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북한 권력의 역사
저자 : 백학순
출판사 : 한울아카데미
출판년 : 2010
정가 : 54000, ISBN : 9788946053076
책소개
북한 권력 65년의 대하실록!
60년 일당독재, 세계 유일무이의 3대 세습국가를 만든
힘의 원천을 해부하다
이 책은 해방 이후부터 2010년 현재까지의 북한 권력의 역사를 꼼꼼히 살피고 특히 구성주의적 접근을 통해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개인을 어디까지나 외부 자원과 구조의 압력하에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일종의 ‘기계’에 가깝게 보는 신현실주의와 달리, 구성주의는 권력자 개인이 가진 ‘사상’과 ‘정체성’이 그들이 처한 권력현실이나 그들이 펼치는 권력행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봄으로써 개인을 보다 능동적인 존재로 파악한다.
이러한 구성주의적 프리즘을 통해, 우리는 북한에서의 권력투쟁이 기본적으로 권력자들의 ‘사상’ 및 ‘정체성’ 간의 투쟁이기도 했으며, 그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정치기회구조’에 다양하고 독특하게 반응했던 보다 심층적인 이유가 존재했음을 깨닫게 된다. 북한 정치·역사에 30년 이상 천착해온 저자가 온 역량을 쏟아 탄생시킨 이 노작은, 천안함 사건 이후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와 권력세습 문제로 격동하고 있는 북한의 어제와 오늘을 더욱 생생하게 이해하도록 돕고, 한반도의 미래를 가늠해볼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지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목차
서론
제1부이론적 분석의 틀
제1장이론적 분석의 틀
1. 구성주의
2. 정치기회구조
제2부파벌 경쟁과 패권적 연합(1945~1953)
제2장파벌의 경쟁과 연합
1. 정치기회구조
2. 김일성 vs. 오기섭
3. 김일성 vs. 박헌영
4. 김일성 vs. 조만식
제3장김일성 중심의 패권적 연합
1. 6·25전쟁
2. 김일성 중심의 패권적 연합
3. 박헌영파 숙청
제3부‘8월 종파사건’과 ‘반종파 투쟁’(1953~1958)
제4장‘8월 종파사건’의 정치기회구조
1. 소련공산당 제20차 대회
2. 폴란드 포즈난 사건
3. 북한정부 대표단의 동유럽, 소련, 몽골 순방
4. 모스크바 주재 북한대사 리상조의 역할
5. 소련과 평양 주재 소련대사관의 역할
6.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
제5장‘8월 종파사건’의 배경: 사상과 정체성의 충돌
1. 전후 복구발전 노선 경쟁
2. 사상사업에서의 투쟁
3. 김일성 개인숭배, 조선혁명역사 왜곡, 김일성파 중용
4. 김일성파 vs. 연안파 vs. 소련파
제6장‘8월 종파사건’의 모의과정
1. 북한정부 대표단의 동유럽, 소련, 몽골 순방 출발 이전
2. 북한정부 대표단의 동유럽, 소련, 몽골 순방기간
3. 북한정부 대표단의 귀국 이후
제7장‘8월 종파사건’의 발생과 반전
1.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8월 전원회의’
2. 소련공산당과 중국공산당의 직접 개입
3.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9월 전원회의’
4. ‘8월 종파사건’의 평가
제8장‘반종파 투쟁’
1. 대외 정치기회구조
2. ‘반종파 투쟁’
3. 조선로동당 대표자회
4. 인민군대 내 ‘당 위원회’ 설치와 소련파 및 연안파 숙청
5. 인간개조, 사회개조 운동의 움틈
제4부단일지도체계, 유일사상체계(1958~1994)
제9장김일성 단일지도체계 확립
1. 대외 정치기회구조
2. 조선로동당 제4차 대회
3. 김일성사상과 항일빨치산혁명전통 정체성의 공유
4. 정통 마르크스 논쟁과 사상문화 간부들의 도전
5. 조선로동당 제2차 대표자회
6. 1967년: 유일사상체계, 사회문화적 ‘대격변’
7. 인민군대 내 군벌관료주의자들의 숙청
제10장유일사상체계, 수령제 사회주의
1. 대외 정치기회구조
2. 유일사상체계의 심화와 ‘계속혁명’
3. 조선로동당 제5차 대회
4. 1972년 ‘사회주의’ 헌법
5. ‘온 사회의 김일성주의화’ 강령 선포
6. 3대혁명소조운동
7. 조선로동당 제6차 대회
8. 수령과 수령제 사회주의
9. 김정일의 수령 승계
제5부선군사회주의(1995~2010)
제11장선군사회주의
1. 대외 정치기회구조
2. 대내 정치기회구조
3. 선군정치 이전의 조치들
4. 선군사회주의
5. 3대 세습 후계정치
제6부평가와 전망
제12장‘북한 권력의 역사’의 평가와 전망
1. ‘북한 권력의 역사’의 평가
2. 북한 권력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