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고대농업사연구
한국고대농업사연구
저자 : 김용섭
출판사 : 지식산업사
출판년 : 2019
정가 : 22000, ISBN : 9788942390748

책소개


농업으로 한국사 체계를 세워 나가는 통합사학, 그 기반이자 총체를 만나다
우리 역사의 시원부터 중세까지 이합집산과 흥망성쇠의 내적 원리와 심층 탐구
고대사의 재발견이자 한국 농업사 연구 주춧돌의 완성

우리 농업사로 한국사의 골간을 수립하는 데 한평생을 바쳐온 사학자의 저작집 9권이 출간된다. 송암松巖 김용섭 교수는 농업을 중심으로 고조선 부족집단들의 초기 국가 성립부터 그 유민들의 국가재건의 과정을 세밀한 논증과 선 굵은 필체로 그려낸다. 농업 시스템과 한국사 접목이라는 독자적인 시각과 신선한 문제제기가 기존의 고대사 인식을 되돌아보게 만든다. 조선 후기 농업사 연구로부터 시작된 저자의 ‘종합사학’ 구축은 이로써 하나의 중요한 매듭을 완결 짓는다.

목차


머리말 ……………………………………………………… 5

제Ⅰ편 고대의 농경문화와 고조선의 성립 발전 …… 15

서론 -고조선의 국가와 문명을 찾아서 _17

제1장 농경문화의 시작과 동아시아 북방민족 _19

1. 농경문화의 시작 _19
2. 동아시아 북방민족의 요하문명의 농경문화 _20
3. 농업생산의 주체 -농업공동체에서 농촌공동체로 _30

제2장 고조선 단군정권의 수립과 농업생산의 기획화 _33

1. 부족사회들의 농업생산 증진과 사회변동 _33
2. 고조선 단군정권의 수립과 농업정책 _37
1) 부족집단들의 고조선 단군정권 수립 _37
2) 단군정권의 국가운영 정치운영 체계 _39
3) 疆域 -단군정권을 구성하는 부족집단들 _41
4) 농업정책 농업기획의 두 방향 _43
5) 농촌 邑落사회의 조정 _47

제3장 농업생산의 발전과 사회정치적 갈등구조 _49

1. 부족사회 부족국가의 농업발전 _49
2. 농업생산 발전정책의 문제점 _50
3. 갈등구조의 조성과 대책의 요청 _52
1) 지배층 내부의 갈등구조 _52
2) 읍락사회 내부의 갈등구조 _55
3) 갈등구조의 심화와 대책의 요청 _55

제4장 고조선 기자정권의 등장과 고대적 농업 사회체제 _57

1. 부족국가들의 농업문제 수습책 -정변 _57
2. 고조선 기자정권의 등장 _58
1) 정치개혁 -칸들의 합의제 귀족정치로 _61
2) 사회개혁 -사회신분제의 고대적 확립 _62
3) 경제개혁 농업개혁 -개발 발전 위주로 _67
3. 고조선 기자정권의 농업생산 증진책 _68
1) 농경기술의 개량 발전 -牛犁耕 _68
2) 민의 저항에 대한 대비책 -8조의 금법 _69
3) 농업생산의 독려와 회유, 그 결과 _70
4. 읍락사회의 고대적 호민지배적 재편성 _71
「보론 1」 長川1號墳 _74
「보론 2」 『제왕운기』 _78
「보론 3」 孤竹國 _80

제Ⅱ편 고조선 기자정권의 쇠망과 그 유민들의 국가재건운동 …83

제1장 부여와 고구려의 국가재건 _85

서론 -고조선 쇠망 후의 국가재건은 시세에 맞게 _85
1. 기자정권 쇠망시기의 국내외 사정 _87
1) 기자정권 쇠망의 농업사회 사정과 국가조직 _88
(1) 농업사회 사정 _88
(2) 연맹체의 국가조직 _91
2) 기자정권 쇠망 시기의 국제정세
-동아시아의 격변과 중국의 천하체제 구축 _92
(1) 중국의 東征과 기자정권의 쇠망 _92
(2) 동아시아 문명권의 형성과 주변국의 문명전환 _94
2. 고조선 유민들의 문명전환과 국가재건 원칙 _96
1) 국왕권 중심의 국가체제로 _97
2) 읍락사회의 수직형 사회구성과 민의 지위 조정 _98
3. 부여와 고구려의 국가재건 경위 _100
1) 부여의 국가재건 경위 _100
(1) 맥족 맥국의 유망과 고죽국과의 합류 _101
(2) 맥족 맥국과 고죽국, 고리국으로서 귀향 _105
(3) ?族과 濊族의 정치협상과 扶餘國 건설 _108
2) 고구려의 국가재건 경위 _111
(1) 고구려의 전신 부족집단 ; 句麗5族과 孤竹國 _113
(2) 고구려 건설은 孤竹國 주도하에 _115
(3) 朱蒙 탄생의 설화와 그 역사적 의미 _118
(4) 朱蒙의 卒本지역 입성과 고구려국가 건설 _124
4. 부여 고구려의 국가체제와 농업사회 사정 _129
1) 부여의 국가체제와 농업사회 사정 _129
(1) 국가의 통치체제 관료체계 _130
(2) 농촌 읍락사회의 사회구조 -두 경향의 경제질서 _133
2) 고구려의 국가체제와 농업사회 사정 _137
(1) 고구려국가의 지향 _137
(2) 국가의 통치체제 관료체계 _140
(3) 농촌 읍락사회의 재편성
-殉葬 관행의 개혁과 自耕小農制와 地主佃戶制의 설정 _144

제2장 辰國의 남하 삼한 건설과 신라의 ‘순장’ 관행 개혁 _152

서론 -삼한에서의 국가재건 경위 _152
1. 진국 국가재건으로서 삼한을 건설 _154
2. 삼한사회의 정치적 사회경제적 특징 _156
3. 진국의 중국군현과의 전쟁과 신라의 임무 _160
1) 중국군현과의 전쟁과 국가재건 계획의 좌절 _160
2) 斯盧國 新羅의 전쟁수행을 위한 임무 _162
4. 사로국 신라의 성장과 ‘순장’ 관행 개혁 _165

제3장 百濟의 시원과 그 국가재건의 성격 _170

서론 -백제의 국가재건의 방향 _170
1. 백제의 始原 _172
1) 그 出自는 부여 _172
2) 그 소속 종족은 맥족 맥국 _175
3) 馬韓에 伯濟國이 설치된 사정 _177
2. 始原期 백제의 선결 과제 _181
1) 馬韓의 병합과 국가기반 강화 _181
2) 樂浪郡 辰國·辰韓의 전쟁과 백제의 국가체제 정비 _183
결론 _186

제Ⅲ편 보론: 고대 농업사연구를 지향하며 ………………191

제1장 古代의 土地制度 ; 古朝鮮의 성립 발전과 농업생산

-『土地制度의 史的推移』 보설 _193
서론 -토지제도의 역사적 추이의 이해를 위하여 _194
1. 고대 농경문화의 시작과 고조선 壇君정권의 성립 _196
2. 壇君정권의 농업정책과 箕子정권의 등장 _200
3. 箕子정권의 농업정책과 고대적 사회구성 토지제도 _207

제2장 古代의 農業과 農民 -「韓國農業史」 중에서 _213

1. 鐵製農具의 보급 _214
2. 여경농업의 발달과 계층분화 _218
3. 대토지소유의 발전과 정복전쟁 _221
4. 신라통일시기의 均田制 _225

제3장 고대의 土地制度 -「전근대의 토지제도」 중에서 _231

참고문헌 …………………………………………………………238
찾아보기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