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글로벌 시대의 사회통합 (세계적 추세와 한국의 위상)
글로벌 시대의 사회통합 (세계적 추세와 한국의 위상)
저자 : 장용석|박명호|오완근|김보경|조희진|유미현|박찬열
출판사 : 집문당
출판년 : 2017
정가 : 18000, ISBN : 9788930317719

책소개


본 연구는 사회통합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이의 다양한 속성들을 포괄하는 통섭적 관점을 바탕으로 적실성 높은 정책적 대안들을 제안하고자 하는 노력을 담았다. 이를 위해 첫째, 공동체에의 소속감, 국민적 결집력 등 국내 사회로 한정 지어 논의하던 사회통합의 개념을 국제적 수준으로 확장시켜 ‘개인 보호’, ‘공동체 건설’, ‘국제사회 기여’로 구성하여 통합사회 개념을 재정의하였다. 둘째, 국가비교분석을 통해 한국의 통합사회 위상을 거시적으로 조망하는 한편 통합사회의 핵심가치체계인 개인주의, 공동체주의, 국가주의, 세계시민주의가 행복, 포용성, 사회체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셋째, 사회적 자본 구축 및 사회 갈등 해소와 관련된 국내 정책들을 분석하여 통합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서 문

제2장 통합사회의 국가 간 비교 및 한국의 위상
1. 사회통합에 대한 기존 이론
2. 통합사회의 개념
3. 데이터 특성 및 측정
4. 통합사회 지수의 구성 체계
5. 지표 내용 설명
가. 개인 보호
나. 공동체 건설
다. 국제사회 기여
6. 통합사회의 국가 간 비교
가. 영역별 분석
나. 변동계수 및 분포 분석
다. OECD와 non-OECD 비교
7. 한국의 통합사회 변화 분석
가. 한국 통합사회 지수 평균 및 변화율 분석
나. 한국 통합사회 지수 수준별 순위 현황 및 그룹핑
8. 소결

제3장 글로벌 시대의 통합사회 핵심가치
1. 통합사회 핵심가치에 대한 이론적 배경
가. 다원화된 사회의 사회통합
나. 다원적 정체성과 통합사회
2. 통합사회의 핵심가치 실증 분석을 위한 연구 방법
가. 자료 및 표본
나. 종속변수: 신뢰, 포용성, 행복
다. 독립변수: 개인주의, 공동체주의, 국가주의, 세계시민주의
3. 통합사회의 핵심가치 국가 간 비교 분석 결과
4. 소결

제4장 통합사회 실현을 위한 한국의 정책 분석
1. 이론적 논의
2. 분석 대상 및 방법
3. 통합사회 실현을 위한 사회적 자본 구축 정책 분석
가. 정책의 편향성: 제도 및 상태 개선 중심의 정책, 의식 전환을 위한 정책의 부족
나. 기업, 시민 대상의 정책 부족: 국가 간 비교를 통한 의식 개선 정책의 중요성
4. 통합사회 실현을 위한 사회 갈등 해소 정책 분석
가. ‘성장’과 ‘분배’에 대한 이분법적인 사고로 인한 분절적 정책 시행
나. 소통, 다양성, 행복을 추구하는 전 세계적 패러다임에 조응하지 못하는 한계
다. 국제사회에의 기여가 중요, 그러나 한국은 미흡
라. 사회통합위원회의 기존 정책 분석 결과
5. 소결

제5장 결 론

부 록
부표 A. 통합사회 지표의 1990년과 2008년의 상-중-하위권 그룹 비교
부표 B. 통합사회 지표의 1990년과 2008년의 상-중-하위권 국가별 변화
부표 C. 통합사회 지표의 국가별 중분류 지수 수준 및 변화율
부표 D. 통합사회 지표의 국가별 소분류 지표 수준 및 변화율
부표 E. 통합사회 지수 집락분석 결과
부표 F. 한국의 통합사회 발전 순위 변화-아시아 및 중동 국가 포함
부표 G. 국가별 사회통합 요소 표준화 지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