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상징형식의 철학 3 (인식의 현상학)
저자 : 에른스트 카시러
출판사 : 아카넷
출판년 : 2019
정가 : 39000, ISBN : 9788957336625
책소개
신칸트학파의 거장 에른스트 카시러의 대작
『상징형식의 철학』 국내 최초 완역
『상징형식의 철학』은 1923년부터 1929년까지 여러 해에 걸쳐서 신칸트학파의 거장 카시러가 저술한 대작이며, 20세기 철학이 낳은 대표적인 고전 중의 하나로 인정 받고 있는 책이다. 제1권 『언어』(1923년), 제2권 『신화적 사유』(1925년), 제3권 『인식의 현상학』(1929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200쪽에 달하는 방대한 책이다. 카시러의 철학이 가지고 있는 지대한 의의를 반영한 듯 그의 철학에 관한 연구서들이나 그의 사상을 다른 학자들과 비교하는 연구서들이 지속적으로 출간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그의 책들 중 다수, 즉 『인간론』, 『계몽주의의 철학』, 『루소, 칸트, 괴테』, 『국가의 신화』, 『인문학의 구조 내에서 상징형식 개념 외』, 『문화과학의 논리』 등이 이미 번역되어 있다. 그러나 정작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상징형식의 철학』은 그 방대함 때문인지 번역되지 않고 있다가, 제1권은 『상징형식의 철학 제1권: 언어』라는 제목으로 2011년에 출간되었고, 제2권은 2014년에 『상징형식의 철학 제2권: 신화적 사유』라는 제목으로 나왔으며, 이번에 제3권 『상징형식의 철학 제3권: 인식의 현상학』이 출간됨으로써 카시러의 주저의 전모가 드러나게 되었다.
카시러는 이 책에서 신화와 종교, 언어와 예술, 과학과 역사 등 정신의 다양한 활동에 관해서 분석하고 있지만, 이 모든 주제가 결국은 인간의 자기인식으로 귀착된다고 보았다. 근대철학은 인간의 다양한 의식작용들에 대한 내적인 반성을 통해서 인간을 이해하려고 했지만, 카시러는 인간의 본질적인 특성을 상징의 형성이라고 보면서 인류가 창조한 다양한 상징들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을 이해하려고 하는 것이다. 카시러의 대표작인 『상징형식의 철학』은 인류가 자신을 이해하면서 문화 간의 대화를 심화하는 데 오늘날에도 여전히 큰 의미를 지닌다고 여겨진다. 아울러 이 책은 국내에서 철학과 종교학을 비롯한 인문학뿐 아니라 신화학이나 민속학 그리고 심리학 등 사회과학의 제반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이번에 출간되는 『제3권: 인식의 현상학』은 전통적인 인식론과는 달리 인류가 새로운 인식형식들을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해 나가는 연구로서 인식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목차
서문
서론
1. 인식의 질료(Materie)와 형식
2. 상징적 인식과 그것이 대상세계의 구성에 대해서 갖는 의의
3. 내적 경험에서 ‘직접적인 것’―심리학의 대상
4. 근대형이상학에서 직관적 인식과 상징적 인식
제1부 표정기능과 표정세계
제1장 주관적 분석과 객관적 분석
제2장 지각의식의 기본계기로서의 표정(Ausdruck)현상
제3장 표정기능과 심신(心身)문제
제2부 재현의 문제와 직관적 세계의 구조
제1장 재현(Reprasentation)의 개념과 문제
제2장 사물과 속성
제3장 공간
제4장 시간직관
제5장 상징의 수태(受胎)
제6장 상징형식의 병리학에 대해서
1. 실어증(失語症) 이론의 역사에서 상징의 문제
2. 실어증에서 지각세계의 변화
3. 사물지각의 병리학에 대해서
4. 공간·시간·수
5. 행동의 병적 장애
제3부 의미기능과 과학적 인식의 구조
제1장 개념의 이론에 대해서
1. ‘자연적 세계상’의 한계
2. 개념
(1) 개념과 법칙
(2) 수학적 논리학에서 개념의 위치
(3) 클래스 개념과 관계개념
(4) 명제함수로서의 개념
(5) 개념과 표상
제2장 개념과 대상
제3장 언어와 과학―사물의 기호와 질서의 기호
제4장 수학의 대상
1. 수학의 형식주의적 기초 지음과 직관주의적 기초 지음
2. 집합론의 구축과 ‘수학의 근본적 위기’
3. 수학이론에서 ‘기호’가 차지하는 지위
4. ‘이상적 요소’와 이것이 수학의 구축에서 갖는 의의
제5장 자연과학적 인식의 기초
1. 경험적 다양과 구성적 다양
2. 물리학적 계열형성의 원리와 방법
3. 현대물리학의 체계에서 ‘상징’과 ‘도식’
역자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