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론 (한정성 특정성 총칭성 복수성)
저자 : 전영철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3
정가 : 23000, ISBN : 9788952114785
책소개
명사구의 주요한 의미 특성들이 한국어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이론적으로 규명하는 책
이 책의 목적은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적 특성을 논함으로써, 한국어에 어떤 보편적 의미 속성이 실현되고, 또 어떤 의미적 특수성이 실현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인간이 언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언어에 따라 크게 다를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에 나타나는 의미 현상이 다른 언어들에서도 종종 유사하게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나 이러한 강한 보편성과 함께, 개별 언어들이 가지는 특수성도 또한 존재한다. 어떤 의미적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언어들이 취하는 책략이 서로 다를 수가 있기 때문이다. 책략을 위해 선택되는 의미 요소들이 다를 수도 있고, 각 의미 요소에 대한 의존 강도가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 동일한 의미적 목적을 위해 언어들 간에 다른 종류의 문법화가 이루어지기도 할 것이다. 우리는 한국어 명사구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목차
머리말
Ⅰ. 서론
Ⅱ. 한정성 / 특정성
1. 도입
2. 한정성과 특정성
2.1. 한정성
2.2. 특정성
2.3. 한정성과 특정성의 관계
2.4. 한정성 / 특정성과 정보구조
3. 특정성 효과
3.1. 불특정성 제약
3.1.1. 존재 전제 술어
3.1.2. 존재 전제 부사
3.1.3. 존재 전제 어미
3.2. 특정성 제약
3.2.1. 존재 단언 술어
3.2.2. 존재문
3.2.3. 특정성 제약 중화
3.3. 정리
4. 특정성 표지
4.1. 특정성 표지와 통사 현상
4.2. 특정성 표지 논쟁
4.2.1. ‘어떤’, ‘한’
4.2.2. 부분 구조
4.2.3. 복수 표지
4.2.4. 목적격 표지
4.2.5. 수량사구
4.3. 정리
Ⅲ. 총칭성
1. 도입
2. 두 종류의 총칭성: 총칭 명사구와 총칭문
2.1. 총칭 명사구와 총칭문의 구분
2.2. 의미 표상: 삼부구조
2.2.1. 양화사와 삼부구조
2.2.2. 총칭문과 삼부구조
2.2.3. 총칭 명사구와 삼부구조
2.2.4. 총칭문?총칭 명사구와 삼부구조
2.2.5. 습관문과 어휘특성문의 구별과 삼부구조
3. 총칭성의 실현 양상
3.1. 이전 연구들: 직관의 차이
3.2. 새로운 모색: ‘는’ 대 ‘가’, 개체층위 술어 대 장면층위 술어
3.3. 기타 요인들
3.3.1. 총칭성과 복수 표지
3.3.2. 총칭성과 시제
4. 총칭성과 정보구조
4.1. 총칭성?정보구조와 삼부구조
4.2. 총칭성과 화제성
5. 소결
Ⅳ. 복수성
1. 도입
2. ‘들’ 복수형과 ?복수형
2.1. ‘들’의 사용 실태
2.1.1. 불가산명사와 ‘들’
2.1.2. 가산명사와 ‘들’
2.2. 두 복수형의 의미
2.2.1. 합과 집단
2.2.2. 반례들
2.3. 집합 명사와 ‘들’
3. 사건의 복수성
3.1. 간접 복수 표지 ‘들’
3.2. ‘들’의 통합적 의미
4. 다른 의미 속성과의 관련성
4.1. 복수성과 총칭성: 집단과 종류
4.2. 복수성과 한정성
5. 소결
Ⅴ. 결론
참고문헌 / Abstract / 찾아보기 /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