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
무정부 사회
저자 : 헤들리 불
출판사 : 나남
출판년 : 2012
정가 : 32000, ISBN : 9788930085670
책소개
이 책은 현대 국제체제를 이해하는 하나의 접근방법이다. 현대 국제체제에서는 경제적 상호의존이 불가피하고, 공통의 규칙과 제도가 촘촘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으며, 핵전쟁의 위험 때문에, 또한 경제적 상호의존에서 발생하는 충돌은 전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무력의 효용은 감소하고 있다. 또한 현대 국제체제에서도 국가가 여전히 주요한 행위주체이며, 문화적 다양성으로 ‘문명간의 전쟁’으로까지 치달을 것 같지는 않지만 국제사회의 견고성에 의문이 생기고, 종종 국제사회의 규칙에 대한 다툼이 생긴다. ‘국제 레짐’ 이론가들이 탐구해온 이기적 행위자들간의 협력은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데, 불의 작업은 이에 대한 하나의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 있다.
목차
옮긴이 머리말
제3판 머리말
제2판 머리말
머리말
서론
제1부 세계정치에서 질서의 성질
제1장 세계정치에서 질서의 개념
1. 사회생활에서의 질서
2. 국제질서
3. 세계질서
제2장 세계정치에 질서는 존재하는가
1. 국제사회의 관념
2. 국제사회의 현실
3. 국제사회의 한계
제3장 세계정치에서 질서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1. 사회생활에서 질서의 유지
2. 근대국가에서의 질서
3. 원시 무국가 사회에서의 질서
4. 국제사회에서의 질서
5. 기능적 설명과 인과적 설명
제4장 세계정치에서의 질서 대 정의
1. ‘정의’의 의미
2. 질서와 정의의 양립가능성
3. 우선순위의 문제
제2부 현대 국제체제에서의 질서
제5장 세력균형과 국제질서
1. 세력균형
2. 세력균형의 기능
3. 세력균형의 오늘날의 적실성
4. 상호핵억지
5. 상호핵억지와 세력균형
6. 상호핵억지의 기능
제6장 국제법과 국제질서
1. 국제법의 성질
2. 국제법의 실효성
3. 국제질서에 대한 국제법의 공헌
4. 국제법의 한계
5. 현대 국제법
6. 국제법의 주체
7. 국제법의 범위
8. 국제법의 법적 근원
9. 국제법학자의 역할
제7장 외교와 국제질서
1. 외교
2. 외교의 기능
3. 외교의 오늘날의 적실성
제8장 전쟁과 국제질서
1. 전쟁
2. 근대 국가체제에서의 전쟁
3. 오늘날의 전쟁
제9장 강대국과 국제질서
1. 강대국
2. 강대국의 역할
3. 오늘날의 강대국
제3부 세계질서로 가는 대안적 경로들
제10장 현대 국가체제에 대한 대안
1. 국가체제에 대한 대안
2. 국가체제를 넘어서
제11장 국가체제의 쇠퇴? 그리고 각종 장려정책
1. 체제이지만 사회는 아닌 형태
2. 주권국가들은 존재하지만 체제는 아닌 형태
3. 세계정부
4. 신중세주의
5. 세계정치체제
제12장 국가체제의 낙후성?
1. 평화와 안전보장
2. 경제적.사회적 정의
3. 인간과 환경
4. 국가체제와 세계질서
제13장 국가체제의 개혁?
1. 강대국 협조체제: ‘키신저 모델’
2. 범지구적 중앙집권주의: 급진적 구세주의 모델
3. 지역주의: 제3세계 모델
4. 혁명: 마르크스주의적 모델
5. 국제사회의 전망
제14장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