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씰크로드학
씰크로드학
저자 : 정수일
출판사 : 창비(창작과비평사)
출판년 : 2001
정가 : 43000, ISBN : 8936482203

책소개


실크로드학이 다루는 것들,
실크로드의 개념 확대와 한반도 연장설


'실크로드'라는 이름은 120여년 전 처음 등장한 이래 오랫동안 사람들을 매료해왔다. 독일 지리학자 리히트호펜(F. von Richthofen)이 처음 만들어 썼으니 이 이름 자체가 그 연구사의 기원을 밝혀주는 셈이다. 그러나 실제로 실크로드는 그보다 훨씬 더 오래 전, 인류문명의 개화와 궤적을 같이하며 2천여 년이 넘도록 말 그대로 문명탄생의 산실이자 문명발달의 원동력으로 기능해왔다. 실크로드에 대한 연구가 문명교류사의 핵심적 위치를 점하는 것은 그런 이유에서이다.

실크로드 연구는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중앙아시아 탐험과 2차대전 전후에 진행된 실크로드 연변의 일련의 고고학적 발굴을 계기로 본격화했다 그러나 이는 그야말로 시발점에 불과해서, 실크로드 전체를 통관하는 진정한 학적 정립은 이제까지 이뤄지지 않은 과제였다. 문명교류사 연구가 주로 교통사나 지역학에 편중해온 데다 실크로드가 포괄하는 시 ·공간적 방대함과 교류상(相)의 복잡다기함도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 책 『실크로드학』은 여러 개념들을 정의하고 엮어세움으로써 문명교류사 연구의 주된 일부로서의 실크로드 연구를 하나의 학문으로 정립하려는 시도이다.

이 책은 저자가 볼펜 잉크가 녹아 글씨가 뭉개지는 불볕더위와 손발이 얼어 터지는 혹한의 겨울을 이기며 정리한 3년여의 연구메모를 바탕으로 집필한 것이다. 재직중이던 단국대 대학원 사학과의 '동서교류사연구' 과목이 저자의 구금으로 폐강되자 1998년 3월 초 영어(囹圄)의 몸으로 시작한 '서신강의'가 씨앗이 되었다. 우여곡절로 서신강의가 곧 중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갖은 어려움을 무릅쓴 집필이 가능했던 것은 민족과 인류의 생존은 문명의 공유와 상보적 상호의존에 의해서만 가능하다는 인식 때문이었다고 저자는 밝히고 있다.('책머리에' '후기' 참조) 세계적으로 자랑할 문명교류사 연구자인 저자의 놀랄만한 박식에 이만한 사명감과 열정이 더해짐으로써 이제 우리는 이 분야의 독보적인 역저를 만나는 행운을 누리게 되었다.

목차


- 추천사 / 김원모
- 책머리에
- 일러두기

■ 서장 씰크로드학의 정립

제1절 씰크로드학의 개념
제2절 씰크로드학의 내용
제3절 씰크로드학의 의의

■ 제1부 역사편

제1장 씰크로드의 전개사

제1절 씰크로드의 개관
제2절 초원로
제3절 오아시스로
제4절 해로
제5절 5대지선

제2장 씰크로드를 통한 교류의 역사적 배경

제1절 교류의 역사적 배경
제2절 교류의 정치사적 배경
제3절 교류의 경제사적 배경
제4절 교류의 민족사적 배경
제5절 교류의 교통사적 배경

■ 제2부 교류편

제3장 씰크로드를 통한 물질문명의 교류

제1절 옥의 교류
제2절 유리의 교류
제3절 보석류의 교류
제4절 비단의 교류
제5절 종이의 교류
제6절 도자기의 교류
제7절 향료의 교류
제8절 인쇄술의 교류
제9절 연단술과 화약의 교류
제10절 나침반의 교류

제4장 씰크로드를 통한 정신문명의 교류

제1절 문학의 교류
제2절 학문의 교류
제3절 예술의 교류
제4절 종교의 교류

제5장 씰크로드를 통한 인적교류

제1절 인적교류
제2절 교류관계 수립을 위한 인적 교류
제3절 물질문명 교류를 위한 인적 교류
제4절 정신문명 교류를 위한 인적 교류

■ 제3부 전거편

제6장 씰크로드를 통한 교류의 문헌적 전거

제1절 교류의 문헌적 전거
제2절 개설소개서
제3절 학문연구서
제4절 여행문학서

제7장 씰크로드를 통한 교류의 유물적 전거

제1절 교류의 유물적 전거
제2절 주요 유지
제3절 물질문명 유물
제4절 정신문명 유물

■ 후기

씰크로드사 연표 / 참고문헌 / 인명 찾아보기 / 지명 찾아보기 / 사항 찾아보기
씰크로드 3대 간선 연변 유지도