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
국가의 추격, 추월, 추락 (아시아와 국제 비교)
저자 : 이근|주경철|이준협|우경봉|옥우석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3
정가 : 29000, ISBN : 9788952114778
책소개
새로운 국가의 발흥은 기존의 강국과 다른, 새로운 경로를 창출하는 데 좌우된다
이 책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국가의 흥망성쇠라는 측면에서 한 국가가 왜 흥하고 망하는가를 깊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국가들의 추격, 추월, 추락이라고 하는 세 가지 다른 운명에 대한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국가의 발흥은 기존의 강국과 다른 새로운 경로의 창출(path creating)과 연결되어 있고, 기존 강국의 쇠퇴는 주변 환경이 변함에 따라 기존 방식과의 정합성이 약해지는 것과 관련 있을 것이다.
다른 하나는 아시아적 발전 모델에 관한 것이다. 선진국에 근접하거나 진입하는 경제적 성과를 이룬 비서구국은 아시아가 유일하다. 1세대 아시아 국가들은 일본과 한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 등 4소룡 국가다. 이들은 모두 국가 및 수출주도의 외향적 성장 모델을 추구하였으나, ‘일본병’의 발생 이래 상대적 침체기에 들어간 반면 2세대 아시아 국가들이 중국, 인도를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이 책은 1세대 아시아적 발전 모델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나아가 제2세대 아시아적 모델의 새로운 경로 탐색에 대해 전망한다. 아시아국들이 새 경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네덜란드, 덴마크 등 비아시아국들의 경험도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국가의 추격, 추월, 추락 이근
1. 왜 국가의 흥망성쇠인가
2. 장기 경제성장과 후발국을 보는 이론적 시각의 변천
3. 국가의 추격, 추월, 추락 분석의 이론적 틀:기회의 창과 경로창출
4. 후발국 경제성장과 동아시아 발전 모델
제1부 아시아 주요 국가의 흥망성쇠
제2장 추격 경제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일본경제의 번영과 침체 우경봉
1. 서론
2. 일본형 경제성장 모델의 성립: 1945~70
3. 1970년대의 외부 충격과 1980년대의 안정적 성장: 1970~90
4. ‘잃어버린 10년’과 구조개혁, 정권교체: 1991~2010
5. 결론
제3장 대만경제의 추격과 구조변화 강영삼
1. 서론
2. 문제의 제기 및 가설
3. 고도성장기(1960~80년대) 대만경제 발전의 특징
4. 1980년대 대만 성장체제의 위기와 대응
5. 2000년대 대만경제의 위기와 도전
6. 결론
제4장 베이징 컨센서스와 중국경제의 추격 이근
1. 서론
2. 중국경제 성과의 비교 분석
3. 중국의 발전 모델의 국제 비교와 베이징 컨센서스
4. 중국은 중진국 함정으로부터 자유로울 것인가
5. 핵심적 장기 이슈
6. 요약과 결론
제5장 인도의 서비스 산업 주도의 경제추격: 추격인가 비약인가? 옥우석
1. 서론
2. 서비스화에 대한 기존 가설
3. 인도경제의 서비스화 특징
4. 기술비약의 관점에서 본 인도경제의 서비스화
5. 결론
제2부 비아시아 주요 국가의 흥망성쇠
제6장 아프리카에서 동아시아형 기적을 이룬 모리셔스의 추격과 추락 그리고 방글라데시: 개도국 간 상호경합의 문제 슬로차니, 박준기, 이근
1. 서론
2. 두 가지 가설: 제도가 중요한가 수출성장이 중요한가
3. 모리셔스의 경제발전
4. 모리셔스의 섬유의류산업
5. 요약과 결론
제7장 ‘켈틱 호랑이’ 아일랜드의 추격과 추락 기지훈, 김경준, 권재현, 김지연
1. 서론
2.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와 켈틱 호랑이의 등장: 역량 형성과 기회의 창의 결합
3. 외국인직접투자의 변화와 켈틱 호랑이의 추락
4. 결론 및 시사점
제8장 ‘네덜란드 병’에서 ‘네덜란드 기적’으로: 역사문화적 분석과 평가 주경철
1. 서론
2. ‘네덜란드 병’과 ‘네덜란드 기적’
3. 역사?문화적 분석
4. 평가
제9장 신슘페터 학파 이론에 입각한 덴마크 모형의 재해석 이준협
1. 서론
2. 덴마크의 경제성장과 산업구조 변화
3. 신슘페터 학파 이론에 입각한 덴마크 모형의 새로운 해석
4. 결론
제10장 요약과 결론 이근
1. 문제 의식과 분석틀
2. 아시아 발전 모델의 평가
3. 추격, 추월, 추락의 관점에서 본 선진국의 흥망성쇠
4. 후발국가들의 흥망성쇠
5. 한국에의 시사점
보론 주요 국가 장기성장의 기초통계 분석 박준기, 이근
1. 개요
2. 동아시아 주요국의 경제추격 성과
3. 제1세대 및 2세대 동아시아 모델의 상대적 부침
4. 성장 원천의 분석: 개방, 수출증가, 연구개발투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