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트랜스
트랜스
저자 : 김소영
출판사 : 현실문화연구(현문서가)
출판년 : 2006
정가 : 32000, ISBN : 898705750X

책소개


비, 보아, 욘사마, 《쉬리》, 《겨울연가》, 《대장금》 등 한국의 대중문화가 아시아 문화시장을 휩쓸고 있는 한류 현상, 일본의 J-팝과 저패니메이션, 홍콩의 칸토팝……. 한국, 일본, 중화권 등의 대중문화가 아시아의 여러 지역을 강타하면서 많은 아시아 사람들이 이제는 아시아의 지역 대중문화를 미국이나 서구의 것보다 더 즐기고 있다.

그동안 아시아 내부에서 유통되었던 대중문화는 미국 혹은 서구 일색이나 다름없었다. 이러한 ‘백색’ 중심의 대중문화는 문화의 다양성 부재뿐만 아니라, 더 심각하게는 아시아 각국의 상호 간 대화의 부재와 소통의 부재를 낳았다.

이러한 소통의 부재는 대중문화의 생산 · 유통과정에서 ‘주체’를 잃어버린 데 그 원인이 있었다. 따라서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어떤 대중문화(특히 그중에서도 파급력이 큰 영상문화)를 생산하고 소비해야 아시아 각국 상호 간에 소통이 가능할 것인가’ 하는 고민은 주체적인 아시아 문화연구, 아시아를 주체로 하는 아시아 대중문화의 네트워크 구축으로만 풀릴 수 있는 것이다.

《트랜스: 아시아 영상문화》는 이처럼 아시아 지역 대중문화의 아시아 간 흐름(아시아 주체의 대중문화 생산 및 유통)을 통해 아시아 각국의 상호 간 대화의 틀을 마련하고, 아울러 영상문화를 통한 아시아 정체성 및 아시아 공동체의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

《트랜스: 아시아 영상문화》의 귀중한 의미와 쓸모는 대중문화를 통한 대화의 틀 또는 담론의 형성으로, 경계선이 분명한 ‘지리지도’가 아니라 아시아 각 지역을 하나로 연결하고 통합하는 ‘문화지도’를 그리고 있다는 데 있다.

목차


서문
1장: 트랜스 아시아 영상문화
1. 동아시아 대중문화의 개념화 -추아 벵후아
2. 전 지구적 프리즘: 트랜스 아시아 미디어 연구를 위해서 -이와부치 고이치
3. 욕망과 폭력으로서의 ‘아메리카’: 전후 일본과 냉전 중 아시아에서의 미국화 -요시미 슌야
4. 자본의 분할 전략과 동아시아의 성: 쾌락/향유 기계의 선용은 가능한가 -하승우
5. 사랑했고 상실한: 트랜스 중국 스크린 문화에서 나타나는 성장기 소녀들의 동성 로맨스 -프랜 마틴
6. 알려지지 않은 또 다른 한류 붐: 재일 붐과 영화 《박치기》 -안민화
7. 《겨울연가》와 능동적 팬의 문화실천 -모리 요시타카

2장: (트랜스) 아시아 시네마
1. 민족적/국제적/초국적: 트랜스 아시아 영화의 개념과 영화비평에서의 문화정치학 -미츠히로 요시모토
2. 글로벌 시대의 지역 페미니스트 장의 탄생: 트랜스 시네마와 여성장 -김소영
3. ‘트랜스 아시아’ 영화(들)이라는 문제에 대하여 -헤마 라마샨드란
4. 퀴어 디아스포라/심리적 디아스포라: 왕자웨이의 공간과 세계 -데이비드 L. 엥
5. 스타의 횡단: 초국적 프레임에서 본 이소룡의 몸, 혹은 중화주의적 남성성 -크리스 베리
6. 지구를 둘러싸기: 세계 영화에서 《링》 리메이크하기 -데이비드 데서

3장: (동)아시아 ‘내셔널’ 시네마의 새로운 토픽들
1. 중국영화사의 영화시원 서술과 루쉰의 글쓰기 기원을 논함 -박병원
2. 중국 영화학을 둘레 짓기 위한 물음: 중국 영화학은 웨인 왕의 영화를 다룰 수 있는가 -임대근
3. 현대 일본영화에서의 차이와 정체성 -얼 잭슨 주니어
4. 일본 고전영화에서의 저항하는 여성들 -사이토 아야코
5. 한국영화를 통한 우회 -폴 윌먼
저자·역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