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이의산 시집 중
저자 : 이상은
출판사 : 학고방
출판년 : 2018
정가 : 48000, ISBN : 9788960717282
책소개
오랫동안 이상은을 연구하면서 이상은 작품 전모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완역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꼈지만, 쉽지 않은 일이었다. 난해함과 방대함이라는 산이 있었지만, 논문을 쓰며 일부 번역해 두었던 것을 바탕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 아래 작업을 시작하였다. 다른 고전 번역도 마찬가지겠지만, 난해한 시인으로 알려진 이상은의 경우, 어떻게 독자에게 쉽게 풀어서 작가의 정수를 보여줄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더 많이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의 시를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꼼꼼한 주석과 더불어 여러 설들을 종합하여 유력한 독법을 제시해야 한다고 여겼다. 번역에 앞서 본 번역진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정하였다.
첫째, 기존 주석본을 참고로 하여 원문에 충실한 번역을 하도록 하되, 가독성을 염두에 둔다. 애매하고 어려운 작품이 많으므로, 청대와 현대 주석본을 모두 참고하여 충실한 번역에 힘쓴다. 또한 의미전달이 쉽고, 문장의 길이가 적절하며 우리말로 적절하고 자연스러울 것 등을 고려한다.
둘째, 친절하고 상세한 주석을 제공한다. 난해하고 어려운 시어와 전고가 많기 때문에 되도록 자세하게 주석을 달아서 시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시어나 시구의 출처를 밝히거나 용례를 제시하는, 중국식 주석들은 지양하고 대신에 시어의 뜻이나 시구의 함의 등에 대한 주석을 보충하도록 한다.
셋째, 작품 감상의 방향을 제시한다. 이상은의 시는 다양하게 해석될 여지가 많은 것이 대부분이다. 청대 주석가들의 노력으로 이해의 수준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아직 더 의미를 따져봐야 할 시가 적지 않다. 본 번역진은 다양한 이해의 방법 가운데 비교적 타당하다고 판단되는 견해를 중심으로 「해설」을 집필하여 작품의 창작 배경과 의미 및 감상의 방향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이 책은 『이의산시집』에 실린 모든 작품을 번역하고, 주석을 달았으며 해설까지 망라한 우리나라 최초의 이상은 시 완역본이다. 따라서 이상은 시 전체 면모를 살피는 데 주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책과 함께 이상은 전기도 함께 출판될 예정이므로, 이상은을 좀 더 깊이 있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권상卷上
001. 錦瑟 비단 거문고 2
002. 重過聖女祠 다시 성녀사를 지나다 6
003. 寄羅?輿 나소여에게 부치다 9
004.令狐舍人說昨夜西掖翫月因?贈 중서사인 영호도가 어젯밤 중서성에서 달빛을 완상했다기에 장난삼아 보내다 12
005. 崔處士 최처사 14
006. 自喜 내가 좋아하여 16
007. 題僧壁 승벽에 제하다 18
008. 霜月 서리 맞는 달 21
009-1. 異俗 二首(其一) 특이한 풍속 2수 1 23
009-2. 異俗 二首(其二) 특이한 풍속 2수 2 25
010. 歸墅 초가로 돌아가다 27
011. 和孫朴韋蟾孔雀詠 손박과 위섬의 공작 노래에 화답하다 29
012. 人欲 사람이 하고자 하다 34
013. 華山題王母祠 화산에서 서왕모의 사당에 쓰다 36
014. 商於 상오 38
015. 華淸宮 화청궁 41
016. 楚澤 초나라 연못 43
017. 蟬 매미 45
018.江亭散席循柳路吟歸官舍 강의 정자에서 연회를 마치고 버드나무 길을 따라가며 읊다가 관사로 돌아오다 48
019. 潭州 담주 50
020. 贈劉司戶? 사호 유분에게 주다 53
021-1. 哭劉司戶 二首(其一) 유주사호참군 유분을 곡하다 2수 1 56
021-2. 哭劉司戶 二首(其二) 유주사호참군 유분을 곡하다 2수 2 58
022. 悼傷後赴東蜀?至散關遇雪 애도한 뒤에 동촉의 초빙에 응해 가다가 대산관에 이르러 눈을 만나다 61
023. 樂遊 낙유원 63
024-1. 北齊 二首(其一) 북제 2수 1 65
024-1. 北齊 二首(其二) 북제 2수 2 67
025. 街西池館 주작대가 서쪽 연못가의 관사 69
026. 南朝 남조 71
027. 復京 장안을 수복하다 74
028. ?杜馬上念漢書 호현과 두릉을 지나며 말 위에서 한서를 읽다 76
029. 柳 버들 78
030. 渾河中 하중절도사 혼감 80
031. 巴江柳 파강의 버드나무 82
032. 咸陽 함양 84
033. 同崔八詣藥山訪融禪師 최팔의 「약산에 가 융선사를 방문하고」에 화답하다 86
034. 聞著明凶問哭寄飛卿 노헌경(盧?卿)의 흉사를 듣고 곡하며 온정균(?庭筠)에게 부치다 88
035. 聽鼓 북소리를 듣다 91
036. 送崔珏往西川 서천으로 가는 최각을 전송하다 94
037. 代贈 대신하여 주다 97
038. 桂林 계림 99
039. 夜雨寄北 밤비 내릴 때 북쪽에 부치다 101
040. 陳後宮 진후주의 궁궐 103
041. 屬疾 병가(病暇)를 내다 105
042. 石榴 석류 107
043. 明日 다음날 109
044. 飮席?贈同舍 술자리에서 동료에게 장난삼아 주다 111
045. 憶梅 매화를 회상하며 113
046. 贈柳 버들에게 주다 115
047. 謔柳 버들을 놀리다 117
048. 北禽 북쪽에서 온 새 119
049. 初起 막 일어나다 123
050. 楚宮 초나라 궁전 125
051. 柳 버들 127
052. 石城 석성 129
053. 韓碑 한유의 비문 132
054. 令狐八拾遺見招送裴十四歸華州 좌습유 영호도의 초대를 받아 화주로 돌아가는 배십사를 전송하다 142
055. 離思 이별의 근심 145
056. 宿駱氏亭寄懷崔雍崔? 낙씨의 정자에서 자면서 최옹과 최연이 떠올라 부치다 148
057. 風雨 비바람 150
058. 夢澤 몽택 153
059-1. 贈歌妓 二首(其一) 가기(歌妓)에게 주다 2수 1 155
059-2. 贈歌妓 二首(其二) 가기(歌妓)에게 주다 2수 2 157
060. 謝書 감사의 서신 158
061. 寄令狐學士 한림학사 영호도(令狐?)에게 부치다 160
062. 酬令狐郎中見寄 영호낭중이 보내준 시에 응수하다 163
063. 七月二十八日夜與王鄭二秀才聽雨後夢作 7월 28일 밤 왕, 정 두 수재와 빗소리를 들은 후 꿈을 꾸고 짓다 167
064. 寄令狐郎中 영호낭중에게 부치다 171
065-1. 漫成 三首(其一) 즉흥시 3수 1 173
065-2. 漫成 三首(其二) 즉흥시 3수 2 176
065-3. 漫成 三首(其三) 즉흥시 3수 3 178
066. 無題 무제 180
067-1. 槿花 二首(其一) 무궁화 2수 1 182
067-2. 槿花 二首(其二) 무궁화 2수 2 184
068. 哭劉? 유분을 곡하다 186
069. 杜司勳 사훈원외랑 두목 189
070. 荊門西下 형주의 서쪽으로부터 내려가다 191
071. 碧瓦 푸른 기와 193
072. ? 나비 198
073. 蠅??麝鸞鳳等成篇 파리, 나비, 닭, 사향노루, 난새, 봉황 등으로 시를 짓다 200
074. 韓?舍人卽事 중서사인 한굉 풍으로 즉흥시를 짓다 203
075. 公子 공자 205
076. 子初全溪作 자초가 전계에서 짓다 207
077. 楊本勝說於長安見小男阿袞 양주가 장안에서 어린 아들 곤사를 보았다고 말하다 209
078. 西溪 서계 211
079. 柳下暗記 버들 아래에서 몰래 기록하다 214
080. 妓席 기녀와의 자리 216
081. 少年 젊은이 218
082. 無題 무제 220
083. 玄微先生 현미선생 222
084. 藥轉 단약 정련 226
085. 岳陽樓 악양루 230
086. 寄成都高苗二從事 성도의 고ㆍ묘 두 종사에게 부치다 232
087. 岳陽樓 악양루 234
088-1. 越燕 二首(其一) 제비 2수 1 236
088-2. 越燕 二首(其二) 제비 2수 2 238
089. 杜工部蜀中離席 두보(杜甫)를 본뜨다 - 촉에서의 송별연 240
090. 隋宮 수궁 243
091. 二月二日 2월 2일 246
092. 籌筆驛 주필역 249
093. 屛風 병풍 252
094. 春日 봄날 254
095. 武侯廟古柏 제갈량 사당의 옛 잣나무 255
096. 風 바람 258
097. 卽日 즉흥시 260
098. 九成宮 구성궁 263
099. 少將 젊은 장군 265
100. 詠史 역사를 노래하다 267
101. 贈白道者 백도사에게 주다 270
102-1. 無題 二首(其一) 무제 2수 1 272
102-2. 無題 二首(其二) 무제 2수 2 275
103. 漢宮詞 한궁사 277
104-1. 無題 四首(其一) 무제 4수 1 279
104-2. 無題 四首(其二) 무제 4수 2 281
104-3. 無題 四首(其三) 무제 4수 3 284
104-4. 無題 四首(其四) 무제 4수 4 286
105. 赴職梓潼留別畏之員外同年 재동의 직책으로 나가면서 한첨에게 남기다 288
106. 桂林路中作 계림의 길에서 짓다 290
107. 無題 무제 292
108-1. ? 三首(其一) 나비 3수 1 294
108-2. ? 三首(其二) 나비 3수 2 296
108-3. ? 三首(其三) 나비 3수 2 297
109-1. 無題 二首(其一) 무제 2수 1 299
109-2. 無題 二首(其二) 무제 2수 2 301
110. 王十二兄與畏之員外相訪見招小飮時予以悼亡日近不去因寄 처남 왕십이와 원외랑 한외지가 나를 방문하여 작은 술자리에 초대했으나 당시 나는 상처한 지 얼마 안 되어 가지 않기로 했기에 부치다 303
111. 隋宮 수궁 306
112. 落花 낙화 308
113. 月 달 310
114. 贈宗魯?竹杖 종로에게 공죽장을 주다 312
115. 垂柳 수양버들 314
116. 曲池 곡강지 316
117-1. 代應 二首(其一) 대신 응답하다 2수 1 319
117-2. 代應 二首(其二) 대신 응답하다 2수 2 321
118. 席上作 연석에서 짓다 323
119-1. 訪隱者不遇成二絶(其一) 은자를 찾아갔지만 만나지 못하고 지은 두 절구 1 325
119-2. 訪隱者不遇成二絶(其二) 은자를 찾아갔지만 만나지 못하고 지은 두 절구 2 326
120. 破鏡 깨진 거울 327
121. 無題 무제 330
122. 贈庾十二朱版 유십이에게 주판을 주다 332
123. 李花 자두 꽃 334
124. 柳 버드나무 336
125. 三月十日流杯亭 3월 10일 유배정에서 338
126-1. 過招國李家南園 二首(其一) 초국리 이가의 남원을 지나다 2수 1 340
126-2. 過招國李家南園 二首(其二) 초국리 이가의 남원을 지나다 2수 2 341
127-1. 留贈畏之 三首(其一) 한첨에게 남기다 3수 1 342
127-2. 留贈畏之 三首(其二) 한첨에게 남기다 3수 2 345
127-3. 留贈畏之 三首(其三) 한첨에게 남기다 3수 3 346
128. 爲有 있기에 348
129. 無題 무제 350
130-1. 碧城 三首(其一) 푸른 성 3수 1 352
130-2. 碧城 三首(其二) 푸른 성 3수 2 355
130-3. 碧城 三首(其三) 푸른 성 3수 3 358
131-1. 對雪 二首(其一) 눈을 맞이하다 2수 1 361
131-2. 對雪 二首(其二) 눈을 맞이하다 2수 2 364
132. 蜂 벌 367
133. 公子 공자 370
134. 賦得? 닭을 노래하다 372
135. 明神 명철한 신령 374
136. 辛未七夕 신미년 칠석 376
137. 壬申七夕 임신년 칠석 379
138. 壬申閏秋題贈烏鵲 임신년 윤달 칠월에 지어 까마귀와 까치에게 주다 382
139. 端居 한거 384
140. 夜半 한밤중 386
141. 玉山 옥산 388
142. 張惡子廟 장악자의 사당 391
143. 雨 비 393
144. 菊 국화 396
145. 牡丹 모란 398
146. 北樓 북루 401
147. 擬沈下賢 심아지(沈亞之)를 본뜨다 403
148. ? 나비 406
149. 飮席代官妓贈兩從事 술자리에서 관기를 대신하여 두 종사에게 주다 409
150 代魏宮私贈 위나라 궁녀를 대신해 몰래 주다 411
151. 代元城吳令暗爲答 원성령 오질(吳質)을 대신해 몰래 답하다 414
152. 牡丹 모란 416
153. 百果嘲櫻桃 온갖 과일이 앵도를 조롱하다 418
154. 櫻桃答 앵도가 답하다 420
155. 曉坐 새벽에 앉아 422
156. 詠史 영사 424
157. 一片 한 조각 426
158. 日射 햇살 428
159. 題鵝 거위에 제하다 430
160. 華淸宮 화청궁 432
161. 梓潼望長卿山至巴西復懷?秀 재동에서 장경산을 바라보고 파서에 이르러 다시 초수를 생각하다 434
162. 齊宮詞 제나라 궁정의 노래 436
163. 十一月中旬至扶風界見梅花 11월 중순 부풍의 경계에 이르러 매화를 보다 438
164. 靑陵臺 청릉대 441
165. 東還 동쪽으로 돌아가다 443
166. 酬崔八早梅有贈兼示之作 최팔이 「이른 매화」를 보내며 나에게 보여주기에 수창하여 짓다 445
167. 春風 봄바람 448
168. 蜀桐 촉의 오동나무 450
169. 漢宮 한나라 궁궐 452
170. 判春 봄을 품평하다 454
171. 促漏 가까운 물시계 456
172. 江東 강동 459
173. 讀任彦昇碑 임방의 묘비명을 읽다 461
174. 荷花 연꽃 463
175. 五松驛 오송역 465
176. ?岸 파수의 강안 467
177-1. 送臻師 二首(其一) 진사를 보내다 2수 1 469
177-2. 送臻師 二首(其二) 진사를 보내다 2수 2 471
178. 七夕 칠석 473
179. 謝先輩防記念拙詩甚多異日偶有此寄 동기인 사방이 나의 시를 매우 많이 암송했는데, 어느 날 우연히 이 시를 지어 보내다 475
180-1. 馬嵬二首(其一) 마외 2수 1 478
180-2. 馬嵬二首(其二) 마외 2수 2 480
181. 可嘆 탄식 483
182-1. 望喜驛別嘉陵江水二絶(其一) 망희역에서 가릉강의 물과 이별하며 쓴 절구 2수 1 487
182-2. 望喜驛別嘉陵江水二絶(其二) 망희역에서 가릉강의 물과 이별하며 쓴 절구 2수 2 489
183. 別薛巖賓 설암빈과 이별하다 491
184. 富平少侯 나이 어린 부평후 494
185. 腸 애 497
186. 贈宇文中丞 어사중승 우문정(宇文鼎)에게 드리다 501
187. 曉起 새벽에 일어나 503
188. 閨情 규방 여인의 마음 505
189. 月夕 달밤 507
190. 杏花 살구꽃 509
191. 燈 등 513
192. 淸河 맑은 강 516
193. 襪 버선 518
194. 追代盧家人嘲堂內 추후에 노씨를 대신하여 집안에 있는 이를 놀리다 520
195. 代應 대신 응답하다 522
196-1. 離亭賦得折楊柳 二首(其一) 이별의 주연에서 「절양류」를 쓰다 2수 1 524
196-2. 離亭賦得折楊柳1 二首(其二) 이별의 주연에서 「절양류」를 쓰다 2수 2 526
197. 寄永道士 영도사에게 부치다 527
198. 華州周大夫宴席 화주 주대부의 연회석 529
199. 荊山 형산 531
200. 次陝州先寄源從事 섬주에 머물며 먼저 원종사에게 부치다 533
201. 過鄭廣文舊居 광문관 박사 정건의 옛집을 찾아가다 535
202. 東下三旬苦於風土馬上?作 동쪽으로 내려가는 30일 동안 바람에 날리는 흙먼지에 고생하다 말 위에서 장난삼아 짓다 537
203. 莫愁 막수 539
204. 夢令狐學士 영호 학사를 꿈꾸다 541
205. 涉洛川 낙수를 건너다 543
206. 有感 느낀 바가 있어 545
207. 宮妓 궁정의 가기 547
208. 宮詞 궁인의 말 549
209-1. 代贈 二首(其一) 대신 드리다 2수 1 551
209-2. 代贈 二首(其二) 대신 드리다 2수 2 553
210. 楚吟 초나라 노래 555
211. 瑤池 요지 557
212. 柳 버드나무 559
213. 寄在朝鄭曹獨孤李四同年 조정에 있는 정무휴(鄭茂休)ㆍ조확(曹確)ㆍ독고운(獨孤雲)ㆍ이정언(李定言) 동년들에게 부치다 561
찾아보기
제목 563
구절 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