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수용자론
수용자론
저자 : 이강수
출판사 : 한울(한울아카데미)
출판년 : 2001
정가 : 15000, ISBN : 8946028866

책소개


서론

1. 수용자-미완의 프로젝트

2. '경험적 미디어 수용자'를 넘어: 사회학적 시각
1) 리즈만의 사회구조와 수용자 그리고 미디어와의 관계
2) 벨의 대중사회 문화 수용자론
3)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한사회이론, 미디어 그리고 수용자
4) 포스트-모더니즘론과 수용자
5) 홀의 'New Times'와 주체성

제1장 수용자의 개념

1. 수용자개념의 변천과정

2. 맥퀘일의 수용자개념
1) 대중으로서의 수용자
2) 집단으로서 수용자의 재발견
3) 시장으로서의 수용자

3. 취향공중으로서의 수용자
1) 갠스의 취향공중과 취향문화론
2) 팬덤으로서의 수용자
3) 부르디외의 문화공중으로서의 수용자
4) 토플러의 '문화소비자'로서의 수용자

4. 미디어 이용자로서의 수용자

5. 미디어 해석자로서의 수용자

6. 혁신자로서의 수용자

7. 저항적 행동자로서의 수용자

8. 지각적 수용자

9. 애버크롬비와 롱허스트의 수용자 개념

제2장 수용자연구의 변천과정

1. 효과연구

2. 이용과 충족 연구

3. 문학비평 연구

4. 문화론적 연구

5. 수용분석
1) 홀의 '기호화/해독화' 가설과 몰리의 'Nation-wide Audience' 연구의 제 문제
2) 텍스트와 수용자 간의 인터액션의 제 문제
3) '다의적 의미'와 '기호학적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
4) 쾌락과 저항의 문제: 이데올로기로부터의 후퇴
5) 일상적 생활과 문화소비(TV이용)의 문제
6) 기든스의 구조화이론
7) 페미니스트 연구

제3장 수동적 수용자론과 능동적 수용자론

1. 수동적 수용자론

2. 능동적 수용자론
1) 이용과 충족 연구 및 이용과 충족 연구에 대한 신기능주의적 접근
2) 상징적 상호작용의 접근
3) 슈츠의 현상학적 사회학의 접근
4) 하버마스의 커뮤니케이션의 행위이론의 접근
5) 인지 심리학적 접근
6) 제도적 수용자 연구
7) 능동적 수용자론에서 주체성에 관한 제 논의
8) 텍스트상의 주체론
9) 규범론적 접근

목차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 학위를, 서던 일리노이대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언론정보대학원장, 대학원장을 거쳤으며 한국언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햔재는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한국 디지털 위성방송 연구 고문으로 있다.
저서로는 『매스커뮤니케이션 사회학』『한국대중문화이론』『현대 매스커뮤니케이션』『대중문화와 문화산업론』『커뮤니케이션과 전통성』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대중문화의 원점』『커뮤니케이션 행위이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