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괴물이 된 대학 (자본의 꼭두각시가 된 한국 대학 구조조정 백서)
저자 : 김창인
출판사 : 시대의창
출판년 : 2015
정가 : 15000, ISBN : 9788959405626
책소개
누가 평범했던 대학생을 자퇴생으로 만들었나
2009년 10월 19일, 한국일보에 ‘중앙대 메가톤급 구조조정’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났다. 중앙대에서 이루어질 대규모 구조조정에 대한 언급이었다. 전교생이 4,400명인 중앙대는 경영대 신입생 수를 322명에서 1,200명까지 늘리고 19개 단과대 77개 학과를 10개 단과대 40개 학과로 대폭 축소하기로 선언했다. 그야말로 ‘핵폭탄 급’ 구조조정이었다. 저자는 이러한 대학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활동을 해왔고, 그 대가로 대학 생활 6년 동안 무기정학을 비롯해 세 차례의 징계 조치를 받았다. 학교 본부는 학문 단위를 조정하기 위해 기업 M&A 전문 업체에 컨설팅을 의뢰했으며, 이에 반대하는 학생들을 노조 탄압하듯 다루었다. 2010년 중앙대를 시작으로 현재 한국 대학가에 구조조정은 전염병처럼 퍼져나가고 있다. 그리고 이 구조조정은 단순히 학과를 통폐합하는 수준이 아니라, 대학 공동체 자체를 파괴하고 있다.
이 책은 대학 구조조정이 일어난 중앙대, 청주대, 한림대, 대진대, 건국대, 덕성여대, 경기대에서 ‘괴물이 되어버린’ 학교와 마주한 학생들의 투쟁 기록이다. 저자는 2009년 중앙대학교에 입학해 경쟁과 취업만을 강요하는 대학에 맞서 잔디밭 토론회, 천막농성, 한강대교 아치 위 고공시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저항했지만 패배했다. 그는 이 싸움을 ‘계속하기’ 위해 2014년, 자퇴를 선택했다. 그리고 신자유주의 교육 정책을 고수하며 재정 지원을 무기로 각 대학에 압력을 가하는 교육부와, 학생들과 아무런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기업식 구조조정을 강행하는 대학에 맞서 이 책을 썼다. 진중권, 박노자, 안민석, 서보명 등 유명 인사들의 대학 구조조정에 대한 견해를 인터뷰하여 수록했다. 이 책은 삶의 주체자로서 자본의 노예가 되지 않으려는 저자와 학생들의 의지이자 외침이다.
목차
프롤로그
1장 - 대학의 배신
2장 - 사람이 미래다, 중앙대는 어떻게 괴물이 되었나
‘대학 구조조정의 선봉’ 중앙대
정태영(2013년 민속학과 학생회장, 전국 구조조정 공동대책위원회 위원장)
대학, 못다 한 이야기
왜 경영자가 1,200명이나 필요해요?
진중권(동양대 교수, 전 중앙대 겸임 교수)
‘교직원’에서 ‘교’ 자는 붙기도 하고 안 붙기도 해요
교직원(중앙대 교직원, 익명)
3장 - 인문학이 사라지는 대학
‘족벌 사학의 대학 구조조정’ 청주대
이순재(2014년 청주대 사회학과 학생회장)
‘아무도 모르는 구조조정 기준’ 한림대
김민지, 김채린, 서연화, 손용훈(한림대 구조조정 공동대책위원회)
대학, 못다 한 이야기
대학을 보면 사회의 병폐가 다 보여요
박노자(오슬로대 전임 교수)
4장 - 예술이 사라지는 대학
‘구조조정이 만드는 예술 없는 대학’ 대진대
안효진(2014년 대진대 음악학부 구조조정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필름이 끊기지 않는 한, 우리는 무직이 아니다’ 건국대
김승주(2015년 건국대 영화학과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대학, 못다 한 이야기
대학의 개혁은 결국 대학을 죽이는 개혁이었어요
서보명(시카고 신학대학원 교수)
5장 - 민주주의와 절차가 사라지는 대학
‘학생들의 힘으로 승리한 구조조정 투쟁’ 덕성여대
석자은(2014년 덕성여대 총학생회장)
‘민주주의만 쏙 빠진 구조조정’ 경기대
임승헌(2014년 경기대 총학생회장)
대학, 못다 한 이야기
교육철학이 부재한 정책은 교육 환경을 황폐화할 거예요
안민석(국회의원, 새정치민주연합)
학생들이 목소리를 더 내야 해요
김재연(전 국회의원, 전 통합진보당)
6장 - 대학 구조조정의 실체
신자유주의 교육과 대학 영리화
임재홍(한국방송통신대 법학과 교수, 전국 구조조정 공동대책위원회 정책 위원장)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도대체 무슨 내용인가?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기본계획’의 문제점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기본계획’에 대한 결론
신자유주의의 고등교육 영역 침투 배경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이란?
교육 시장화, 대학 영리화의 사례
교육은 사유재인가, 공공재인가?
대안은 무엇인가?-정부책임형(공영형) 사립대학으로 시작하자
참고자료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