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백제금동대향로
백제금동대향로
저자 : 서정록
출판사 : 학고재
출판년 : 2001
정가 : 25000, ISBN : 8985846841

책소개


1993년 12월 부여의 능산리 고분에서 발굴된 향로 하나. 백제인들이 직접 만든 유물이며 보기 드물 정도로 뛰어난 조형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었지만, 그것을 왜,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 그리고 이 유물에 형상화된 수많은 인물상, 동물상, 식물상들이 상징하는 바는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속시원한 대답이 나오지 못했다. 이 책은 한 재야사학자가 7년여의 시간을 거쳐 향로가 담고 있는 내용을 추적한 책이다.

지은이는 기존 학계가 백제 대향로에 나타난 다양한 문화적 징표들을 하나하나 따져보지 않고 무조건 중국과의 사상적 연관성에만 열중한 결과 더 이상의 연구성과를 보이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이를 뒤집기 위한 그의 노력은 한 개인이 낸 연구라고 보기 힘들 정도로 지난하고 끈질겨, 미술사와 문화사 고고학, 동서교류학 등 다양한 접근법이 어울려 나타난다. 지은이는 백제대향로와 고구려 고분벽화가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서로 보완적인 관계에 있으며, 동북 아시아 전체를 아우르는 정신세계를 밝혀줄 긴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지은이의 주장이 담고 있는 파격을 넘어서, 혹은 논쟁을 넘어서 이 책은 매우 세심하고 정교하다. 주장을 뒷받침하는 방식도 논리적이라 '아 정말 그렇구나'라고 무릎을 치며 읽어내려갈 수 있다. 한숨이 나올 정도로 아름다운 향로의 모습을 비롯해, 질좋은 도판들도 그의 주장에 힘을 더한다.

목차


1. 서론
백제인들에 의해서 제작되었음을 뒷받침하는 몇 가지 증거들
백제대향로에 담긴 내용―과연 신선사상과 불교의 연화화생론일까?
백제대향로의 연구 방향
제작 시기 문제
고구려 고분벽화와의 관련성
능산리 유적지의 중요성

2. 5악사와 기러기
백제의 만주출자(滿洲出自)
원앙을 닮은 기러기?
백성을 상징하는 기러기
고대 동북아의 '5부(五部)'체제
5부체제의 역사적 배경/5부체제에 나타난 천하관
'음악의 화(和)'를 통한 통합의 이념

3. 백제의 서역악기
백제대향로의 5악기
백제의 서역악기
고각 위의
백제대향로의 정면에 배치된 '완함'
안악3호분과 덕흥리고분의 '주악도'
고구려음악의 성격
쿠차의 서역악기
하서지역의 서량악
동서남북의 십자로, 하서지역
우리 음악 속에 남아 있는 서역적 요소들

4. 고대 동북아의 연꽃문화
고구려벽화를 가득 메운 수련(睡蓮)
불교전래 이전의 연꽃문화
고대 목조건축물의 조정양식
하늘연못에 거꾸로 심은 연꽃
천제를 상징하는 하늘연꽃
백제 동탁은잔의 하늘연꽃
백제대향로의 노신에 표현된 연화도
'연꽃과 용'의 상징체계의 유래
생명의 근원인 물과 세상을 밝히고 만물을 자라게 하는 광명의 원리

5. 박산향로의 기원
중국의 초기 향로와 박산향로
박산향로 기원에 관한 기존의 견해
최근의 연구성과―북방 계통의 산악도
또 하나의 산악도
동서교류의 사실들
아라비아산 향료, 유향
서역의 향로

6. 북위와 백제의 향로
북위의 박산향로
북위 향로의 삼산형 산악도의 유래
노신의 '꽃'장식의 유래
백제대향로의 제작 시기

7. 유운문 테두리를 통해서 본 백제대향로의 세계관
고구려고분의 유운문 도리
천상계의 산
알타이 샤만의 북에 나타난 우주관
백제대향로의 수렵도
부여계 왕들의 사슴사냥
샤만의 상징적인 수렵의식
백제대향로의 신령세계
<가무배송도〉를 통해서 본 타계관

8. 백제의 신궁과 두 계통의 왕권신화
성왕은 왜 백제대향로를 제작했는가
사비천도와 새 국호 '부여'
백제의 건방지신
신궁에서 신궁사로
또 하나의 왕권신화―용신(龍神)신앙
무가 속의 부여계 건국신화
두 계통의 왕권신화가 의미하는 것

9. 결론
요약
고대 동북아의 문화적 배경
동서교류에 대한 잘못된 시각
북방 샤마니즘의 정신세계
삼계관과 삼재관의 차이
문화의 시대, 자기 정체성의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