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미국 공교육의 역사 새로 보기
저자 : 김재웅
출판사 : 교육과학사
출판년 : 2013
정가 : 19000, ISBN : 9788925407791
책소개
최근 미국의 교육개혁 동향을 살펴보면, 그 중심이 국가에서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따라서 개혁의 화두도 미국 건국 초기부터 중시되었던 “시민”에서 “소비자”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고 있는 것은 학교를 통해서 더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신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학교 만능주의” 패러다임 속에서 전개되어 온 미국 공교육의 역사에서 실종된 것은 어쩌면 교육 그 자체인지도 모른다.
이 책은 미국의 공교육 제도가 어떻게 형성되어 발전해 왔으며, 어떤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10개 장에 걸쳐 기술하고 있다. 각 장별로 제기하고 있는 문제의식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번 저서를 위하여 새로 작성한 부분이 많지만, 일부 장은 이미 관련 학술지에 기고한 내용을 저서의 전체적인 흐름에 맞추어 수정, 보완한 것임을 밝혀둔다.
목차
머리말 6
chapter 1| 미국 교육사 연구의 역사에 대한 비판적 고찰 21
문제의 제기 21
교육사 연구의 전통적 접근: 교사양성과정의 한 과목으로서의 교육사 23
문화적 수정주의의 등장 34
급진적 수정주의의 영향 42
수정주의 이후 미국 교육사 연구의 동향 48
나가며: 새로운 교육사 연구의 가능성 52
chapter 2| 미국 식민지 시기 교육사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65
: Cubberley, Bailyn, Curti를 중심으로
문제의 제기 65
전통적 접근: Cubberley 68
문화적 수정주의 접근: Bailyn 79
급진적 수정주의 접근: Curti 88
결론 및 논의 95
chapter 3| 보통학교common school 개혁과 의무취학제도의 성립 103
문제의 제기 103
분석의 기본 관점과 틀 107
미국 보통학교 형성과정의 교육정치학적 이해 110
보통학교에서 의무취학제도로 132
결론 및 시사점 13
chapter 4| 고등학교의 출현과 전개 143
문제의 제기 143
고등학교의 등장 및 확대 과정 관련 요인 146
고등학교의 발전방향에 대한 논쟁 154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고등학교의 쟁점과 문제 164
chapter 5| 교사양성과 교육학의 위상 181
문제의 제기 181
현장적 전문성 입장에서 본 교육학의 문제 186
학문적 정체성 관점에서 본 교육학의 위기 199
한국의 교사양성과 교육학의 정체성 논의에 주는 시사점 211
chapter 6| 아프리카 미국인 교육의 역사 221
들어가며 221
아프리카 미국인 교육의 전개와 특징 225
아프리카 미국인 교육의 방향에 대한 Booker Washington과 Du Bois의 논쟁 235
Brown v. Board of Education(1954) 판결과 그 이후 239
최근 아프리카 미국인 교육의 주요 쟁점: 아프리카 중심주의를 중심으로 249
chapter 7| 미국 원주민 교육의 역사: 원조와 동화를 중심으로 261
들어가는 말 261
교회와 선교사에 의한 미국 원주민의 개종을 위한 교육, 백인 접촉 초기~1827 265
연방정부 중심 미국 원주민에 대한 동화를 위한 교육, 1828~1927 270
다문화교육 개념이 적용된 미국 원주민 교육, 1928~2001 281
아동낙오방지법 이후 미국 원주민 교육, 2002~현재 285
나가는 말 287
chapter 8| 사회적 운동으로서 홈스쿨링의 전개 297
홈스쿨링의 개념과 의무취학제도에 대한 도전 297
홈스쿨링 운동의 사회적 배경 304
의무취학제도 하에서 홈스쿨링 관련 논쟁 316
사이버 차터스쿨의 등장과 홈스쿨링 325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330
chapter 9| 미국 교육개혁의 최근 동향 339
「위기에 처한 국가」: 연방정부 주도의 효율성 지향 교육개혁의 시작 339
선택과 차터스쿨: 보통학교 공통이념의 종말 345
NCLB: 테스팅 만능시대의 도래 357
최근 미국 교육개혁에 대한 한 교육사학자의 자기반성: 다이안 래비치 367
chapter 10| 미국 공교육의 미래: 세 가지 시나리오 377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377
세 가지 시나리오 382
공교육의 미래에 대한 교육정치학적 함의 393
찾아보기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