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
미국 제조업의 전망
저자 : Thomas J. Duesterberg
출판사 : 청문각
출판년 : 2005
정가 : 13000, ISBN : 8970888624
책소개
미국의 제조업은 어려운 경제 불황기의 도래에도 불구하고 세계에서 가장 독창적이고 경쟁적이라 할 수 있다. 미 제조업은 싫증나도록 판에 박힌 산업시대의 제품들, 즉 철강 및 대량생산소비재들에 국한되지 않으면서 오래도록 성장엔진의 역할을 해 왔다. 1990년대에는 이러한 중심역할이 경제 전반에 걸쳐 이미 높은 수준의 성장을 향해 박차가 가해진 신기술의 개발 및 응용을 더욱 강화시켰으며, 오늘날의 제조업은 광섬유, 마이크로칩과 같은 첨단기술 산업을 포함하고 있다. 세계화는 연구개발과 투자에 대한 고정비용 지출의 확대를 통하여 경비절감 및 신속한 신기술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경쟁압력을 높임으로써 제조업 부문의 성장을 가속화하였다.
이 책은 이러한 핵심 부문의 장래에 대한 실무자의 참된 지침서로서, 풍부한 정보를 기반으로 여러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대량생산 소비재 중심 모델에서 유연적인 해법 중심 모델로의 신속한 진화는 변화하는 제조업 부문의 세계경제회복으로의 유도를 충족케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미국 내의 올바른 정책들이 자리 잡게 될 때에만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의 편집자들은 재정상의 불법행위법 개정, 고등교육의 성취, 지속적인 규제완화조치 등을 추천한다. 또한 국제수준에서는 무역자유화를 배가하고 무역적자를 축소하는 단계가 특별히 기술집약적 산업에 대한 미국 경쟁력의 지속능력을 보장받기 위해 추천되고 있다.
목차
1. 서론과 주요 결론
2. 미국 제조업의 변환 : 폭넓은 분석 기조
3. 미국의 제조업과 노동력의 구조
4. 신기술 개발과 응용의 중심적 역할
5. 솔루션, 맞춤 제품 및 관련 서비스를 통한 부가가치 확대
6. 21세기 제조업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과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7. 미국 제조업 시장의 급속한 세계화
8. 변화하는 기업의 특성
9. 글로벌 경제의 성장엔진 : 통합적 정책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