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16.17세기 시조의 동향과 경향
저자 : 김상진
출판사 : 국학자료원
출판년 : 2006
정가 : 15000, ISBN : 8956282110
책소개
우리민족의 독특한 정서를 읽을 수 있는 시조작품의 문학적 의미와 그 세계를 조명해보고 있다.
총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사대부와 연시조 에서는 사대부 작가의 연시조에 대한 작품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기계적인 구조물로서의 연시조가 논의의 핵으로 자리하고 있다. <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 <산중잡곡> 등을 대상으로 이들 작품이 각각 낱낱의 시조를 어떻게구성함으로꺼 연시조로서의 의미를 획득하는가를 파악하고 있다. 2부 작품론- 시조 엮어 읽기 에서는 개별 작품론으로 시조 엮어 일기를 시도하고 있다. 그리하여 지나간 시대의 관념적인 문학 텍스트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대에서도 유용 할 수 있는 텍스트임을 제시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이 책을 통해 16ㆍ17세기 존재했던 시조작품과 그 경향을 알아보고 각각의 작품이 지니고 있는 의미와 시사점을 짚어 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 1장 : 서론
제 2장 : 연시조의 성격 규명
1. 논의를 시작하며
2. 연시조의 두 방향 : 강호와 훈민
3. 단형시조와 가사의 지향
4. 연시조의 특성
제 3장 : <도산십이곡>의 미학과 작품 세계
1. 퇴계와 <도산십이곡>
2. 온유돈후의 미학
3. <도산십이곡>의 표현과 구성
4. 연시조로서의 <도산십이곡>
제 4장 : <고산구곡가>의 시간과 성리학적 인식
1. 율곡과 <고산구곡가>
2. 상승구조와 하강구조
3. <고산구곡가>와 성리학적 인식
4. <고산구곡가>의 의미
제 5장 : <훈민가>의 전달체계와 구성 방식
1. 송강과 <훈민가>
2. 전달 체계 - 화자의 세 모습
3. 연시조로서의 구성
4. <훈민가>의 새로운 발견
제 6장 : <한거십팔곡>의 은거와 강호인식
1. 송암과 그의 문학
2. 한시 속에 나타난 삶의 궤적
3. <한거십팔곡>의 구조적 특성
4. 강호문학으로서의 <한거십팔곡>
제 7장 : <산중잡곡>의 미학과 연작성
1. 갈봉과 <산중잡곡>
2. 작품 수의 확정과 기존 시가의 수용
3. <산중잡곡>의 내용 전개
4. 연작 시조로서의 의미와 한계
제 8장 : <전원사시가>의 사시와 ‘제석’의 의미
1. 선석과 <전원사시가>
2. <전원사시가>의 춘하추동
3. ‘ 제석’의 의미와 기능
4. <전원사시가>의 작품적 의미
제 9장 : 결론
제 2부 : 작품론 - 시조 엮어 읽기
제 1장 :
17세기 산수화와 산수시조
1. 시작하는 말
2. 시 ? 화에 나타난 산수
3. 산수화와 산수시조의 관련 양상
4. 맺음말
제 2장 : 생태주의 문학과 <고산구곡가>
1. 시작하는 말
2. 생활의 터전과 자연
3. 사시의 순환하는 자연
4. 더불어 사는 자연
5. 맺음말
제 3장 : <청산리벽계수>와 <텐미니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1. 시작하는 말
2. 황진이 시조의 여성 이미지
3. 대중가요 속의 여성 이미지
4. <청산리벽계수>와 <텐미니츠>의 비교적 특성
- 결론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