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
재미의 경계
저자 : 이현비
출판사 : 지성사
출판년 : 2004
정가 : 13000, ISBN : 8978891098
책소개
필자 이현비는 철학을 공부하는 사람 (서울대 철학과 박사 과정 중) 으로 웃음과 재미를 이론화하고자 한다. 이미 웃음 이론서 『원리를 알면 공자도 웃길 수 있다』(지성사, 1997)를 출간한 바 있는 저자가 왜 재미(웃음은 재미의 한 종류)에 천착할가?
가장 큰 이유는 ‘재미있는’ 문화 상품을 만들어야 ‘재미’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가을동화' 열풍이 증명하듯이 문화 산업은 향후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화 제작자를 비롯한 관련 분야 종사자들은 대부분 작품을 재미있게 만드는 방법도 모른 채 작품 제작에 나선다. 그래서 필자는 대표적인 문화 상품인 영화를 중심으로 재미 이론이 왜 필요한지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
목차
제1장. 여러분이 좋아할 만한 것에 대한 이야기
1. 무엇에 대해서 말하려고 하나?
2. 왜 재미를 이해해야 하는가?
3. 여러분은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가?
제2장. 재미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 재미에는 세 요소가 필요하다
긴장의 축적과 해소가 있어야 한다
여러 구조가 중첩된 틀이 필요하다
말하는 이와 듣는 이의 공유경험이 필요하다
2. 재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 뫼비우스 띠 구조
재미의 세 요소에 대한 종합모형
드러난 이야기와 숨은 이야기의 만남
재미란 어떤 것인가?
뫼비우스 띠와 인간심리의 관계
제3장. 재미의 대표적인 형식 '웃음'
1. 웃음과 재미의 차이
웃음의 논리적 토대, 2중구조
긴장의 생성과 반전을 위한 2중구조
말하지 않아도 알고 있는 공유경험
웃음을 위한 긍정적 감정방향
2. 웃음의 통합모형
3. 중심 개념들에 대한 확실한 이해
재미없는 이야기는 왜 그런가?
재미있는 이야기는 왜 그런가?
표현 방식에 따라 재미도 달라진다
중심 개념을 백 퍼센트 활용하는 방법
4. 다른 종류의 재미, 공포와 슬픔
제4장. 재미에 관한 다른 이론들
1. 왜 다른 이론들을 비판해야 하는가?
2. 재미에 대한 파국이론적 모형
파울로스의 파국이론적 모형
파국이론적 모형의 문제점
파국이론 모형과 뫼비우스 띠 모형의 비교
3. 부실한 코언의 이론
4. 웃음과 해학에 대한 이론 몇 가지
웃음의 종류를 어떻게 나눌 것인가
해학 형성의 열두 가지 조건
해학 형성의 기법
5. 그 밖의 유머에 대한 입장
6. ‘부조리’ 개념에 대한 비판
제5장. 뫼비우스 띠 모형과 그 외의 측면에서 살펴본 재미
1. 뫼비우스 띠 모형의 여러 측면들
‘거짓말쟁이 역설’의 모순
재미를 즐기기는 쉽지만 만들기는 어렵다
2. 묘한 일치, 반복의 형식 그리고 현실
‘묘한 일치’와 그 형식화
반복에 의한 긴장 축적
재미에 대한 현실의 의미
제6장. 전체적으로 살펴본 재미의 구조
1. 장편에도 적용되는 뫼비우스 띠 구조
2. 작품의 복합 구조에 대한 세 가지 분석
3요소를 갖추기 위한 정교한 짜임새
정교한 짜임새는 어떻게 짜여져야 하는가?
작품 구조에는 어떠한 유형이 있나?
세 개 국면 이상에 대한 불가능성 계산
제7장. 재미와 작가 사이에 있는 것
1. 재미와 관련된 그 밖의 주제들
2. 재미는 소재의 구체성에 의존한다
3. 세계상은 구체성의 토대가 된다
4. 뚜렷한 세계상을 위해 전문지식이 필요하다
정리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