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중일의 공간조영
한중일의 공간조영
저자 : 권영걸
출판사 : 국제
출판년 : 2006
정가 : 15000, ISBN : 8970231609

책소개


필자는 한국·중국·일본의 전통공간의 상호비교를 통해 공간조영 ‘정신’과 ‘방법’상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밝히기 위해 삼국을 대표하는 표본공간을 비교분석의 중심대상으로 삼고, 이들 삼국의 조형정신과 조영방법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소수의 부차적인 사례들을 포함시켰다. 각 민족의 조형의식은 자연환경, 인문환경 그리고 사회제도와 기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반 환경과 배경을 살필 수 있는 전통공간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되, 16세기를 전후한 비슷한 시기에 조영된 세 나라의 정원을 중심으로 하고, 사찰, 궁원 등을 보조적인 비교대상으로 삼았다.

한·중·일 삼국의 보편문화에 관한 비교는 철학, 종교 등과 같은 정신문화와 음악, 미술 등의 예술분야 및 의식주 등의 생활관습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특히 조형의식에 관계된 부문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삼국의 문화적 차이와 전통공간의 조형원리 상의 차이를 조사하는데는 미학과 문학, 건축학과 조형 예술학, 그리고 유형학 등에 기초하였으며, 사례연구 및 분석에는 상기의 표본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조형정신과 조영방법을 공간 구성원리 및 요소별 유형적 특징 등으로 세분하였다.

조영(造營)의 사전적 의미는 궁궐이나 절과 같은 건축물이나 그것을 포함하는 원(園) 등을 세우고 가꾸는 것을 말한다. 조형(造形)이 창작 주체자의 생각에 따라 매체의 작위를 통해 물질형식을 만들어 나가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면, 조영은 건축의 요소들을 다루고 경관요소들을 배치해 나가는 등 종합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정원 등 모든 구축물의 조영과정은 일견 조영주체의 창작정신에 의해 자유롭게 이루어진 것 처럼 보이지만, 그들에는 동시대의 시대정신과 사회사상이 반영되어 있고, 시대와 장소에 따라 표현수단과 수법 또한 변화되어 왔다. 조영은 입지와 배치 등 공간조직에 대한 가시적인 형식화 과정을 밟게되고, 공간조영에는 그 형식에 내재된 조영원리와 창작주체의 조영의도 등이 반영되기에, 한 나라와 지역의 공간문화를 현미경적으로 관찰하고자 할 때 그 조영의 의도와 배경, 과정과 수법을 단서로 삼게 된다.
상호 교류 미비 등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그 구체적인 양상에서 매우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문화적 공통성과 차별성이 공간문화와 조영정신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는 가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 2
추천의 글 / 5

서언 - 동아시아 문화의 비교문화적 해석

1. 문화해석상의 모호성 극복 - 대상과 방법 / 15
2. 해석의 준거틀 - 유형학 / 18
3. 일러두기 / 22

제1장 - 동아시아 문화의 이해
1. 동아시아 문화의 보편적 코드 / 26
한자(漢字) - 동아시아 문화의 기반 / 27
유교(儒敎) - 조화론적 가치관과 규범 / 29
자연친화사상 - 천인합일의 세계관 / 31

2. 동아시아의 정신문화 / 32
동·서양의 사유방식 / 32
동아시아 삼국의 가족관 / 34
동아시아 삼국의 문학 / 37

제2장 - 동아시아의 공간문화와 조영정신
1. 동양과 서양의 조형정신 / 42
유기론적 세계관·기계론적 세계관 / 42
공간조영의 절대성과 상대성 / 43
대상인식과 사유방식 / 45
자아인식 - 주(主)·객(客) / 49
형(形)과 공(空) / 52
미학과 관상(觀賞)방식 - 관계·대상 / 54

2. 동아시아 삼국의 조형의식과 공간문화 / 56
미의식을 통해본 조형의식의 차이 / 56
조형의식의 발현 / 60
공간(空間)과 자연(自然) / 63
공간문화와 공간조직 / 65

제3장 - 한·중·일 삼국의 전통공간
1. 공간구성의 원리와 특성 / 74
친자연 / 74
음양오행(陰陽五行)과 풍수(風水) / 79
대칭(對稱)과 비대칭(非對稱) / 84
관상(觀賞) / 89
내향(內向)과 외향(外向) / 91
공간의 한정 / 93

2. 한·중·일을 대표하는 표본공간 / 95
중국의 원림(園林) / 102
졸정원(拙政園) / 106
한국의 정원(庭苑) / 113
소쇄원(瀟灑園) / 119
일본의 정원(庭園) / 126
료안지(龍安寺) / 131

제4장 - 한·중·일 전통공간의 비교분석
1. 배치(配置) / 138
입지와 공간구성요소 / 138
입지(立地)와 좌향(坐向) / 138
공간의 구성요소 / 142
공간의 설정과 전개 / 143
대칭과 비대칭 / 143
내향(內向)과 외향(外向) / 146
배치에 따른 유형 분류 / 152

2. 조영(造營) / 159
경관의 조영 / 159
차경 / 159
경관의 유도 / 162
이동과 시지각적 공간경험 / 164
경관조영의 세부원칙과 기법 / 166
건축의 조영 / 172
공간의 규모와 형성방식 / 172
건축형태의 구성 / 173
조영이념 / 176
공간의 연속성 / 178
정(靜)과 동(動) / 179

3. 요소(要素) / 180
경관요소 / 180
산석(山石) / 181
수(水) / 183
목(木) / 184
건축요소의 활용 / 186
건축요소 / 188
처마 / 188
포지(鋪地) / 190
기둥 / 191
정원건축물 / 192
내부공간요소 / 195
내부공간의 조영 / 195
개방성과 폐쇄성 / 198
가구의 조형과 구조 / 199
색(色)과 무늬 / 201
색채 / 201
재료와 색채 / 202
상징으로서의 색채 / 203
무늬와 장식 / 206
문형과 패턴 / 209
소결 / 210

제5장 - 공통성과 차별성을 넘어
1. 공통성과 차별성의 비교분석 / 216
공통성의 규명 / 216
차별성의 규명 / 220

2. 비교분석을 통한 중심어 도출 / 233
공통성 중심어 / 233
차별성 중심어 / 234
한·중·일 문화와 전통공간에 관한 중심어 / 237

맺음말 / 242
Summary / 248
참고문헌 / 252
색인 /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