1.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사회성 및 행동 지원에 관한 개관
1)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사회성 및 행동 지원의 필요성
2) 사회성의 정의 및 구성 요소
3) 사회적 기술
2. 학습장애학생의 사회성 지도
1)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2) 상황 맥락 중재
3) 자아 개념 향상 프로그램
4) 자기옹호 지도 프로그램
5) 문제행동에 대한 지원
3. 학습장애학생의 사회성 평가
CHAPTER 10 통합교육의 실행을 위한 협력교수의 활용
1. 협력교수의 모델
1) 교수-지원
2) 스테이션 교수
3) 평행교수
4) 대안교수
5) 팀 교수
2. 협력교수의 효과
1) 장애학생
2) 일반학생
3) 교 사
3. 협력교수 실시의 문제점
1) 교 사
2) 학교체제
4. 성공적인 협력교수 실행을 위한 방안
5. 효과적인 협력교수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협력기술
1) 듣 기
2) 비언어적 의사소통
3) 말하기
4) 피드백 제공
5) 문제 해결 과정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