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조선시대 사회사와 한국사 인식
조선시대 사회사와 한국사 인식
저자 : 김인걸
출판사 : 경인문화사
출판년 : 2017
정가 : , ISBN : 9788949942933

책소개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김인걸 교수가 한국사학계에 첫 발을 들여놓았을 때의 논문부터 비교적 최근의 시평적인 글까지 그간 써 온 글 가운데 14편을 골라 크게 3개 분야로 나누어 엮은 책이다. 조선후기 신분사와 조선시기 사회사에 대한 연구사 검토 논문과 조선후기 향권의 추이를 다룬 연구자료 들이 담겨있다. 더 나아가 한국사학과 한국사교육에 관한 평론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목차


서 문

1부 연구 리뷰

1장 조선후기 신분사 연구현황
2장 조선시기 사회사 연구와 자료활용 방안

2부 조선후기 사회사 연구

3장 조선후기 향권의 추이와 지배층 동향
-충청도 목천현 사례-
4장 조선후기 촌락조직의 변모와 1862년 농민항쟁의 조직기반
5장 민장(民狀)을 통해 본 19세기 전반 향촌 사회문제
6장 조선후기 재지사족의 ‘거향관(居鄕觀)’ 변화
7장 조선후기 향촌사회에서 ‘유교적 전통’의 지속과 단절

3부 사론 및 서평

8장 1960, 70년대 ‘내재적 발전론’과 한국사학
9장 현대 한국사학의 과제
- 과학적 역사학의 비판적 계승 -
10장 우리 시대의 한국사 교육
11장 조선시대사 연구가 걸어온 길: ‘근대 기획’ 넘어서기
12장 사회 ‘제도’와 ‘조직’ 사이의 거리 좁히기
(서평 : 김필동, 1992 [한국사회조직사연구-
계 조직의 구조적 특성과 역사적 변동-], 일조각)
13장 조선후기 정치사상사연구에 보내는 쇳소리
(서평 : 정석종, 1994 [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 한길사)
14장 사회사에서 향촌사회사로
(서평 : 김현영, 1999 [조선시대의 양반과 향촌사회], 집문당)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