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심장에 가까운 말 (박소란 시집)
저자 : 박소란
출판사 : 창비
출판년 : 2019
정가 : , ISBN : 9788936423865
책소개
2009년 문학수첩으로 등단한 이후 독특한 발성과 어법으로 개성적이고 활달한 시 세계를 펼쳐온 박소란 시인의 첫 시집 심장에 가까운이 출간되었다. 등단 6년 만에 펴내는 이 시집에서 시인은 생의 어두운 이면을 낱낱이 포착해내는 섬세한 관찰력으로 도시적 삶의 불우한 일상을 감성적인 언어로 면밀히 그려낸다. 체념과 절망뿐인 비참한 현실 속에서 고통의 삶을 살아가는 존재들의 슬픔을 연민의 손길로 다독이며 삶의 진정한 가치와 의미를 곱씹는 내밀한 성찰과 사유의 깊이가 돋보이는 시편들이 잔잔한 울림으로 다가온다. 현실의 모순을 끄집어내고 동시대를 살아가는 타자의 삶과 시대의 아픔까지 껴안으면서 “맨살로 죄와 병을 감내하며 자신만의 언어로 시를 써”(김성규, 추천사)온 시인의 고뇌 또한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목차
폐품 리어카 위 바랜 통기타 한채 실려간다//한시절 누군가의 노래/심장 가장 가까운 곳을 맴돌던 말//아랑곳없이 바퀴는 구른다/길이 덜컹일 때마다 악보에 없는 엇박의 탄식이 새어나온다//노래는 구원이 아니어라/영원이 아니어라/노래는 노래가 아니고 아무것도 아니어라//다만 흉터였으니/어설픈 흉터를 후벼대는 무딘 칼이었으니//칼이 실려간다 버려진 것들의 리어카 위에//나를 실어보낸 당신이 오래오래 아프면 좋겠다(노래는 아무것도 전문)
결 고운 서정적 어조로 신산한 삶의 그늘과 “도시의 절망적 풍경”(남승원, 해설)을 그려내는 박소란의 시에는 서늘한 아픔과 “물컹한 슬픔”(베개)이 배어난다. 시인은 삭막한 도시의 한 귀퉁이에서 “꼬리가 잘린 채 버려”(나의 고양이가 되어주렴)지거나 “바닥을 향해 곤두박질치”(용산을 추억함)면서 가뭇없이 스러져가는 존재들에게 애틋한 눈길을 건넨다.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는 세상의 통점을 짚어내며 공동체적 삶에 대한 오롯한 믿음을 바탕으로 사회적 문제를 에두르지 않고 예민하게 파고드는 시인은 “정처 없이 한데를 서성”(미자)이는 소외된 존재들의 절망적인 상황을 ‘지금-여기’ 끊임없이 되살리면서 “집집마다의 비극을 모조리 깨워”(나의 고양이가 되어주렴) 고통의 현장으로 재현해낸다.
폐수종의 애인을 사랑했네 중대병원 중환자실에서 용산우체국까지 대설주의보가 발효된 한강로 거리를 쿨럭이며 걸었네 재개발지구 언저리 함부로 사생된 먼지처럼 풀풀한 걸음을 옮길 때마다 도시의 몸 구석구석에선 고질의 수포음이 새어나왔네 엑스선이 짙게 드리워진 마천루 사이 위태롭게 선 담벼락들은 저마다 붉은 객담을 쏟아내고 그 아래 무거운 날개를 들썩이던 익명의 새들은 남김없이 철거되었네 (…) 상복을 입은 먹구름떼가 순식간에 몰려들었네 깨진 유리창 너머 파편 같은 눈발이 점점이 가슴팍에 박혀왔네 한숨으로 피워낸 시간 앞에 제를 올리듯 길고 긴 편지를 썼으나 아무도 돌아올 줄 모르고 봄은 답장이 없었네 애인을, 잃어버린 애인만을 나는 사랑했네(용산을 추억함 부분)
애절한 삶의 자리로 시인이 호명하는 인물들은 한결같이 비통한 모습이다. 그들은 “스스로를 절단”(칼 이야기) 내거나 “슬픔을 입에 문”(나의 고양이가 되어주렴) 채 “불안이 눅눅히 번”지는 “지상의 외딴 그늘에 숨어”(나프탈렌) 도시의 허름한 바닥에서 쓸쓸히 살아간다. “걷고 또 걸어 마침내 걸어도 걸어도 제자리”(무명배우의 죽음에 부쳐)일 뿐인 처연한 삶이기는 시인도 마찬가지다. “내 것이 아닌 이름으로 자꾸만 머뭇대며 살아 있는 일에 대하여”(망명) 회의도 하고, “슬픔 같은 건 아무도 알아채지 못하도록/멋쩍은 웃음만 지어 보이”(감)던 아픔과 “아릿한 곰팡내가 명치를 꾹꾹 누르는” 외로운 “울음의 방”에서 “말수가 적어 겉돌기만 하던” “추진 스무살”(울음의 방)의 상처가 아릿한 기억이 있다.
부랑의 어둠이 비틀대고 있네 텅 빈 아현동/넋 나간 꼴로 군데군데 임대 딱지를 내붙인 웨딩타운을 지날 때/쇼윈도우에 걸린 웨딩드레스 한벌 훔쳐 입고 싶네/천장지구 오천련처럼 90년대식 비련의 신부가 되어/굴레방다리 저 늙고 어진/외팔이 목수에게 시집이라도 간다면 소꿉질하듯 살림이라도 차린다면/그럴 수 있다면 행복하겠네/(…)/아아 그러나 나는 비련의 신부, 비련의/아현동을 결코 시 쓸 수 없지 외팔의 뒤틀린 손가락이/식은 밥상 하나 온전히 차려낼 수 없는 것처럼/이 동네를 사는 누구라도 끝내 행복할 수는 없겠네/영혼결혼식 같은 쓸쓸해서 더 찬란한 웨딩드레스 한벌/쇼윈도우에 우두커니 걸려 있고 그 흘러간 시간의 언저리/도시를 떠나지 못한 혼령처럼 서 있네 나는(아현동 블루스 부분)
오랜만에 만나는 우리시의 젊고 아름다운 서정
이렇듯 “깊은 절망과 한숨”뿐인 막막하고 “시린 어둠”(어떤 여정)속에서 시인은 “누군가를 향한 기다림이 나를 살게 할 거라 굳게 믿”으며 “아무 사이비 종교에라도 매달려보고 싶었던/냉담의 날들”(만두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처럼)을 오롯이 견뎌왔다. “삼키고 또 삼켜도 질긴 허기는 가시질 않”(배가 고파요)고 “시린 이마를 짚어주는”(약국은 벌써 문을 닫았고) 따듯한 손길 하나 없이 “캄캄했던 날들”(병을 얻다), 시인은 “체념만이 오랜 밥이고 약이었음을” 담담하게 고백하면서 “굳센 체념”(체념을 위하여)이 오히려 고통스럽고 절망적인 삶을 지탱해온 버팀목이었다는 아픈 진실을 드러낸다.
희망과 야합한 적 없었다 결단코/늘 한발 앞서 오던 체념만이 오랜 밥이고 약이었음을//고백한다 밤낮 부레끓는 숨과 다투던 폐암 말기의 어머니/악착같이 달아 펄떡이던 몸뚱이를/일찍이 반지하 시린 윗목에 안장한 일에 대하여/마지막 구원의 싸이렌마저 함부로 외면할 수 있었던 조숙한 나약함에 대하여/(…)/오로지 체념, 체념만을 택하였다 체념은 나의 신앙/그 앞에 무릎 꿇고 자주 빌었으며 순실히 경배하였다/체념하며 산 것이 아니라 체념하기 위해 살았다(체념을 위하여 부분)
그렇다면 희망은 어디에도 없는 것일까. 비록 삶의 고통이 “여지없이 마음을 찢고 피를 쏟게 한 대도”(병을 얻다) 시인은 “그 아픔의 눈물이 삶의 마른 화분을 적시기도 한다”는 것을 깨달으며 이제는 “누구든 사랑할 수 있다”고, “더이상/사랑하지 않을 도리가”(돌멩이를 사랑한다는 것) 없다고 노래한다. 그러면서 짐짓 “노래는 구원이 아니어라/영원이 아니어라/노래는 노래가 아니고 아무것도 아니어라”고 말하지만, 애처로운 삶의 고단한 어깨를 가만가만 토닥이면서 그토록 깊은 슬픔과 고통을 거름으로 삼아 “심장 가장 가까운 곳을 맴”(노래는 아무것도)도는 곡진한 노래야말로 “부랑의 어둠이 비틀대”(아현동 블루스)는 이 누추한 세상의 골목을 밝히는 희망의 불씨인 것이다.
내 아버지가 나고 자란 마을에선 저녁을 지익이라 부르지/야야 지익 묵구로 인자 고마 들온나, 할머니 정지 앞에 서 손짓하면/순하게 누운 하늘과 땅 그 맞닿은 속살 어디쯤에선가 지익지익/땅거미가 낡은 신발 뒤축을 끌며 오는 소리/(…)/낯모를 슬픔이 마음의 여린 뺨들을 할퀴는 소리/할퀴인 자리마다 여문 어둠이 촘촘히 수놓이는 소리/야야 고마해라 지익 다 됐다, 하면/마루 위 한상 가득 내려앉은 달큰한 지익은 그만/밥이 되고 약이 되었네 눈시울을 훔치며 달려와/말없이 숟가락을 든 젖은 손등 위 한줄기 우직한 심줄에도/막 새살이 오른 듯 뜨거운 빛이 돌았네(지익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