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번역과 한국의 근대
번역과 한국의 근대
저자 : 김욱동
출판사 : 소명출판
출판년 : 2010
정가 : 23000, ISBN : 9788956264721

책소개


19세기 말엽에서 20세기 초엽에 걸쳐 번역이 한국 근대화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규명한다. 일본과 중국처럼 한국에서도 번역이라는 열쇠가 없었더라면 근대화의 빗장을 열어젖힐 수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하는 저자는 이 책에서 만약 서구 문헌이 번역을 통하여 한국에 들어오지 않았다면 한국의 근대화는 뒤늦게 이루어졌거나 지금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졌을 것임을 말하고 있다.

목차


책 머리에

제1장 왜 번역하였는가
1. 동아시아 속의 한국
2. 외국어학교의 설립과 번역
3. 왜 번역하였는가
4. '중역한'근대
5. 번역과 성서 그리고 국어
6. 번역과 민족문학

제2장 누가 번역하였는가
1. 번역과 서양 선교사들의 역할
2. 개화기의 번역가들
3. 번역가 '부평삼변'
4. 문학 번역가의 출현
5. 언론인과 출판업자의 번역
6. 번역의 백가쟁명 시대
7. 재미 문인들의 번역
8. 여성 번역가의 출현

제3장 무엇을 번역하는가
1. 자주독립과 번역
2. '지리상의 발견'과 번역
3. 서구문학의 번역
4. 국사소설과 조국의 운명
5. 문학 작품의 번역
6. 문학 번역에서 문명 번역으로

제4장 어떻게 번역하였는가
1. 번역의 세 갈래
2. 근대 계몽기의 '언어내 번역'
3. 국한문혼용인가 순국문체인가
4. 번안과 번역 사이
5. 초역.축역.경개역
6. 축자역과 의역, 직역과 자유역
7. 이중 번역과 삼중 번역
8. 중역 시대에서 직역 시대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