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 (북녘에 실재하는 감춰진 사회의 심층분석)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 (북녘에 실재하는 감춰진 사회의 심층분석)
저자 : 김병로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6
정가 : , ISBN : 9788952117632

책소개


남한의 일방적 기대나 편견이 덧씌워진 ‘북한’이 아닌
휴전선 너머에 실재하는 ‘조선’을 가감 없이 읽어 낸 책!
한국전쟁의 엄청난 피해와 충격이 자폐적 특질로 형성되어 있는 북한의 사회구조를 심층적으로 분석!

‘조선’으로 북한을 읽는다는 말은 북한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우리에게 ‘북한’이라는 이미지는 너무 부정적이며 두려운 존재로 각인되어 있어서 실재하는 북한을 편안하게 이해하기가 어렵다. 남한은 남한 국민이 스스로 생각하고 일체화하는 ‘대한민국’이라는 역사와 정체성이 있듯이, 북한도 그들 스스로 정체감을 갖는 ‘조선’의 역사와 정체성이 있게 마련이다. 북한은 지금 우리에게 이해할 수 없는 대상이며 비이성적 행동을 하는 호전적인 존재로 비치지만, ‘조선’으로 들어가 보면 나름대로 합리적인 행동 원칙이 그 안에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안에는 밖에서 보이지 않는 깊은 좌절과 분노, 한국전쟁의 엄청난 피해와 충격으로 자폐적 특질이 형성되어 있음도 볼 수 있다.

이 책은 ‘조선’사회를 지탱하는 중추적 구조가 바로 전쟁의 공포와 두려움임을 보여 준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을 바탕으로 ‘조선’에서 유사시를 대비한 지역자립체제가 정착되고, 전쟁피해 정도에 따른 계층구조, 그리고 주체사상에 입각한 조직생활이 ‘조선’의 사회구조로 자리잡아 가는 과정을 서술하였다.

‘조선’의 법과 제도가 지향하는 이념과 비전은 무엇인지, 더 나아가 그것이 북한주민의 실제 삶에 어떻게 시행되는가 하는 결과의 측면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지난 8년간 축적한 탈북자 경험자료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경제적 고난, 유엔제재, 인권압박, 핵무기 개발 등으로 점철된 ‘조선’의 폐쇄적 체제가 앞으로 생존과 변화를 꾀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도 전망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서장: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
1. 코리아 반도의 두 나라
2. 전쟁이 낳은 집단 트라우마
3. ‘다시 읽기’의 의미
4. 책의 구성

제1부 한국전쟁과 전시사회체제의 형성

제1장 지역자립체제
1. 전후복구와 전시대비
2. ‘경제-국방 병진노선’과 지역자립체제
3. 지역분산과 땅굴
4. 지역자립체제의 작동체계: 거시적 사회주의 체계 내의 미시적 시장 메커니즘
5. 체제 유지의 물적 토대

제2장 계급에서 성분으로
1. 한국전쟁의 인적 손실
2. 인구자료에 의한 추정
3. 계급노선의 질적 변화: 계급에서 성분으로
4. 성분별 계층구조
5. 북한식 보훈정책으로 확고해진 적대의식

제3장 주체사상의 종교화
1. ‘주체’의 발견과 진화
2. 구성과 내용
3. 종교적 신앙의 출현: 사회정치적 생명과 영생
4. 주체사상과 기독교
5. 자기충족사회의 의미해석과 주체종교

제2부 3대혁명과 ‘주체’사회체제 구축

제4장 3대혁명과 수령체제 확립
1. 3대혁명과 유일사상
2. ‘군사정권’과 수령체제
3. 김정일의 장군이미지 부각과 선군정치
4. 정치문화와 리더십 체계

제5장 주체적 발전전략
1. 사회주의 발전모형
2. 친중(親中)적 봉합: 중공업 우선, 농업-경공업 동시발전
3. 기술혁명의 꿈, 남한으로부터 배우다
4. 김정일 후계정권의 ‘자유화’ 정책
5. 사회주의권 붕괴와 비상대응

제6장 집단주의와 교육철학
1. 집단주의 원칙
2. 사회정책과 조직생활
3. 복지제도
4. 교육제도와 교육철학

제7장 ‘조선’사람, ‘조선’문화
1. 실용주의와 민족문화
2. 가족과 일상생활
3. 북한의 표준어 ‘문화어’
4. 유교전통문화
5. 민족주의와 반세계화

제3부 ‘고난의 행군’과 격동하는 ‘조선’사회

제8장 ‘고난의 행군’과 사회적 파장
1. 초유의 대재난
2. 재난의 파급과 국가의 대응
3. 7.1개혁과 시장의 확산
4. 집단아사의 충격과 트라우마
5. 취약해진 사회복원력

제9장 분절적 시장화와 계층구조의 변화
1. 시장과 체제변혁
2. 분절적 시장화
3. 북한 사회계층에 대한 논의
4. 시장활동과 계층구조의 분화
5. 계급갈등 양상과 진행방향

제10장 문화접변과 노스코리안 디아스포라
1. ‘고난의 행군’과 대량탈북
2. 억압적 인권의 폭로
3. 꿈틀거리는 종교
4. 한류의 유입과 정보유통
5. 변화하는 주민의식

제11장 선군정치와 핵 무장 전략
1. 체제위기와 선군정치
2. 북미 대립과 핵개발 모험
3. 2차 핵실험과 중국의 한반도 개입
4. 3차 핵실험과 북한의 핵 모험 전략
5. 다시 ‘병진노선’으로

제4부 사회주의 위기와 ‘강성국가’ 전망

제12장 ‘강성국가’의 비전과 도전
1. 사회주의 위기와 ‘공산주의’ 폐기
2. 사회주의 체제전환의 경험
3. 북한의 위기극복 전략: 6년 단위 기획
4. 주체적 발전전략과 강성국가의 실현 가능성

제13장 김정은 정권의 안정성 분석
1. 사회주의 체제와 정치 불안정
2. 김정은 정권의 대내 불안정성
3. 김정은 정권의 대외 불안정성
4. 종합평가

제14장 사회통합의 구조와 역동성: 무 엇 이 그들을 하나로 묶어 주는가
1. 갈등과 통합의 사회동학
2.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역사·문화적 뿌리
3. 사회통합 수준에 대한 경험적 평가
4. 사회통합의 전망

종장: 지구화 시대 ‘조선’의 미래
1. 붕괴냐 통일이냐?
2. ‘조선’의 개방과 국제화의 도전
3. 연대평화, ‘최후승리’의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