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한국어 어미의 의미
저자 : 박재연
출판사 : 집문당
출판년 : 2019
정가 : , ISBN : 9788930318136
책소개
『한국어 어미의 의미』 는 한국어 어미 의미 기술의 방법론을 확립하고 개별 어미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어미는 통사적 기능 외에도 의미적 기능을 더 가지며 다른 문법 형식과는 달리 그 의미 기능이 매우 복잡하다. 하나의 어미의 기능이 여러 범주에 걸쳐 있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그 의미를 기술할 정교한 방법론이 필요하며 이 책에서는 크게 세 가지 원칙을 가지고 한국어 어미의 의미를 기술하고자 한다. 첫째, 어미도 어휘 형식처럼 다의어일 수 있다. 둘째, 어미의 의미도 어휘 형식의 의미처럼 복잡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몇 가지 의미 성분으로 성분 분석할 수 있다. 셋째, 어휘 형식의 의미 기술에 적용되는 원리를 어미의 의미 기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어미의 의미』 에서는 시제, 상, 양태, 문장 유형 등의 문법 범주와 성분 분석, 전경과 배경, 환유와 은유, 합성성과 비합성성 등의 방법론적 도구를 이용해 한국어 어미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목차
제1부 개념과 방법론
한국어 양태 범주의 확립과 어미의 의미 기술
1. 서론
2. 인식 양태의 의미 영역
3. 의미 기술의 실제
4. 결론
인식 양태와 의문문의 상관관계
1. 서론
2. 인식 양태와 의문문의 개념적 관련성
3. 인식 양태 어미와 유사의문문
4. 의문형 어미와 인식 양태적 판단
5. 결론
한국어 양태의 화 · 청자 지향성과 주어 지향성
1. 서론
2. 행위 양태의 화 · 청자 지향성과 주어 지향성
3. 인식 양태의 화 · 청자 지향성과 주어 지향성
4. 결론
‘주어 지향적 양태’와 관련한 몇 문제
1. 서론
2. ‘지향적’이라는 용어의 사용
3. 우언 형식 양태의 지향성
4. 양태 논의의 범위와 주어 지향적 양태
5. 결론
한국어의 인식론적 범주와 관련한 몇 문제
1. 서론
2. 내면화 범주에 대한 이해
3. 증거와 내면화의 상관관계
4. ‘흔적 지각’과 ‘뒤늦은 깨달음’
5. 결론
문법 형식의 전경 의미와 배경 의미
1. 서론
2. 전경 의미와 배경 의미
3. 상적 의미를 표현하는 연결어미의 의미 기술
4. 결론
문법 형식의 의미 기술과 통사론 · 의미론 · 화용론
1. 서론
2. 의미 기술의 층위 구별
3. 의미 · 화용론적 개념을 이용한 문법 형식의 의미 기술
4. 결론
한국어 어미 결합에서 나타나는 비합성적 의미 해석
1. 서론
2. 비합성적 의미 해석의 작동 방식
3. ‘-겠네, -더구나’에서 나타나는 활성 성분 현상
4. ‘-던가요, -군요, -겠습니다’에서 나타나는 빈자리 채우기 현상
5. ‘-었던가’에서 나타나는 새 자리 찾기 현상
6. 결론
한국어 어미의 의미 기능과 문법 범주
1. 서론
2. 한국어 어미의 의미 기능
3. 문법 범주 식별 방법
4. 문장 유형과 양태의 구별
5. 현실성 속성과 서법
6. 결론
제2부 선어말어미의 의미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었더-’
1. 서론
2. ‘-었더니’의 ‘-었더-’
3. ‘-었던’의 ‘-었더-’
4. ‘-었더라면’과 ‘-었던들’의 ‘-었더-’
5. 결론
‘-던가’, ‘-더라’ 의문문의 특성
1. 서론
2. ‘-던가’ 의문문의 문법 현상
3. ‘-었던가’의 특수성
4. ‘-더라’ 의문문의 문법 현상
5. 결론
‘-겠-’과 ‘-을 것이-’의 비대립 환경과 대립 환경
1. 서론
2. ‘-겠-’과 ‘-을 것이-’의 비대립 환경
3. 대립 환경의 ‘-겠-’과 ‘-을 것이-’의 차이
4. 결론
제3부 종결어미의 의미
한국어 종결어미 ‘-구나’의 의미론
1. 서론
2. ‘-구나’의 기본 의미
3. 증거 범주의 관점에서 본 ‘-구나’의 의미
4. 결론
종결어미 ‘-을까’의 뜻풀이
1. 서론
2. 『표준국어대사전』과 『연세한국어사전』의 ‘-을까’의 뜻풀이에 대한 검토
3. 개선 방향
4. 결론
‘-다고’류 어미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1. 서론
2. 언어의 해석적 용법과 전언 표지
3. ‘-다고’류 어미의 화용론적 특성
4. 결론
독백과 독백문 종결어미
1. 서론
2. 독백의 성격
3. 독백문 종결어미의 종류
4. 결론
한국어 의도 관련 어미의 환유적 의미 확장
1. 서론
2. 문법 형식의 다의성과 환유
3. 약속형 어미 ‘-을게’의 의미 확장
4. 청유형 어미 ‘-읍시다, -세, -자’의 의미 확장
5. 의문형 어미 ‘-을까, -으련’의 의미 확장
6. 결론
제4부 연결어미와 전성어미의 의미
연결어미와 양태
1. 서론
2. ‘이유’의 연결어미와 양태
3. ‘조건, 양보’의 연결어미와 양태
4. 결론
한국어 연결어미 의미 기술의 메타언어 연구
1. 서론
2. 연결어미 메타언어 선정의 원칙
3. 연결어미 메타언어 선정을 위한 몇 문제
4. 결론
한국어 연결어미 의미 확장에서의 환유와 은유
1. 서론
2. 연결어미 의미 확장의 두 유형
3. 연결어미의 환유적 의미 확장
4. 연결어미의 은유적 의미 확장
5. 결론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의 의미 기능과 그 문법 범주
1. 서론
2. 관형사형 어미 ‘-은’, ‘-을’과 ‘현실’, ‘비현실’의 대립
3. ‘-을’과 ‘-겠-’의 의미 기능 비교
4. ‘현실, 비현실’ 대립의 양태 체계 내에서의 위치
5. 결론
수록 논문 출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