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조선시대 궁중음악의 문화사적 고찰
조선시대 궁중음악의 문화사적 고찰
저자 : 김종수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18
정가 : 51000, ISBN : 9788928511778

책소개


책을 펴내며


제1부 세종대 음악

1장 조선 초기 악장 연행演行 양상-〈몽금척〉·〈수보록〉·〈근천정〉·〈수명명〉·〈하황은〉-
1. 머리말
2. 〈몽금척〉·〈수보록〉·〈근천정〉·〈수명명〉·〈하황은〉의 연행 방식
3. 당악과 고취
4. 맺음말

2장 조선 초기 조회악朝會樂 고찰
1. 머리말
2. 조하朝賀·조참朝參·상참常參 개관
3. 조선 초기 조하와 조참 음악
4. 조선 초기 상참 음악
5. 맺음말

3장 세종대 아악 정비와 진양陳暘의 『악서樂書』
1. 머리말
2. 진양의 『악서』
3. 세종대 아악정비와 『악서』의 영향
4. 맺음말

4장 세종대 아악 정비가 신악新樂 〈여민락〉·〈보태평〉·〈정대업〉에 끼친 영향
1. 서론
2. 조회아악의 악조와 〈여민락〉 악조
3. 회례아악의 문무文舞·무무武舞 악장과 〈보태평〉·〈정대업〉 악장
4. 제례아악의 영신악과 제례악 〈보태평〉·〈정대업〉 악조
5. 제례아악 악현樂懸과 제례악 〈보태평〉·〈정대업〉 악현
6. 결론

5장 세종대 신악新樂의 전승 연구
1. 서론
2. 신악 단절 위기의 배경
3. 〈봉래의〉 구성과 전승
4. 〈보태평〉·〈정대업〉의 구성과 전승
5. 결론


제2부 제례악

1장 조선시대 원구제?丘祭 연구
1. 서론
2. 원구제 변천
3. 원구악 변천
4. 결론

2장 조선후기 종묘악장 논의
1. 서론
2. 종묘제례악의 작헌시 연주 방식
3. 종묘악장 논의 과정과 해결
4. 결론

3장 조선시대 혼전魂殿과 원묘原廟 제향악
1. 서론
2. 혼전과 원묘 개관
3. 혼전?원묘 겸용 시기의 제향악: 건국초~1433
4. 혼전과 원묘 별도 존치 시기의 제향악: 1433~임란
5. 원묘 폐지 이후의 혼전 제향악: 임란 후~대한제국
6. 결론

4장 조선후기 황단악皇壇樂 연구
1. 서론
2. 황단제도의 역사적 배경과 전개
3. 황단악의 내용과 구성
4. 황단의 역사적 의미
5. 결론

5장 경모궁景慕宮 제례악 연구
1. 서론
2. 경모궁의 역사적 개관
3. 경모궁 제례악
4. 결론


제3부 정악停樂과 예禮의 구현

1장 조선시대 재변災變에서의 용악用樂-숙종조를 중심으로-
1. 서론
2. 재변에 대한 유교적 인식
3. 재변과 용악
4. 재변과 연향
5. 결론

2장 조선 전·후기 국상國喪에서의 용악用樂 비교
1. 서론
2. 조선전기 국상에서의 용악
3. 조선후기 국상에서의 용악
4. 결론


제4부 음악과 사회

1장 『악학궤범』 악기 분류의 음악사학적 고찰
1. 서론
2. 속악·향악·당악의 개념
3. 악기 분류 방식의 음악사학적 배경
4. 맺음말

2장 조선후기 정악正樂의 향유 양상
1. 서론
2. 일반 명칭으로서의 정악과 특정 명칭으로서의 정악
3. 정악 향유층의 확대와 인식변화
4. 18?19세기 악곡 변화의 동인
5. 결론


제5부 정조대 악서樂書

1장 『시악화성詩樂和聲』 소재所載 악곡의 연원
1. 머리말
2. 『시악화성』 권6 악경균조樂經均調
3. 『시악화성』 권7 악가의보樂歌擬譜와 권8 악주의보樂奏擬譜
4. 『시악화성』 제례아악과 『악학궤범』 제례아악 비교
5. 맺음말

2장 정조가 편찬한 악서樂書 『악통樂通』
1. 『악통』의 편찬목적
2. 『악통』의 체제 및 내용
3. 『악통』과 『시악화성』의 악률 비교
4. 『악통』의 사료적 가치


제6부 그림 자료와 악기

1장 교방고와 좌고에 대한 소고小考
1. 서론
2. 종타형縱打型 교방고의 존속시기와 연주법
3. 횡타형橫打型 교방고의 존속시기와 연주법
4. 교방고와 좌고의 관계 및 좌고의 명칭 배경
5. 결론


원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